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람의 영향

Search Result 1,74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Effect of indoor illuminance depends on direction of the side windows lighting (측창채광의 방향에 따른 실내조도의 영향)

  • Cho, Shee-Man;Kim, Won-Joong;Jang, Wo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3-260
    • /
    • 2004
  • 실내의 조명은 자연채광방식과 인공조명으로 나누어지는데 자연형 채광방식에서도 측창채광과 천창채광, 정 측창채광 그리고 반사 채광방식이 있다. 측창채광은 벽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연직인 창에 의한 채광을 말한다. 측창채광의 방향에 따라 실내조도는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측창채광의 동서남북의 방향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에 따라 아침, 점심, 저녁시간대에 따라 변화되는 실내조도를 알아보았다. 실험방법은, 조명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Lightscape V3.2를 사용하여 교실공간의 치수와 작업면의 높이를 가로 5.8[m], 세로 10.8[m], 높이 3[m], 작업면의 높이 0.75[m]로 정하였고, 각 시설물의 반사율[p]은 벽 80%, 창문 12%, 출입문 13%, 바닥 20%, 천장 85%로 지정하였으며 창문의 투과율은 88%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 값은 계절은 여름을 6월20일, 겨울은 1월20일 기준으로 하고 시간대는 09시, 13시, 18시로 하였으며 창측방위는 동, 서, 남, 북으로 정하였으며 계절과 시간은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값을 선택하였다. 결론으로 창이 남쪽일 때 평균조도가 9,100[lx]로 가장 높았고, 시간별로는 점심에 19,590[lx]로 조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조도 균제도는 창이 동쪽일 때 겨울에 가장 높았다. 창이 북쪽일 때는 여름이 겨울보다 평균조도가 약간 높았고, 시간별로는 아침에 조도가 약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전체적으로 북쪽 창에서 실내조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측창의 브라인드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직 브라인드 대신에 수평 브라인드를 사용하여 주광의 범위를 넓게 조절하여 사용하게 하고, 점등제어를 현재 측창면과 수직으로 되어있는 배열을 수평으로 한다면 자연채광의 효과를 배가 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able pitch와 helical angle보다는 근본적으로 radial land가 screw-in effect의 예방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NiTi file의 사용 경험이 없는 초심자의 경우 근단부 폭경의 유지능력이 좋은 ProFile$^{(R)}$의 사용이 추천된다.)되었다.였으나 강남콩군 외에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 및 효율은 크게 향상되지 않아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 으로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생각된다.면 바로 위 지점의 풍속을 측정하였다. 각 Seeding 물질에 대해 팬을 켜지 않았을 때, 즉 바람의 영향이 없을 때 측정한 표면유속을 바람의 세기가 변한 경우의 기준 표면유속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중이 0.01 내외인 Ecofoam과 white polystyrene에 비해 비중이 0.92인 black polypropylene은 대부분이 물속에 잠겨 있어 흐름과 거의 일치하여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흐름의 평균유속이 0.165 m/s의 저유속에서 바람이 tracers에 미치는 영향이 평균유속 0.558m/s인 경우보다 커서, 바람의 세기의 증가에 따라 표면유속 측정값이 급속히 감소되었다. 흐름의 평균유속이 큰 경우에는 바람이 tracer에 마치는 영향이 현격히 줄어듬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바람의 영향은 감소하나, 바

  • PDF

IONOSPHERE-THERMOSPHERE INTERACTIONS BASED ON NCAR-TIEGCM: THE INFLUENCE OF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IMF)-DEPENDENT IONOSPHERIC CONVECTION ON THE HIGH-LATITUDE LOWER THERMOSPHERIC WIND (NCAR-TIEGCM을 이용한 이온권-열권의 상호작용 연구: 행성간 자기장(IMF)에 의존적인 이온권 플라즈마대류의 고위도 하부 열권 바람에 대한 영향)

