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박물관 교육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eaching Artists competencies as educator for animati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에듀케이터로서의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연구)

  • Kim, Jae-Woo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5
    • /
    • pp.235-258
    • /
    • 2016
  • As the first class Teaching Artists system is about to be brought to effect, the ability required for Teaching Artists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s, develop and manage education program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a museum Educator. This system is necessary for resolving problems in exis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ch as overlapping programs and adjusting difficulty levels by age to meet the demand of educatee. It also deals with drawbacks in production-oriented curriculum originating from the preference in some subject. In addition, as progr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makes rapid changes in digital media and its subculture, increasing need for novel an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puts furthe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is system. In this study, we focus on clarify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or as a professional and proposing curriculum for the system, trying to avoid restricting our discussion to current Arts Instructor Supporting Project which are merely aimed at suppor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to grow up to enjoy culture and arts. Capacity for designing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the kernel of qualification for the first class Teaching Artists, requires a variety of comprehensive expertise and qualification such as doing preliminary research on contents related to animation, curating, determining potential of educational contents,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for appropriate educatee, understanding esthetic property and its role in education, and appreciating and enjoying cultural contents. Therefore, Teaching Artists plays roles not only in developing and running educational programs but also in supporting and cooperating with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designing and managing creative programs, combining and communicating with different social groups, and emphasizing mutual interchange in culture.

The Effects of Consumer Perceived Value on the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in the Palace Museum in China (중국 소비자 지각된 가치가 고궁박물관 문화 창의 제품의 제품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Zhang, Binyuan;Pang, Qiwei;Wei, Yingmei;Bae, Ki-H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123-136
    • /
    • 2021
  • The Palace Museum Cultural Creative Products on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consumers who had consumed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of the Palace Museum in the past. There were 305 valid questionnaires empirical surve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three variables of Consumer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Second, among the three variables of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Cultural Educational Valu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nsumer urchasing ntention, but other variabl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between the Perceived Value and the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while maintaining the cultural identity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it is necessary to adopt reasonable methods to maximize the sense of enjoyment and comfort, enriching the daily use functions and rationalizing the price standards.

History of Planetarium in Korea

  • Park, Sooncha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71.3-71.3
    • /
    • 2017
  • Zeiss사에 의해 고안되어 제작된 최초의 근대식 천체투영기(Planetarium)는 1923년 독일박물관에 설치되었다. 세계 최초의 천체투영관은 큰 이목을 끌었고, 이 소식은 전세계로 전해져 유럽의 퍼지기 시작했고 1930년대에는 미국의 갑부들이 자기 도시에 천체투영관을 설립하였다. 우리나라는 재일동포 사업가 이현수에게 일본 GOTO사의 천체투영기를 기증받아 1967년 4월 29일 광화문 전화국 옥상에 최초의 천체투영관이 개관하였다. 이 투영기는 1970년 남산어린이회관으로 이전되었다가, 1975년 광진구에 있는 어린이회관으로 옮긴 후 2005년 퇴역하였다. 2017년은 천체투영관이 도입된 지 50주년이 해로, 2017년 10월 현재 우리나라에 88곳의 천체투영관이 운영중이며 연 200만명이 방문하는 중요한 천문교육시설이 되었다.

