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박스오피스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Boxoffice Prediction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이용한 박스오피스 예측)

  • Lee, Hyeong-Seok;Jeong, Gun-Mo;Lee, Min-Soo;Cheon, Jun-Hyeon;Kang, Yu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58-359
    • /
    • 2017
  • 실제 영화관에서는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해 저마다의 상영관 별 다른 영화 배치 전략을 가지고 있다. 이 영화 배치 전략으로 인해 영화관의 매출이 좌지우지 된다. 여기서 가장 보편적인 기준은 박스오피스이다. 하지만 박스오피스는 과거 영화 상영의 매출액을 모아둔 것으로 개봉되지 않은 영화에 대한 정보는 가지고 있지 않다. 이 개봉되지 않은 영화에 대한 기준, 즉 박스오피스를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는지가 각 영화관의 경쟁력을 결정한다. 본 논문은 개봉 예정인 영화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박스오피스를 예측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박스오피스와 비교, 분석하는 내용을 다룬다.

  • PDF

A Box Office Type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Model Based on Automated Machine Learning for Maximizing the Commercial Success of the Korean Film Industry (한국 영화의 산업의 흥행 극대화를 위한 AutoML 기반의 박스오피스 유형 분류 및 예측 모델)

  • Subeen Leem;Jihoon Moon;Seungmin Rho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11 no.3
    • /
    • pp.45-55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a model that supports decision-maker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o maximize the success of online movies.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historical box office movies and clustered them into types to propose a model predicting each type's online box office performance. We considered various feature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movie success and reduced feature dimensionality for computational efficiency. We systematically classified the movies into types and predicted each type's online box office performance while analyzing the contributing factors. We used automated machine learning (AutoML) techniques to automatically propose and selec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optimized for the problem, allowing for easy experimentation and selection of multiple algorithms.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informed decision-making and contribute to better performance in the film industry.

  • PDF

Prediction of Movies Box-Office Success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박스오피스 관람객 예측)

  • Park, Do-kyoon;Paik, Jury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5-18
    • /
    • 2020
  • 특정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이 꾸준히 논란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스크린 분배의 불평등성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할 근거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영화 관람객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KOBIS, 네이버 영화, 트위터, 구글 트렌드에서 수집한 3,143개의 영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랜덤포레스트와 그라디언트 부스팅 기법을 활용한 영화 관람객 예측 모델을 구현하였다. 모델 평가 결과, 그라디언트 부스팅 모델의 RMSE는 600,486,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RMSE는 518,989로 랜덤포레스트 모델의 예측력이 더 높았다. 예측력이 높았던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활용, 상영관을 크게 확보하지 못 했던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의 상영관 수를 조절하여 관람객 수를 예측, 6,345,011명이라는 결과를 제시한다.

  • PDF

희망칼럼 - 핵융합 연구를 통한 미래에너지 기술 주도 Energy

  • Yun, Dae-Su
    • 핵융합뉴스레터
    • /
    • s.47
    • /
    • pp.4-5
    • /
    • 2010
  • 지난 겨울 개봉과 동시에 사상 최고의 박스오피스 수입을 기록했던 영화 <아바타>에는 판도라섬의 자원인 '언옵타늄'이 나온다. 영화 속에서 '언옵타늄'은 초전도체의 특성을 지닌 물체로 지구의 에너지자원 고갈물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체에너지 자원으로 설정돼 있다. 이 영화는 비록 현실이 아닌 가상 세계를 통해 미래 세계의 희망을 표현했지만 대체에너지 개발의 중요성를 잘 보여주고 있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in the Chinese Film Market: Focusing on Films Released in 2010~2014 (중국 영화시장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0~2014년 개봉 영화를 대상으로)

  • Ding, Jieyun;Park, Kyung-Woo;Chang, Bye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296-310
    • /
    • 2017
  •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movies in the Chinese market in 2010~2014. A total of 499 movi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genre, actor/actress power, director power, sequel, remake, release period, award, online evaluation, distributor power, and production area were chosen as independent variables.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os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distributor power were found to affect box office performance of the movies.

