• 제목/요약/키워드: 반려동물 용품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반려동물 용품 및 화장품 산업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products and Pet Cosmetics industry)

  • 이정민;장민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833-844
    • /
    • 2021
  • 코로나 시대에 반려동물은 우리에게 많은 위안을 주고, 가족처럼 반려동물을 여기는 펫팸족이 등장하였다. 그리고 젊은 소비자는 자신에게 소비할 금액을 줄여서 반려동물에게 소비하는 패턴을 보이는 펫푸어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펫푸드를 포함한 반려동물 용품 및 화장품은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고, 국내의 반려동물 화장품 및 용품에 대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 반려동물 용품 및 화장품에 관한 용어도 아직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국내 법률은 반려동물과 관련한 동물보호법 만이 존재하지만 일본에서는 반려동물 사료안전법이 2009년 6월부터 시행되었고, 미국은 연방식품, 의약품, 화장품 관리법에서 반려동물 화장품 및 용품을 담당하고, 동물보호법이 강력한 독일은 식품 및 사료에 대한 다양한 국가 차원의 법규가 있다. 그리고 식품 안전국 웹 사이트에서도 국가 규정을 정밀하게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의 빠르게 성장하고 안정적인 반려동물 산업처럼 국내에서도 반려 동물 산업을 관리하고 개발을 뒷받침 해주는 국가 정책과 환경 등이 반려동물 용품 및 화장품 그 외 다양한 반려동물 관련 산업을 해외시장으로 수출하는데 기초자료로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도와 반려동물용품의 구매속성, 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to Pet, Purchasing Attributes of Pet Produc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박은옥;신재익;박민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279-289
    • /
    • 2019
  • 2018년 연간 애완용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8,223억 원으로 4% 증가년 전과 비교하여 4배 이상 급증하였고, 반려동물과 관련된 지출액 중 반려동물 관련 패션잡화, 내구재 등에 대한 지출규모가 증가하고 있어 반려동물 용품시장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본 연구는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도가 반려동물 용품 구매속성에 미치는 영향과 구매속성과 만족,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성장하는 반려동물 관련 시장에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사람들 중 반려동물 용품(미용/목욕 용품)을 구매해 본 적이 있는 173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22.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확인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도는 반려동물 용품 구매속성인 가격적절성, 품질, 디자인, 평판, 판매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속성과 만족, 행동의도간의 관계에서는 구매속성 중 가격적절성, 품질, 판매환경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디자인과 평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반려동물 용품 시장에서는 주인의 선호도에 따른 디자인이나 평판보다는 반려동물의 특성에 따른 제품품질과 가격적절성, 이용 및 접근이 용이한 판매환경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반려동물 돌봄과 인터넷 소비 (Pet Care and Internet Consumption)

  • 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388-400
    • /
    • 2022
  •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돌보는 반려인 11인의 질적 인터뷰를 통해 반려동물 돌봄과 관련한 인터넷 소비 현상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전혀 다루지 않았던 길고양이 돌보미를 인터뷰 대상인, 반려동물 소비자로 포함했다. 인터넷 소비는 개와 고양이의 종 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개의 반려인들은 고양이에게는 필요하지 않은, 목욕제품, 미용기구, 옷, 하네스, 유모차 등을 많이 구입했다. 그동안 펫 푸어(pet-poor) 현상은 자신에게 소비할 돈을 절약하여 반려동물을 위해 소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젊은 소비자들에게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펫 푸어 현상은 중장년, 노년층에서도 나타났으며 이들은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아도 반려견을 위해 값비싼 옷, 하네스 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장년 여성의 길고양이 돌봄이도 펫 푸어로의 전락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려동물용품의 인터넷 소비는 젠더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없었다. 대체로 가족을 위해 생필품 구매를 주로 해 오던 여성이 반려동물용품도 온라인으로 구매했고, 부인이 인터넷 사용에 서툰 경우에는 남편이 대신 온라인으로 반려동물용품을 구매했다.

국내 반려동물 식품 및 용품 시장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Market trends Analysis of Companion Animal Food and Products in Korea)

  • 최지희;박은정;이해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15-122
    • /
    • 2019
  •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의 식품 및 용품 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의 식품 및 용품의 시장현황을 분석하여 관련 정책 및 산업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닐슨코리아의 전국 도 소매 유통망을 활용하여 자료를 취합하고 사용하였다. 반려견 식품의 경우 국내업체 PB제품이 가장 높은 점유율(24.6%)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업체 점유율(54.8%)이 수입업체 점유율(45.2%)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려묘 식품 역시 국내업체 PB제품이 가장 높은 점유율(16.5%)을 가지고 있으나, 수입업체 점유율(71.6%)이 국내업체 점유율(28.4%)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려동물 장난감 경우 국내업체의 노즈워크 담요 판매 점유율(28.0%)이 가장 높으며, 구강용품(62.5%), 목욕용품(59.5%) 또한 국내 업체들의 제품이 점유율 상위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업체들이 대내적으로는 지속적인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대외적으로는 수출을 확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암묵적 피드백 기반 반려동물 용품 추천 시스템 (Pet Shop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Implicit Feedback)

  • 최희열;강윤희;강명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561-1566
    • /
    • 2017
  • 기계 학습과 인공 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응용분야들이 가능해지고 있고, 이중에 추천 시스템은 이미 여러 업체들에서 영화 추천이나 상품 추천 등의 서비스에 적용하여 효과를 보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인 추천 시스템들의 대부분은 아이템의 내용을 분석하여 추천하거나 아니면 평점과 같은 직접적인 피드백에 기반하여 시스템을 학습하고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온라인 쇼핑몰 중에는 아이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 어렵고, 직접적인 피드백 정보가 없거나 혹은 거의 없어 추천 시스템 구축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상품 조회에 관한 로그 기록들은 어렵지 않게 확보할 수 있고, 로그 기록들만 가지고도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서비스의 질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로그 기록으로부터 암묵적인 피드백인 상품 조회 정보를 추출하고, 암묵적인 피드백에 기반한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고, 제안된 시스템은 온라인 반려동물 용품점에 적용하여 확인한다. 즉, 사용자들의 상품조회를 위한 클릭정보만을 활용하여 반려동물 용품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로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