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박물관 디자인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4초

디자인 진흥 기관으로서의 디자인 박물관 (The Design Museum as a Promoter)

  • 최정아;김현중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69-278
    • /
    • 2007
  • 1852년 영국 런던에 세계 최초의 디자인 박물관이 설립된 이후, 디자인 박물관의 상업화와 권력화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서구 디자인 선진국들은 디자인 박물관을 중심으로 디자인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함으로써 디자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우수성을 홍보하며 국가 경쟁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켜왔다. 21세기 문화 경제 시대를 맞아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 디자인 발전을 주도할 디자인 박물관 설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박물관 관련 연구가 미비한 현 상황에 한국 디자인 박물관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시간축을 중심으로 수직적인 통시적 접근을 통해 해외 디자인 박물관이 디자인 발전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는지를 살펴보고, 수평적인 공시적 접근을 통해 현재 디자인 박물관이 성공적인 역할 수행을 위해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서 한국 디자인 박물관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박물관 자원에 기초한 문화 창작물의 활성화 응용 연구 (Research on the Dynamic Application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based on Museum Resources)

  • 제소;반영환;장완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51-166
    • /
    • 2022
  • 박물관은 역사와 문화 축적의 실체이자 상징이고 박물관 유물은 역사의 혼을 담고 있는 단서이며 박물관 문화 창작물은 언제나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역사이다. 현대박물관은 전통 박물관의 '물중심'을 '사람중심'으로 변화시키고 그 활태전승에 치중하는데, 박물관의 문화 창작물은 활태전승의 일종의 표현 방식이다. 이 글은 인터넷 조사 연구, 현지 답사, 전문가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중국 박물관 문화 창작물이 현재 직면한 기회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박물관 문화 창작물의 디자인 방법을 보완하려 한다. 박물관 문화 내포 요소의 발굴과 박물관 문화 창작물 기능 요소의 확대와 박물관 문화 창작물 디자인 요소의 혁신과 문화 창작물과 인간의 공감 요소의 제조에 의한 4가지 요소를 일체화한 디자인 방법으로 탐구하고 사례실천을 검증하여 중소형 박물관의 문화 창작물들이 디자인 기법 미비로 인한 문화 창작물 기능성 부족, 혁신성 부족, 전파성 부족 등의 단점을 보완한다. 더 많은 사람을 박물관으로 안내하고, 전통 문화를 전파선양하며, 인간과 유물, 인간과 인간의 공감대를 형성시킨다.

박물관 전시용 기능성 게임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Guidelines for Serious Game Museum Exhibits)

  • 권정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19-138
    • /
    • 2019
  • 박물관에서의 디지털 전시의 확장에 따라 사용자의 경험 또한 점차로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박물관 관련 게임 연구는 주로 게임 개발 기술과 사례 소개 등 개발자 중심의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융합하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 전시로서의 기능성 게임이 박물관의 목적에 부합하게 디자인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박물관 교육, 공공장소에서의 HCI, 기능성 게임, 유니버설 디자인 등의 분야에서 박물관 게임과 관련된 문헌을 찾아 각 분야 연구를 내용분석하여 코딩한 후 좋은 디자인의 기준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물리, 개인/사회적 맥락 학습모형에 기초하여 총 16개 항목의 가이드라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향후 박물관 내 기능성 게임의 디자인과 전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시회 -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의 광복 70주년 기념 특별전 '해방둥이의 늦은 칠순잔치'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제14권10호
    • /
    • pp.108-109
    • /
    • 2015
  • 근현대디자인박물관(관장 박암종)은 9월 11일부터 오는 10월 8일까지 갤러리모디움에서 '해방둥이의 늦은 칠순잔치'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해방둥이 광복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통해 광복 이후 70년 역사와 디자인사를 돌아보며, 근현대 디자인박물관 특색에 맞게 광복 70년을 기념하는 스토리텔링으로 진행된다.

