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능동현가장치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반능동 현가시스템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 이경수
    • 기계저널
    • /
    • 제33권10호
    • /
    • pp.902-911
    • /
    • 1993
  • 반능동 현가 시스템의 장점은 능동 및 수동 현가 시스템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다는 것이다. 즉, 반능동 시스템은 수동 현가장치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면서 대형 액츄에이터나 큰 동력 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승차감 및 조향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능동 및 반능동 현가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능동 또는 반능동 현가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형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대형차량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도로의 파손을 줄이면서 차 량의 수송능력을 향상시키는 연구는 최근에 유럽과 미국의 대형트럭 제조업체와 정부 주도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반능동 현가시스템에 의한 대형 트럭의 성능 향상 가능성 및 연구 개발도 승용차용 능동 및 반능동 현가시스템과 함께 앞으로의 주 연구 과제이다. 이글에 서는 우선 가변 댐퍼 및 반능동 현가시스템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반능동 현가시스템의 Bilinear Model, 제어방법에 대하여 언급한 후, 컴퓨터 모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반능동 현가시 스템에 의한 차량의 동적 성능 향상을 두 가지 측면, 즉, 승용차와 대형트럭의 측면에서 언급될 것이다.

  • PDF

자동차 능동형 샤시시스템 개발동향

  • 허승진
    • 기계저널
    • /
    • 제32권10호
    • /
    • pp.847-857
    • /
    • 1992
  •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샤시(chassis)라 하면 총체적인 개념에서 자동차로부터 차체(body)를 제외한 부분을 일컫는데, 구동 및 제동장치, 바퀴 현가장치, 조향장치, 타이어 및 휠 등이 이에 속한다. 1970년대 마이크로 컴퓨터의 응용기술이 도입되면서 엔진분야에서 시작한 자동차 전자화기술은 구동 및 제동분야에서의 전자제어식 제동잠김 및 구동 미끄럼방지 시스템(ABS/TCS)의 응용기 술을 거쳐 1980년 중반부터 차량의 현가 및 조향분야에서 능동형의 시스템이 개발되기 시작하 였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차용 적응식 및 반 능동식 가변댐퍼(variable damper), 능동식 현가시스템(active suspension system) 그리고 4륜조향 시스템(four wheel steering system)을 들 수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각종 능동형 시스템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설계되는 이 른바 자동차의 샤시 통합제어 시스템(chassis integrated control system)또는 능동형 샤시 시스템 (active chassis system)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에 가장 대표 적인 능동형 샤시시스템으로서 각종 능동식 현가시스템 및 4륜조향 시스템의 개발동향 및 기 술적,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검토를 하고자 한다.

  • PDF

ER 유체를 이용한 반능동 현가장치용 고전압 전원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High Voltage Power Supply for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Using ER Fluids)

  • 정세교;신휘범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53-464
    • /
    • 2002
  • ER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는 인가 전계에 따라 유체의 점도(Viscosity)와 댐핑력(Damping force)이 변화하는 혼합물질이며 반능동 현가장치, 고속 클러치, 진동 흡수장치 등에 적용되고 있다. ER 유체의 응용을 위해서는 강한 전계를 인가해 줄 수 있는 고전압 가변 전원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반능동 현가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전원장치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ER 유체의 전기적 특성, 고전압 전원장치의 요구조건, 전원장치의 설계 및 제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고전압 전원장치가 ER 유체 응용에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모드 연성효과를 고려한 반능동형 현가장치의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 of Semi-active Suspension Considering the Modal Coupling Effect)

  • 오재응;이정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30-44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여러 모드 사이에 존재하는 연성항의 비연성을 위한 능동 제어력을 계산하여 연성항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연성항을 비 연성화하기 위한 제어력을 계산하였으며, 현가장치의 반능동 제어에 적용하였다. 또 한 새로운 민감도 이론식을 제안하여 7자유도 현가계에 적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특성변화예측을 하였다.