  • 곽영실;안병호;원영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1 no.1
    • /
    • pp.11-28
    • /
    • 2004
  • To better understand how high-latitude electric fields influence thermospheric dynamics, winds in the high-latitude lower thermosphere are studied by using the Thermosphere-ionosphere Electrodynamics General Circulation Model developed by the National Conte. for Atmospheric Research (NCAR-TIEGCM). The model is run for the conditions of 1992-1993 southern summer. The association of the model results with the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IMF) is also examined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the IMF-dependent ionospheric convection on the winds. The wind pattern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WINDII observations, although the model wind speeds are generally weaker than the observations. It i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s of high-latitude ionospheric convection on summertime thermospheric winds are seen down to 105 km. The difference w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winds for IMF$\neq$O and IMF=0, during negative IMF $B_y$ shows a strong anticyclonic vortex while during positive IMF $B_y$ a strong cyclonic vortex down to 105 km. For positive IMF $B_z$ the difference winds are largely confined to the polar cap, while for negative IMF B, they extend down to subauroral latitudes. The IMF $B_z$ -dependent diurnal wind component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ionospheric convection velocity down to 108 km and is largely rotational. The influence of IMF by on the lower thermospheric summertime zonal-mean zonal wind is substantial at high latitudes, with maximum wind speeds being $60\;ms^-1$ at 130 km around $77^{\circ}$ magnetic latitude.

Influence of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on Wind Effect in Jeju (Comparative Analysis of Seoul and Jeju) (제주지역 고층건축물에서의 바람의 영향이 굴뚝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과 제주지역간의 비교 분석))

  • Lim, Chae-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6
    • /
    • pp.6-12
    • /
    • 2015
  • This study used CONTAM modeling to analyzed analyze the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for the terrain and weather conditions of Seoul and Jeju. The differential pressure caused by the stack effect is a func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shaft. Jeju is considered more stable than Seoul, because it is warmer than Seoul in winter.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Jeju is about 60% that of Seoul in for the same height of buildings in winter. However, Jeju is an island and the neutral plane is raised by over 56% by strong winds, although there is less differential pressure caused by the stack effect in Jeju than in Seoul. Due to the raised neutral plane, the region and magnitude of negative pressure in the lower part is larger in Jeju than in Seoul.

Numerical Simulations of Local Wind Field at the Naro Space Center by MUKLIMO with Terrain and Surface Effects (지형과 지표효과를 고려한 나로 우주센터의 국지규모 바람장 수치모의)

  • Yoon, Ji-Won;Min, Kyung-Du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5 no.8
    • /
    • pp.784-798
    • /
    • 2004
  • Microscale wind fields were simulated by MUKLIMO at the Naro Space Center, where complicated mountainous terrain and trees exist. In order to test the model's sensitivity with the effects of terrain and trees, experiment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under the various initial conditions.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rees were more significant on flat surfaces than on mountain cliffs. Based on the results, an actual 10 m level microscale wind field was simulated at the Naro Space Center, which has complicated mountainous terrain. Simulations of wind field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launching site were also conducted. It was found that MUKLIMO was of the mesoscale wind fields at the Naro Space Center.

풍동실험을 활용한 전주시 도심의 풍속변화에 대한 연구

  • Hwang, Ji-Uk;Yu, Gi-Pyo;An, Deuk-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7-51
    • /
    • 2006
  • 전주시의 도심 내에 고층건물의 건설전과 후의 풍속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풍동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고층건물의 건설은 도심주변의 풍속변화에 절대적 영향을 끼치는 요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건설 후에 최소 50% ${\sim}$ 최대 90%까지 풍속이 감소하는 부분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은 고층건물과 같은 인공구조물의 건축과 입지가 주변의 기류변화가 급격한 영향을 주는 요소인 것이다. 이는 해당입지를 중심으로 바람의 원활한 소통이 발생하지 않아 국지적으로 도시기온이 신선한 바람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온실효과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국지기온의 상승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optimal CAPPI grid size using rainfall-runoff model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CAPPI의 적정 격자크기 추정)

