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박자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dop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Rest, Enhanced Postprocessing of Beats, and Initial Melody Processing for Automatic Composition System (자동작곡시스템에서 쉼표용 인공신경망 도입 및 개선된 박자후처리와 초기멜로디 처리)

  • Kim, Kyunghwan;Jung, Sung Ho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6
    • /
    • pp.449-459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to improve the three problems of existing automatic composition metho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existing beat post-processing to fit into music theories could not handle all the cases of occurring. The second one is that the pitch space generat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s is distorted because the rest is trained with the pitch on the same neural network with large values. The last problem i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melody and beats given by user and those generated b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he process of new composition. In order to treat these problems, we propose an enhanced post-processing of beats, initial melody processing, and adop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rest. It was found from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methods totally resolved the three problems.

Effects of Beat-Keeping Game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on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 Sul, Ye-Rim;Kim, Jin-Kyung;Park, So-Yeon;Kang, Dae-Hyuk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1 no.3
    • /
    • pp.81-92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at-keeping games in smartphone applications on improving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s : Three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BA design used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beat-keeping game. The game was hel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seven times for 20 minutes, including breaks. The dependent variable, "Visual-motor speed," was measured every session to assess if the beat-keeping gam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rticipant's executive function. Further,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Block design," and "Finding hidden picture" were measured. Results : All three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the beat-keeping game and the executive functions of "Visual-motor speed" and visual attention.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effective applications for learning and intervention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have difficulty in motivating themselves and lack attention.

Differences in attributional bias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between gamblers and non-gamblers (귀인양식과 귀인편향, 비합리적 도박신념에서의 차이: 도박자와 비도박자의 비교)

  • Eun-A Park;Jonghan Yi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1 no.2
    • /
    • pp.177-203
    • /
    • 2015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irrational gambling beliefs of gamblers and non-gamblers, 2) to investigate the role of cognitive error on winning probability thinking error, and 3)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bias and gambling behavior. A total of 248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n-gamblers, social gamblers and pathological gamblers, and administe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measure irrational gambling beliefs, the probability inference error, the attriburional style, and the attributional bias. A pathological gambler group scored highest o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especially the overestimation of self-ability factor, and a social gambler group and a non-gambler group follow. All three groups scored higher on the magnification of gambling skills than the mean (4.0) of the scale. Pathological gamblers and social gamblers scored higher on the probability thinking error than non-gamblers. Pathological gamblers displayed higher external attribution, lower internal attribution in their daily life events and higher internal attribution in failure situation than social gamblers and non-gambl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gnitive errors would be a factor that differentiates pathological gamblers from social gamblers and non-gamblers. In predicting gambling behaviors, overestimation of self-ability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s, internal attribution in failure situation, external attribution in daily live event, and probability thinking error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t is concluded that a public education about common cognitive bias featured in gamblers might be important in prevention of pathological gambling behaviors.

  • PDF

Aspects of Korean rhythm realization by second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of Korean (제 2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리듬 실현양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Youngsook Yune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5 no.3
    • /
    • pp.27-35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nese on the production of Korean rhythm. Korean and Chinese are typologically classified into different rhythmic categories; because of this, the phon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and Chinese are similar and different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Chinese can exert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the realization of Korean rhythm.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rhythm of the native language of L2 learners on their target language, we conducted an acoustic analysis using acoustic metrics like of the speech of 5 Korean native speakers and 10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The analyzed material is a short paragraph of five sentences containing a variety of syllable struc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KS and CS rhythms are similar in %V, VarcoV, and nPVI_S. However, CS, unlike KS, showed characteristics closer to those of a stress-timed language in the values of %V and VarcoV.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PVI_V values. These results demonstrate a negative influence of the native language in the realization of Korean rhythm.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ll vowels in Chinese sentence are not pronounced with the same emphasis due to neutral tone. In this sense, this study allowed us to observe influences of L1 on L2 production of rhythm.

Multiplication table Study related to Elementary Music (초등학교 교과서 음악과 연계한 구구단 학습법)

  • Lee, Hyunl-J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73-279
    • /
    • 2007
  • 수학은 생활의 기본이 되는 도구 교과이다. 그 중에서 아동들이 가장 중요하지만 어려워하고 후속 학습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구구단이다. 고학년이 되어서까지 곱셈 구구를 못 외우는 학생들은 지도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수학 학습에서 뒤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암기가 중심이 되는 부분이라 다른 것들보다 학습의 흥미가 떨어지고 시기를 놓치면 학습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지금까지 어려웠던 어렵고 암기위주로 흘러가던 구구단을 음악과 연결시켜 보는 것은 어떨까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쓰이는 음악들은 모두 초등학교 교과서에 있는 음악으로 아동들이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음악들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2학년 뿐만 아니라 구구단을 어렵게 느끼는 고학년의 학습에도 도움이 되도록 제작하였다. 프로그램은 전체 구구단인 2$\sim$9단을 다루도록 하였으며, 각 단은 4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에서는 1-각 수까지 반복해서 세는 연습을 하였고, 2단계에서는 반복했던 수를 연결하여 띄어세기 연습,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했던 띄어세기를 확장하여 구구단 연습을 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정리단계에서는 각단의 구구단을 랜덤으로 배치하여 구구단의 복습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2,4,5,6,8단은 각기 박자에 맞춰서 구구단을 외우는 것이고 5,7 단은 박자에 맞추기 어려우므로 글자수에 맞춰서 구구단을 외우도록 하였다. 박자에 맞추는 것이 주가 아니라 수학을 배우는 것이 중심이므로 틀린 박자에 맞는 숫자를 누르는 것은 반응하지 않도록 하였다. 구구단 중간에 있는 수까지를 전부 제시함으로써 큰수와 띄어세기 그리고 구구단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e Conducting Motion Recognizing System Using Acceleration Sensors for the Virtual Orchestra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지휘 동작 인식 시스템)