수정된 스카이훅 제어기를 적용한 회전형 현가장치 차량의 차체진동 저감 (Vibration Reduction Technique for Rotating Suspension Vehicles with a Modified Skyhook Controller)

  • 정사무엘;유완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호
    • /
    • pp.25-30
    • /
    • 2013
  • 군용 견마로봇차량은 전시 임무수행간 야지를 주행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지속적인 충격에 의한 차체의 진동은 내부 구성품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현재 차체 진동저감을 위한 제어의 수단으로 능동 또는 반능동 현가장치을 사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반능동 현가장치와 더불어 $6{\times}6$ 차량의 회전형 현가장치와 독립적인 구동제어에 의한 진동저감 기법을 제안한다. 진동 제어기로는 스카이훅의 수정기법 중의 하나인 SH-ADD 를 적용하였다. ISO E 등급의 노면을 주행노면으로 선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은 ADAMS Control 과 Matlab Simulink 를 연동하여 수행하였다. 야지에서의 내부장비의 피로누적에 초점을 두어 주행 제어조건에 따른 RMS 수치로서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비선형 시트 쿠션 모델을 고려한 자동차 시트의 진동 제어 (Automotive Seat Vibration Control with a Nonlinear Seat Cushion Model)

  • 모창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61-266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반능동 진동 흡수기를 통합 시트/섀시 현가 장치에 확대, 적용하여 그 성능을 조사하였다. 통함 현가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위해 집중 인체질량과 함께 실험적으로 입증된 한 비선형 시트 쿠션 모델을 도입하였다. 또한 3 자유도 시트/섀시 현가시스템의 효과적인 진동제어를 위해 리아푸노브 바이스테이트 제어법칙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결과 반능동 통합 현가장치는 시트 쿠션 모델과 관계없이 운전자의 승차감과 관련 있는 시트의 절대가속도 크기와 시트쿠션의 시트 트랙에 대한 상대변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주로 사용되어온 선형 쿠션 모델을 사용한 경우보다 비선형쿠션 모델을 사용한 경우의 제진성능이 약간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 시트 설계시 성능분석을 위해서는 실제의(비선형의) 시트 쿠션 특성을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맥퍼슨형 반능동 현가장치의 노면적응형 스카이훅 제어와 HILS (Road Adaptive Skyhook Control and HILS for Semi-Active Macpherson Suspension Systems)

  • 박배정;홍금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4-44
    • /
    • 2000
  • In this paper, a modified skyhook control for the semi-active Macpherson suspension system is investigated. A new model for the semi-active type suspension, which incorporat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unsprung mass, is introduced and an output feedback control law using the skyhook control method is derived. The gains in the skyhook controller are adaptively adjusted by estimating the road conditions. Because two vertical acceleration sensors, one for the sprung mass and another for the unsprung mass, are used rather than using the angle sensor for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ontrol arm, the relative velocity of the rattle space is filtered using the acceleration signals. For testing the control performance, the actual damping force has been incorporated via the hardware-in-the-loop simulations. The performances of a passive damper and a semi-active damper are compared. Simulation results are provided.

  • PDF

상용 차량용 반능동 현가 시스템의 제어 (Control of Semi-Active Suspensions for Commercial Vehicles)

  • 이경수;정준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98-106
    • /
    • 1998
  • In this study a control law and performance potential of semi-active suspensions for a tractor/semi-trailer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ntrol law for airbag semi-active suspensions modeled in this study is developed using feedback linearization and Linear Quadratic (LQ) optimal control method. Inherent nonlinearity of the airbag suspensions has been considered in the control law development.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oposed semi-active control law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well known sky-hook damping control strategy.

  • PDF

슬라이딩 관측기를 이용한 에어셀과 반능동 서스펜션의 통합제어

  • 윤정주;유기성;이민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82-182
    • /
    • 2004
  • 기술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고급화로 인해서 자동차 탑승자의 주행 안락감에 대한 욕구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자동차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Karnopp외 2인에 의해 제안된 스카이훅(sky-hook) 현가이론은 능동/반능동 현가장치와 관련하여 잘 알려진 제어알고리즘으로 노면의 외란에 의한 차체의 수직가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가상적인 기준면을 공증에 설정하고 차체와 가상의 기준면 사이에 감쇠기론 설치하는 개념이다. 기존의 스카이훅 현가이론을 비롯한 일반적인 제어에서는 고주파 성분의 제어 상태 파라미터들로 인하여 발생한 과도한 제어입력과 그에 따르는 제어의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있다.(중략)

  • PDF

반능동 현가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한 견실 $H_{\infty}$ 제어기 설계 (Robust $H_{\infty}$ Controller Design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 정승권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5-90
    • /
    • 2000
  • In this paper, a robust $H_{\infty}$ a controller for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is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ride quality, the robust $H_{\infty}$ controller is designed to satisfy robust stability and road disturbance attenuation using an $H_{\infty}$ control design procedure. The performances of the design controller for some road conditions are evaluated by computer simulation and finally thes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robust $H_{\infty}$ controll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