  • Lee, Won-Geun;Kim, Soo-Young;Jung, Yo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3-46
    • /
    • 2010
  • 본 연구는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레이더 반사도(CAPPI)의 격자 크기에 따른 유출량 오차를 추정하여 적절한 레이더 격자망 크기를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레이더 격자 크기의 선정 기준은 명확하게 결정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격자크기를 4km ${\times}$ 4km를 선정하고 있다. 이런 격자 크기의 결정방법은 바람의 영향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수문학적 적용에 있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강우-유출모형인 SWAT을 이용하여 레이더 격자의 크기를 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Wind Velocity and Height of Grassland on the flame Spread Rate of Forest Fires (초지화재 발생시 바람의 속도 및 초본의 높이가 화염전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Bae, Sung-Yong;Kim, Dong-Hyun;Ryou, Hong-Sun;Lee, Sung-Hyu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3
    • /
    • pp.252-257
    • /
    • 2008
  • With the rapid exuberant growth of the forest, the number and size of forest fires and the costs of wildland fires have increased. The flame spread rate of forest fires i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variables like the wind velocity, moisture of grassland, etc. If we know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fire growth, it is useful for wildland fiIre suppression. But analysis of the spread rate of wildland fire for these effects have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wind velocity and height of grassland fuel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the WFDS which is developed at NIST for prediction of the spread of wildland fi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height of the fuel and the spread rate of the head fires is, and the spread rates related to the wind velocity are predicted 17% less tha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ustralia. When the wind velocity is over 7.5m/s, the concentration of pyrolyzed gas phase fuel is getting low due to fast movement of pyrolyzed gas, the flame spread rate becomes slow.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aegu Area using Satellite Data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 Jung, Eung-Ho;Kim, Dae-Wuk;Ryu, Ji-Won;Cha, Jae-Gyu;Son, Kyung-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2
    • /
    • pp.73-84
    • /
    • 2008
  • This study has conducted the survey Daegu area on the evaluation of the wind generation by the spatial geograph conditions and according to the elements that practically affecting the generation of the wind. Because the elements affecting the wind generation are very diverse and interrelated,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accurate fundamental datas. For getting these datas, by applying satellite images to the study, more accurate datas were collected and the result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due to the Daegu,s geographic features, there are a lot of areas with high wind generation, but most of these areas have been distribu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where as in the areas wind generation is relatively very low in the urbanized areas, which indicate that the spatial unbalance is very high. And what is more of wind generation in certain areas where places spatially connected to the urbane district, show very low wind generations, and its influenced range become limited. From this fact,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effects of the wind corridor coming into the urban district will be reduced. And also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verified that there are ampl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satellite data as a means of building up the spatial data for evaluation of formation of the wind corridor.

  • PDF

A Study on Course Stability of Towing and Towed Vessels System under Wind Pressure (풍압력하에서의 예선ㆍ피예선계의 침로안정성에 관한 연구)

  • 손경호;김용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24 no.3
    • /
    • pp.113-12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손상선박의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황천항행중인 선박이 충돌, 좌초 등 원인에 의해 조종불능이 되었을 때를 가상하고, 예선ㆍ피예선계의 침로안정성에 미치는 풍향, 풍속, 예항삭의 길이의 영향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풍압하에서 피예선을 다른 안전한 장소로의 예항에 대하여 하나의 지침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실선은 Hulk carrier와 Passenger liner를 모델로 삼았고 외력으로서는 파도가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바람이 부는 초기상태 혹은 저속으로 항행하는 상태를 고려하여 바람의 영향만을 취급하며 피예선은 조타를 하지 아니한다.

  • PDF

Effect of Spatial/Temporal Resolution of Diagnostic Wind Field on Toxic Substance Dispersion (바람장의 공간적$\cdot$시간적 해상도가 유독물질 확산에 미치는 영향)

  • 김영성;오현선;김병욱;김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20-421
    • /
    • 1999
  • 여천지역은 화학물질 누출사고 등 안전 사고 발생의 잠재적 위험이 높으나 (김영성 등, 1999), 복잡한 해안선의 여수 반도 해안지역에 산을 등지고 있어 해륙풍에 의한 일 변화와 지형 조건에 따른 국지 변화등 복잡한 형태의 바람장이 예상되는 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에서의 확산현상은 환경영향평가에서 흔히 이용되고 있는 균일한 바람장 분포를 가정한 대기화산 예측과는 다른 결과를 보이며 (오현선, 김영성, 1999), 따라서 단순한 가우시안 플룸 모델을 이용한 확산 예측은 적용범위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