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박판재료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5초

회전하는 복합재-VEM 박판보의 GHM 기법을 이용한 진동해석 (The Vibration Analysis of Composite-VEM Thin-Walled Rotating Beam Using GHM Methodology)

  • 박재용;나성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7-341
    • /
    • 2004
  • This paper concerns the analytical modeling and dynamic analysis of advanced rotating blade structure implemented by a dual approach based on structural tailoring and viscoelastic materials technology. Whereas structural tailoring uses the directionality properties of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the passive materials technology exploits the damping capabilities of viscoelastic material(VEM) embedded into the host structure. The structure is modeled as a composite thin-walled beam incorporating a number of nonclassical features such as transverse shear, warping restraint, anisotropy of constituent materials, and warping and rotary inertias. The VEM layer damping treatment is modeled by using the Golla-Mushes-McTavish(GHM) method, which is employed to account for the frequency-dependent characteristic o the VEM. The displayed numerical results provid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synergistic implications of the application of both techniques, namely, the tailoring and damping technology on vibration response of thin-walled beam structure exposed to external time-dependent excitations.

  • PDF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성형 금형 장수명화 코팅 기술 연구 (A Study on PVD coating technology for Metallic Bipolar Plate Forming Mold)

  • 김은영;전유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6-166
    • /
    • 2011
  • 연료전지 핵심 부품 가운데 하나인 분리판(Bipolar plate)는 막전극체(MEA), 기체확산층(GDL)과 함께 발생한 전류의 수집 및 전달, 반응 가스의 수송, 반응/생성물의 수송 및 제거, 반응열 제거 등을 위한 냉각수 전달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위하여 분리판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화학적 안정성이 요구되어 진다. 기존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흑연계 소재 및 수지와 흑연을 혼합한 복합 흑연 재료를 통해 제조하여 요구 되어지는 물성을 만족시켜 왔으나 흑연계 분리판의 경우 강도 및 가스 밀폐성 측면에서 낮은 특성을 보이며 특히 고가의 제조 공정 비용과 낮은 양산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연료전지 상용화에 수많은 해결 과제를 안고 있었다. 흑연계 분리판의 이러한 문제점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로 최근 금속계 분리판의 적용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계 분리판은 양산 제조 공정이 적용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자동차 연료전지 스택의 경량화 및 박판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박판의 스테인리스강을 소재로 적용한 금속분리판의 양산을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연구가 바로 금형 코팅 연구이다. 일반 자동차 생산 금형을 평균 약 50만타로 예측한다면 연료전지 금속계 분리판 성형 금형의 현재 수명은 약 10만타로 추정 가능하다. 이러한 원인은 고하중의 프레스 사용과 정밀 금형으로 인한 극한 공정 조건으로 야기된 결과이며 문제 해결을 위하여 성형 금형에 PVD 코팅 적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형 금형의 PVD 코팅 적용을 통하여 금형 교체 주기 감소를 통한 생산 원가 절감 및 이형성 개선을 통한 성형성 확보를 목표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탄소성 유한요소법에 의한 박판성형 공정의 해석 II - 접촉 조건을 가지는 박판성형 공정의 해석 - (Elastic-P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of Sheet Metal Forming Processes(II) - Analysis of Metal Forming Processes with Contact Condition -)

  • 심현보;정완진;양동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129-1137
    • /
    • 1990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한요소 방정식은 국부 질점좌표계(natural convected coordinate system)를 이용하여 변형을 묘사하는 대변형을 고려한 탄소성 증분 수식을 사용하였고, 국부 질점 좌표계를 사용함으로써 변형도 성분이나 구성 방정식의 성분들 에 대한 좌표 변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재료는 수직 이방성으로 가정하였다.

GHM 기법을 이용한 회전하는 복합재-VEM 박판보의 진동해석 (Vibration Analysis of Composite-VEM Thin-walled Rotating Beam Using GHM Methodology)

  • 박재용;박철휴;곽문규;나성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639-647
    • /
    • 2004
  • This paper concerns the analytical modeling and dynamic analysis of advanced rotating blade structure implemented by a dual approach based on structural tailoring and viscoelastic material technology. Whereas structural tailoring uses the directionality properties of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the passive material technology exploits the damping capabilities of viscoelastic material (VEM) embedded into the host structure. The main structure is modeled as a composite thin-walled beam Incorporating a number of nonclassical features such as transverse shear. anisotropy of constituent materials, and rotary inertia etc. The VEM layer damping treatment is modeled by using the Golla-Hughes-McTavish (GHM) method, which is employed to account for the frequency-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VEM. The displayed numerical results provid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synergistic implications of both techniques, namely, the tailoring and damping technology on dynamic response of a thin-walled beam structure exposed to external time-dependent excitation.