  • PDF

박물관 문화상품을 위한 플랫폼의 상호경험디자인에 대한연구 -선양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xperience Design of Museum Cultural Product Customization Platform -Focusing on Shenyang Palace Museum)

  • 임시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5-200
    • /
    • 2022
  •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혁신적 개발은 박물관이 소장품을 이용하여 문화의 전파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사람들의 소비 수준이 늘어나고 업그레이드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문화 콘텐츠 디자인과 판매 방식은 날로 늘어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맞춤형 체험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여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고 박물관 문화의 전승과 보호를 도모하려 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기존의 플랫폼 모델과 특징을 분석하고 설문지 159부를 배포하여 문화 콘텐츠 소비자들의 욕구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맞춤형 체험과 현존하는 인터넷 소매 플랫폼과 결합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었으며 선양 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가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문화 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도가 비교적 높았다. 맞품형 플랫폼을 이용한 디자인은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확산과 확대를 촉진하며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여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과 디자인, 소매 등에 새로운 생각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고는 박물관의 문화 콘텐츠 개발은 맞춤형 플랫폼에 따라 소비자들의 특성에 맞춰 소비자들의 서비스 경험을 더욱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간마케팅 관점에서 본 지역박물관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Element of Regional Museum Space-Marketing)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47-549
    • /
    • 2011
  • 지역 박물관은 대도시의 대규모 박물관에 비하여 전시물의 양과 질 그리고 관람객의 접근성에 있어서 열세에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과학기술 문화사업 시행계획에 의한 중점 추진 전략으로써 지방테마 과학관 지원사업이 실행되고 있다. 지역 박물관중 특히 과학관은 어린이와 청소년층의 교육에 크게 도움이 되는 전시를 특징으로 하며 현재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주제로 관람객의 방문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기초 조사를 통해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다 잘 보존하고 지역 문화 발전과 지역경제에 이바지하는 시설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마케팅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지역 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for promotion of regional museum)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78-381
    • /
    • 2007
  • 박물관은 과거의 단순한 유물의 수장과 전시라고 하는 전통적 개념에 더하여 일반 대중에게 휴식과 교양을 제공하는 문화시설로서 현대인의 심리를 충족시키는 사회교육기관으로까지 그 기능이 확대 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비하여 현존하는 지역 박물관은 기능을 충족하기 어려운 현실이고 이를 해결할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박물관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박물관의 건축 디자인적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박물관에 있어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 국내 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Situ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in Museums - Focusing on the Case of Museums in Korea -)

  • 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7-25
    • /
    • 2004
  • In Cis study, the problems of the correspondence of the museum to universal design have been grasped and examined. As the result, four problems have clarified as follow: (1) At the present, many barriers exist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the museum. In this case, the correspondence to universal design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by using Braille and sound to illustrate the display and guide. (2) The universal design of "the transfer of information" has been considerably retarded from the universal design of "the movements of observer" in the correspondence. Th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in the museum are very important, and the correspondence is urgent. (3) It is necessary that the expert committee need to be installed to grasps and solves the barrier in the museum. (4) In order to execute the universal design in the museum, it is necessary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museum's staff to universal design should be improved. should be improved.

박물관 건축의 공공.서비스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Public¡¤Service space in Museums)

  • 이정우;김용승;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호
    • /
    • pp.98-104
    • /
    • 1999
  • This study aims to offer fundamental design strategies for concerning public·service space in museum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foreign museums. In so doing, it deals with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public·service space. It suggests that the careful consideration about the public·service space should be taken in order to make the museum public in real sense. Some design strategie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a public museum design, in particular at the early stage of the design process.

  • PDF

어린이박물관의 전시설계를 위한 관람특성 연구 - 삼성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for the Inspectors for the Exhibition of the Children's Museum)

  • 권정란;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7-81
    • /
    • 2002
  • Today, local museums as well as international museums are varied with scale, foundation purpose and function. Children's museum is particularly designed for special viewers. Therefore, the expression design factors such as plane, cubic side, illuminator, line of flow, color,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ewer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A couple of sample museums a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iewers.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sign of children's muse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