  • Son, Dong-Kwan;Lee, Hui-Sung;Noh, Young-Hae;Wohn, Kwang-Yun;Goo, Bo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24-129
    • /
    • 2006
  • 음악은 소리를 즐긴다는 뜻을 담고 있다. 감상자에게 단순한 청각적 자극을 넘어 즐거움을 주기 위해선 음악적인 경험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가상 현실을 이용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음악 경험 제공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음악을 접하고 체험함으로써 음악을 통해 즐거움을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가상 오케스트라를 구현하고 지휘 동작을 재현하는 것은 이러한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오케스트라를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중간 단계로, 사용자의 지휘 동작을 감지하여 연주의 박자(속도)를 제어하는 지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시한다. 실제의 지휘 동작을 분석하고, 동작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를 이용, 공간상에서 지휘봉의 움직임을 가속도 정보로 수집하여 이에 상응하는 박자의 제어를 구현한다. 사용자의 박자 명시에 따라 변화하는 상하 방향의 가속도를 센서를 통해 전압 신호로 입력 받고, DSP 의 A/D conversion 모듈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일정 수준 이상의 신호를 박자 정보로 직렬통신을 통해 컴퓨터에 전달한다. 컴퓨터에서는 Max/MSP를 이용하여 각 박자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고 상응하는 MIDI 음악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구현된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CCD 카메라에 의한 Motion Tracking 을 보완하여 동작의 크기에 따라 음량을 조절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되는 시스템은 지휘 동작에서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상하 방향의 급격한 가속도 변화를 직접 입력 받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에 비해 지휘 동작의 인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화상 처리 및 계산에 의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규모를 소형화하여 보다 지휘봉의 형태에 가까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적합한 응용 콘텐츠를 접목할 경우 게임 컨트롤러로의 발전 가능성이 있다.

  • PDF

Influence of Beat Interval of Rhythm in Music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Comfort (음악 리듬의 비트 간격 변화가 심박변동 및 쾌적감에 미치는 영향)

  • 정재선;이창미;고한우;김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227-232
    • /
    • 1999
  • 본 논문은 음악 리듬의 비트간의 간격의 변화가 사람의 심박동 및 쾌적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악 리듬의 박자를 규칙적인 다섯 단계의 변화를 적용하여 평가했다. 평가 항목으로는 (1) LF성분에 많은 영향을 보이는 심박동의 전력스펙트럼 분석과 (2) S.D.법으로 심리적 평가항목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박자의 변동이 일정한 정박자 리듬에서는 생체에 특이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박자의 변동이 변화하는 리듬에서는 LF성분이 증가함으로 긴장과 불안이 유발됨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심박변동의 스펙트럼 분석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LF와 HF 성분사이의 비를 조사함으로 심리학적 불안을 평가하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 PDF

Rhythm Education Contents Using Number of Cases (경우의 수를 활용한 리듬 교육 콘텐츠)

  • Lee, Chang Ku;Lee, Seungyon-seny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01-202
    • /
    • 2015
  • 이 연구는 리듬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수학적 관점인 경우의 수로 해석하여 얻어진 사각형 모양의 한 박자 단위를 16가지 리듬패턴과 이 리듬패턴들을 이어주는 두 박자 단위의 225가지 리듬패턴으로 제시한다. 기존의 리듬교육에 새로운 지각적 인지 방법으로 시범 적용하여 리듬교육 방법을 증명하고 결과를 도출한다.

  • PDF

Tempo Detection of Polyphonic Music Signal (다성 음악 신호의 템포 검출 기술)

  • Lee, Donggyu;Kim, Kijun;Park, Hoc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167-17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박자 분류 방법을 사용하여 다성 음악 신호의 템포 쌍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템포를 검출하는 방법은 음의 시작점을 추출하여 음악의 주기적인 흐름을 파악한 뒤, 그 주기를 템포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제안한 기술은 템포로 추측되는 배수 관계의 템포 후보를 추출한 뒤, 템포 후보를 박자에 따라 분류하고 곡의 빠르기를 고려하여 최종 템포 쌍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높은 정확도로 템포 쌍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