  • PDF

가상과 현실

  • Ju, Sang-Hyeon
    • TTA Journal
    • /
    • s.133
    • /
    • pp.44-49
    • /
    • 2011
  • 인간은 누구나 지구상의 수십억 인구 중 하나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고 있으며, 그 현실은 자신의 마음대로 움직여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활동반경 역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환경이라는 현실적 제약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우리는 가상이라는 기술을 이용한다. 가상을 통해 우리는 원하는 대로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를 체험하는 흥미나 오락위주의 기술을 발전시켜 왔지만, 현실과 괴리, 게임 중독, 사회 부적응 등의 부작용을 가져왔다. 그러나, 최근 가상기술이 인간의 생활, 경제, 훈련, 교육, 의료, 국방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면서 더 이상 가상기술이 현실과 독립적으로 떨어진 것이 아닌 현실과 혼합된 형태의 서비스로 변화해 왔다. 다시 말해 현실의 시공간적 제약을 가상으로만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환경을 배경으로하는 서비스로 진화한 것이다. 가상쇼핑을 통해 실제물건을 구매하고, 가상드레스를 입어보고 맞춤형 의복을 만들어 내거나, 루부르박물관을 가상으로 투어하고, GPS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커피숍을 찾는 등 점차 가상기술이 현실로 침투해 오고 있다. 이제 보여야 믿는다 (seeing is believing)는 말은 구시대적 발상이 되었다. 보인다고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고, 안보인다고 진짜 없는 것도 아니다. 사람조차도 가상으로 만들어 실제의 사람들과 공존하는 세계를 보여준 "써로게이트"라는 영화가 아직은 먼 미래의 기술처럼 생각되겠지만, 이러한 혼합세계에 다가가기 위한 기술적 접근이 초보단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고에서는 이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기술의 개발현황과 국가 정책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Lee, In-Gy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6 no.7 s.290
    • /
    • pp.95-97
    • /
    • 1993
  • 남북한이 분단된지 반세기가 다 되었으므로 여러 영역에서 남북한간에 이질화가 일어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질화가 영역에 따라서는 차후 한민족의 동질성회복이라는 큰 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치명적인 걸림돌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남ㆍ북한산 식물에 대한 국명의 이질화도 이러한 관점에서 매우 주목되어 마땅하다. 그 까닭은 이름의 혼란이란 그 분야의 교육과 학문발전에 중대한 장애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남한의 경우 한국산 식물에 대한 국명의 통일작업은 아직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정도여서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많지만, 북한의 경우 이미 1970~80년대에 국가적인 주요과업의 하나로 북한산 동, 식물에 대한 국명 통일작업이 완료되어 북한산 식물은 여러 가지 새로운 이름들로 불리워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필자는 1992년 과학재단의 방문연구를 통하여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하고, 그 곳에 소장된 북한산 식물명집을 입수한 바 있어서, 현재 남한에서 그 명명작업이 완료된 분류군을 대상으로 남북한에 함께 출현하는 식물에 국한시켜 식물명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보고는 그 중 하등식물의 조류에 속하는 분류군인 녹조식물과 갈조식물에 대하여 남북한의 국명을 학명과 대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국명의 비교 검토는 차후 남북한의 식물명 통일작업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유인등대의 친수문화적 특성에 따른 해양문화공간 조성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67-369
    • /
    • 2014
  • 대한민국에 근대적인 항로표지가 처음으로 개설된 이래 지난 2003년에는 대한민국 등대 100주년을 맞이하여 '유인등대 해양문화공간 조성계획'을 수립하고 유인등대 시설보완 및 개방, 등대 박물관 확장 개관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다각도의 노력은 폭발적인 성과를 거두어 2001년 한 해 동안 유인등대를 다녀간 방문객이 공식적으로 기록된 것만 300만 명이 넘게 되었다. 이후 대한민국의 등대는 40여 개의 유인등대와 60여 개의 무인등대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현재 23개의 등대가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등대가 많은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특히 유인등대는 해양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었고 향후로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유인등대의 친수문화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라 해양문화공간의 조성 방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침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Interactive Intangible Heritage Contents using Multiple Sensors: Focused on Bongsan Mask (다중 센서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무형유산 콘텐츠: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 Won, Haeyeon;Yu,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73-374
    • /
    • 2019
  • 2004년 이후로 무형유산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박물관의 설립 및 전시 콘텐츠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그 콘텐츠를 활용한 ICT응용기술 발전이 미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무형유산중 하나인 봉산 탈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교육형 인터랙션 콘텐츠 응용을 제안한다. 키넥트와 팔에 장착된 자이로 센서들을 활용한 향상된 동작 추적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봉산탈춤의 기본 동작 및 과정을 따라함으로써 봉산탈춤을 학습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s of Education for Court Music Utilizing Uigue(儀軌) (국악교육 자료로서의 의궤(儀軌) 활용 방안 모색)

  • Lee, Jung-hee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6
    • /
    • pp.725-750
    • /
    • 2018
  • Uigue(儀軌) is the report of court events, and its contents are very detailed and crucial as it is even called as the flower of written culture. Thus, many research theses about Uigue have been accumulated in academic circles so far, and easy books about Uigue targeting ordinary people have also been published. However, Uigue has not been used actively in educational circles yet. From now on, we should develop and induce ways to use Uigue actively in educational spots in order to let students who will lead our future have pride in our culture and know about the superiority of our court music culture. Especially when court music culture is taught in the secto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is beneficial to use Uigue. Since most of the court music repertory is slow and magnificent, if court music itself is exposed beforehand, it might give them an impression that it is "unexciting and boring". Therefore, this study gropes for teaching methods to 'show' court music culture first through various visual aids contained in Uigue. In other words, it examines how the instrument images, band images, dance images, or concert stages contained in Uigue can be used as teaching materials. Except for the materials selected in this article, there are plenty of teaching materials for court music culture in Uigue. Furthermore, it would be even better if not just Uigue but Oryeseo (五禮書), Akseo(樂書), Dobyeong(圖屛), and Gwanchan Akbo(樂譜) can be added to widen its range for more multilateral court music culture education. And if at the educational spots, showing classic court music culture is accompanied with listening to court music through various materials of court music and dance, we can expect even better educational effects from it.

Artists or Educators?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llective Identity of Futur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CEIs) (예술가인가 교육가인가?: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 취득희망자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Kim, InSul;Park, ChilSoon;Cho, Hyojung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v.17 no.2
    • /
    • pp.185-216
    • /
    • 2014
  • It has been two years since the national certificate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ACEI) was implemented the 2012 amendment to the Arts & Culture Education Act. Separate from the initial policy goals, students who attend the program to achieve ACEI certificate share various expectations, motivations and intent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llective identity of future ACEIs to evaluate the initial policy implementation during the period when the collective professional identity has not been fully formed yet. This research studies the data that were collected from 172 students who were attending one of the official ACEI institutes in Seoul area.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Questionnaire Method was employed to conduct this phenomenological study. James E Marcia's theory provide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many students'identity status are between Identity Diffusion and Moratorium, which raises concerns for both arts and cultural fields as well as the policy success.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relate these findings to the larger arts and culture infrastructure in order to better prepare them as arts and cultural professionals and also to stress the importance of the job market development and social environment that can accept them.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and Other Regional Public Service Institutions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 연구)

  • Kam, Miah;Lee, Jee Ye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197-215
    • /
    • 2013
  • This study generated the suggestions to minimize the duplicated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various regional public service institutions via promoting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the institutions with the limited local resources while making the public libraries as the center of the partnership. We measured the level of program duplicabilit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ultural program offering; and analyzed program participation status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surveys. Thi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1) public libraries focused on offering humanities general education related programs; 2) participants had high expectations on the reading and writing programs; and 3)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ffered programs, which targeted the older population, and the corresponding participants had high satisfaction rat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stitutions including the public libraries should take into account of the ages and preferences of the potential participants when offering various programs. In addition, the public libraries should continue to offer humanities general education as well as information us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