A Research of Anomaly Detection Method in MS Office Document (MS 오피스 문서 파일 내 비정상 요소 탐지 기법 연구)

  • Cho, Sung Hye;Lee, Sang Ji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2
    • /
    • pp.87-94
    • /
    • 2017
  • Microsoft Office is an office suite of applications developed by Microsoft. Recently users with malicious intent customize Office files as a container of the Malware because MS Office is most commonly used word processing program. To attack target system, many of malicious office files using a variety of skills and techniques like macro function, hiding shell code inside unused area, etc. And, people usually use two techniques to detect these kinds of malware. These are Signature-based detection and Sandbox. However, there is some limits to what it can afford because of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malware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 methods to detect malicious MS office files in Computer forensics' way. We checked Macros and potential problem area with structural analysis of the MS Office file for this purpose.

Movie Box-office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and Feature Selection : Focusing on Multivariate Time Series

  • Byun, Jun-Hyung;Kim, Ji-Ho;Choi, Young-Jin;Lee, H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6
    • /
    • pp.35-47
    • /
    • 2020
  • Box-office prediction is important to movie stakeholder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predict box-office and select important variab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variate time series classification and important variable selection method to improve accuracy of predicting the box-office. As a research method, we collected daily data from KOBIS and NAVER for South Korean movies, selected important variables using Random Forest and predicted multivariate time series using Deep Learning. Based on the Korean screen quota system, Deep Learning was us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box-office predictions on the 73rd day from movie release with the important variables and entire variables, and the results was tested whether the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Deep Learning model, Multi-Layer Perceptron, Full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Residual Network were used. Among the Deep Learning models, the model using important variables and Residual Network had the highest prediction accuracy at 93%.

전편을 능가하는 속편 아이스 에이지2

  • Sin, Seon-Ja
    • Digital Contents
    • /
    • no.5 s.156
    • /
    • pp.118-121
    • /
    • 2006
  • 빙하시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어드벤터 애니메이션<아이스에이지>의 속편<아이스 에이지2>가 이번에는 해빙기를 맞아 4년만에 관객을 찾는다. 영화에서 통용되는 '전편보다 못한 속편'이라는 개념을 과감히 깨고 '전편보다 나은 속편'이라는 수식어로 돌아온 이 애니메이션은 미국 개봉 당시 2주동안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고 개봉 후 열흘 동안 1억 7,000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등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4년만에 돌아왔지만 탄탄하게 짜여진 파이프라인에 맞춰 8개월만에 제작 완료된 이 작품은 더욱 방대하고 다이나믹해진 모습으로 관객들을 끌어 모이고 있다. 화려하게 컴백한 아이스에이지2의 세계로 가보자

  • PDF

Analysis on Immersion of Digital Animation -Focused on complex analysis on the concept and story-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몰입감 분석 연구 - 콘셉트와 스토리의 복합적 분석을 중심으로 -)

  • Kim, Ki Bum;Kim, Kyoung Soo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24
    • /
    • pp.1-13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asons of success and failure of digital animations in terms of 'immersion.' For the purpose, the causes of immersion were analyzed through complex comparison about concepts and stories of two animation films with similar size of budget: 'Shrek 2' which ranked number 1 in the box-office of animation and 'Mars Needs Moms' which ranked number 172 in the same category. The complex results showed that immersion becomes bigger with creativity and popularity of the characters' outer concept, diversity and organic of the characters' inner concept, and diversity and consistency of the background. Moreover, gradual arrangement of characters' appearance in the story and increasing number of the characters, and visual changes around the plot heightening with a well-organized passage increase immersion. After all, immersion of digital animation requires developing creative, diverse, and popular concept and arranging and strengthening strategic well-organized plot of parts and the whole. This is the key to convergence it.

Automation tools for stabilizing compatibility testing and reducing time (Hancom office) (호환성 테스트의 안정화 및 시간 단축을 위한 자동화 도구 (한컴 오피스))

  • Kim, Jun-Gi;Choi, Y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84-487
    • /
    • 2017
  • 사람이 만드는 소프트웨어는 개발을 시작함과 동시에 오류를 만들어내기 시작한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람이 이러한 오류를 잘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개발자 스스로가 자신의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찾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에 소프트웨어의 테스터가 따로 존재하게 되는데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방법은 크게 화이트박스 테스트와 블랙박스 테스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호환성 도구는 블랙박스 테스트를 기반으로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며 자동화를 결합시켜 사람이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할 때의 물리적인 시간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 목적에 따라 호환성 테스트를 위한 적절한 테스트 샘플을 제작한 후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한 뒤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람이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할 때와 비교하여 시간적 효율성과 오차 범위를 줄임으로써 신뢰도를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호환성 도구의 유용함을 밝히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