테이프 캐스팅법에 의한 MCFC Anode용 Ni-WC 박판 제조 (Sheet fabrication of Ni-WC an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by Tape Casting Method)

  • 최진영;정성회;장건익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0호
    • /
    • pp.715-720
    • /
    • 2000
  • MCFC 작동온도인 $650^{\circ}C$에서 음극의 creep과 소결에 의한 구조적 변형을 막기 위해 기계적 합금법에 의한 Ni-WC분말을 합금화하여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80시간동안 어트리션 밀링을 실시한 분말은 XRD 분석결과 결정규칙이 파괴된 비정질 상을 보였다. 제조된 분말은 적당한 점도의 슬러리로 제조후 테이프 캐스팅법에 의해 green sheet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박판의 두께는 0.9mm였고, 평균 기공 크기는 $3~5{\mu\textrm{m}}$, 기공율은 55%였다. 소결체의 XRD 분석결과 2차성은 생성되지 않았으며, SEM 및 dot-Mapping image를 통해 Ni matrix 안에 W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 고용강화 및 분산강화를 통해 Ni 음극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i-Nb 합금강에서 합금성분의 변화에 따른 석출물거동이 고온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ipitates on Hot Ductility Behavior of Steel Containing Ti and Nb)

  • 한원배;이종호;김희수;안현환;이승재;김성우;서석종;윤종승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5-292
    • /
    • 2012
  • Hot ductility behavior of precipitation-hardened low-carbon iron alloys containing 0.02 wt% Ti and 0.05 wt% Nb was characterized by a hot tensile stress test. Carbon (0.05, 0.1, 0.25 wt%) and boron (0.002 wt%) contents were varied to study the effect of precipitates on the high-temperature embrittlement of the alloy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sim}800^{\circ}C$. Ductility loss was observed at $700^{\circ}C$ for the tested alloys. The cause of the ductility loss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carbides and ferrite films formed at the grain boundaries during deformation. Although the carbon content tended to raise the total fraction of Nb (C, N), the precipitates were formed mostly in the grain interior as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 was raised above the deformation temperature by the high carbon content. Hence, carbon in excess suppressed the hot ductility loss. Meanwhile, boron addition improved the hot ductility of the alloys. The improvement is likely due to the boron atoms capturing carbon atoms and thus retarding the carbide formation.

비축대칭 박판성형의 성형성에 관한 연구

  • 김석관;이재진;윤희도;송인섭;양동열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냉장고를 운반하기 위하여 현재 냉장고 뒷판에 부착된 플라스틱 손잡이를 판금물인 냉장고 뒷판에 성형, 대체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손잡이는 그 형상이 비축대칭으로써 평면변형(Plane STRAIN)과 축대칭변형(axisymmetric)이 좁은 공간상에 공존하는 형태를 띄고 있고 그 성형 깊이가 깊어 성형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성형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형상의 최적설계를 통해 터짐을 방지하고 실험을 통해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현재 부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손잡이의 모양을 단공정으로 성형 시에는 재료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여 파단이 발생함으로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두공정으로 하여 첫공정에서는 축대칭에 가까운 형상으로 원하는 깊이를 얻고 두번째 공정에서 손잡이의 형상을 만들어 줌으로써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냉장고 뒷판의 형상 변경을 통하여 재료의 유입을 원활히 함으로써 단공정으로의 성형도 가능함을 도출하였다.

복합재료 H-형 단면 보의 동적응답 해석 (Dynamic Response Analysis of Composite H-type Cross-section Beams)

  • 김성균;송오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83-592
    • /
    • 2010
  • Equations of motion of thin-walled composite H-type cross-section beams exposed to concentrated harmonic and non-harmonic time-dependent external excitations, incorporating a number of nonclassical effects of transverse shear, primary and secondary warping, and anisotropy of constituent materials are derived. The forced vibrati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composite H-type cross-section beam exhibiting the circumferentially asymmetric stiffness(CAS) configuration are exploited in connection with the structural bending-torsion coupling resulting from direction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직접압연에서 용강의 유동을 고력한 열전달 해석 (Thermal Analysis Considering Liquid Metal Flow in Direct Rolling)

  • 이상동;김영도;강충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082-1091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응고계면을 기준으로 하여 액상역, 고상역 및 로울등을 각각 계산 가능한 영역으로 좌표변환하는 경계공정법을 사용하여 로울두께 방향의 온도분 포와 고상역과 액상역의 속도 분포를 고려한 2차원 응고해석을 하여 모델재료를 이용 한 실험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이론해석의 타당성을 검정한다. 그리고 열전도율이 연 강보다 적어 박판제조가 어려운 재료인 스테인리스강을 용탕으로부터 직접 생산하기 위한 압연조건을 정량적으로 제시하며, 압연로울의 냉각특성을 밝힌다.

T형 복합재료 기둥의 좌굴 (Buckling of T-Shaped Composite Columns)

  • 이승식;백성용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7-62
    • /
    • 2006
  • Composite thin-walled members for civil engineering application are mainly produced by pultrusion technique, and they are generally made of a polymeric resin system reinforced by E-glass fibers due to economical reason. This material combination results in low elastic moduli of the composite materials and makes the design of composite members to be governed by stability limit state. Therefore the buckling behavior of composite thin-walled members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Axial compression was applied on each specimens by a hydraulic ram and knife edge fixtures were placed at both ends to simulate simple boundary condition. Axial compression, lateral displacements and twisting at the mid-height of each specimen were measured by a set of transducers during buckling test. The experimental buckling loads were compared with analytical results obtained through isotropic formulas. In the calculation of analytical results, elastic properties such as Young's modulus(E) and shear modulus(G) were replaced with EL and GLT obtained from coupon test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