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닥 구조 시스템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5초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자기부상열차 가이드웨이 시스템 적용성 평가 : 정적 성능 실험 (Applicability Evaluation of Precast Deck to the Maglev Guideway System : Static Performance Test)

  • 진병무;김인규;김영진;이윤석;마향욱;오현철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985-988
    • /
    • 2008
  • 자기부상열차는 궤도 위에 부상하여 운행하는 시스템이다. 자기부상열차의 특성상 주행 중 부상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사용성 및 승객의 승차감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2006년 출범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단의 3-1 세부과제 선로구축물 성능개선 과제의 협동연구과제로 자 기부상열차교량 상부구조의 급속시공법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도로교에서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품질, 공기 면에서 현장타설 바닥판에 비해 우수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진은 3-1세부과제의 주관기관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협업을 통하여 1차년도에 PSC-U형 거더 및 개구제형 강재 거더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하여 자기부상열차 가이드웨이의 기본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체일 체결구조의 구조안전성 검토를 목적으로 실대형 요소실험체를 제작, 이들 실험체의 사용하중 상태 및 극한하중 상태의 정적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고층벽식구조 아파트에서 골조공사 공기단축을 위한 바닥 슬래브 및 지주의 해석 (Analysis of Floor Slab and Support for the Shortening of Construction Time in High-Rise Wall-Type Apartment Building)

  • 김영찬;권기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41-147
    • /
    • 2002
  • 국내 주거의 주종인 아파트의 구조형식은 벽식 철근콘크리트조로 경제성 때문에 대부분 고층으로 지어지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구조 건물을 구체공사비중 상당부분이 거푸집공사에 투입되고 있다. 구체공사의 공기(工期)는 층당 소요일수로 산정할 수 있는데 공사비 절감 및 공기단축을 통한 시공효율상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주시스템의 효율적인 전용(轉用)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벽식구조 아파트의 현장조사를 토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주시스템 및 바닥슬래브에 대한 응력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분석하여 공기단축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발성형 중공단면 복합소재 교량 바닥판의 구조적 특성 분석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ultruded Composite Bridge Deck of Hollow Section)

  • 이성우;김병석;조남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A호
    • /
    • pp.35-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중공단면 형상의 유리섬유 강화 복합소재 교량바닥판의 개발에 관련된 연구 절차와 결과를 기술하였다. 설계된 3셀 단면에 대해 적층설계를 수행하였고, DB24 하중에 대한 플레이트 거더 복합소재 바닥판 교량의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처짐 사용성, 강도, 파괴 및 좌굴안정성 등의 구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설계, 해석된 복합소재 바닥판 튜브는 인발성형으로 제작하였고, 구조적인 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3점 휨시험, 거더 연결부시험, 방호벽 연결부시험을 실시하였고, DB24하중의 200만회 반복하중에 대해 압축피로시험, 휨피로시험 등 광범위한 구조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범시공된 복합소재 바닥판 플레이트 거더교량에 대한 현장 재하시험에서도 구조 안전성 및 사용성을 검토 하였다.

공동주택 이중바닥구조의 바닥충격음 저감성능 (Floor Impact Noise Reduction Performance of Double-Floor System in Apartments)

  • 백길옥;박홍근;문대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202
    • /
    • 2014
  • Floor Impact Noise is a structure-borne noise which is mainly caused by vibration of concrete slabs.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nvestigating performance of absorbing sheets on the reduction of floor impact noise. But absorbing sheets do not efficiently reduce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 level because it cannot absorb slab vibr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noise source. In this study, double-floor system was developed in order to reduce floor impact noise level in residual buildings. This floor system reduces heavy-weight impact noise level by reducing vibration response at the center of slab, which has maximum amplitude in the 1st vibration mode. In order to identify the performance of the double-floor system, experiments were planned. Primary test parameters are span of double floor, arrangement and types of absorbing sheets.

  • PDF

바닥 급기 공조의 전망

  • 김영일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0권8호
    • /
    • pp.54-59
    • /
    • 2001
  • 바낙 공기 급기(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는 사무실과 상업 건물의 공조를 위하여 바닥 하부 공간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북미에서는 UFAD가 기존 천장 공기 급기 방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므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잘 설계된 UFA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 건물의 용도 변경에 따픈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생애 주기 비용을 감소시킨다. - 개별 쾌적성 제어가 가능하므로 온열 쾌적성, 거주자의 만족도 그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거주자주변에 직접 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환기 효율, 실내 공기질 그리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킨다. - 이코노마이저 운전, 온도 성층화 그리고 낮은 정합 운전에 의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 설비 공간이 축소되고 표준 철골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 변경이 가능하므로 새 건축 공법에서는 충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1995년까지만 해도 UFAD는 파격적인 설계 기법이라고 여겨졌지만, 이제 설계자와 건축업자들은 2004년까지 신축되는 사무용 건축품의 35%는 바닥을 높인 기법이 적용되며 이 중 반 정도가 UFAD를 채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00년 2억불이라고 추정되던 바닥을 높이는 건축의 시장 규모가 2004년에는 최소 10억불이 되리라고 예측된다. UFAD는 기본 연구에 의한 정립된 표준화된 설계 기법과 지침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라한 경향은 펄수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관련 업계가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쌓기 전까지는 계속될 전망이다. 본고는 시스템 설계와 운영의 주요한 특징,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장점, 한계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 UFAD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분야 등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UFAD 기술에 대한 평가를 한다.

  • PDF

LIM 방식 자기부상철도의 궤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Track System for a LIM Type Maglev)

  • 여인호;김동석;장승엽;황성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800-805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선로구축물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도시형 자기부상철도로 적합한 LIM 방식 자기부상철도의 궤도시스템을 개발 제안하였다. 도심지에 건설될 경우 많은 사치적 비용을 초래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사용하는 상부구조 형식을 채택하였으며 바닥판 시공시 침목이 함께 설치 될 수 있는 트윈블록 침목 궤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트윈블록 침목 궤도시스템에 대해 유한요소해석과 실험을 통해 구조적 안전성을 검증하였으며 모의시공시험 및 기계연구원 시험선 시공을 통해 그 시공성을 확인하였다.

장비기초설계의 강성 및 진동저감에 관한 연구 (Stiffness, Rigidity and Vibration Prevention in Precision Machine Foundation Design)

  • 박옥정;김진호;전한준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94-1000
    • /
    • 2004
  • 대형시험장비가 설치되는 실험실의 계획에서 장비의 진동은 간과할 수 없는 고려사항이다. 따라서 시험장비를 지지하는 구조물과 기초의 설계시 시험장비의 운행 중 발생하는 공진을 피할 수 있는 구조적 체계의 진동특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동적특성을 얻기 위해 바닥구조물의 FE 모델링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진동저감을 위한 시험장비기초의 설계를 위해 tuning, 진동기준. 방진시스템을 검토하였다. 시험장비의 진동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low tuning 이였으며 이의 구현을 위해 방진스프링과 함께 단단한 콘크리트 블록위에 시험장비를 설치하였다. 총체적인 방진시스템의 구조적 진동특성은 이동성, 힘, 속도 스펙트라를 이용해 표현되었다. 전달과 지점이동 FRF의 비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함으로서 바닥 슬래브의 진동전달 정도가 관찰되었다.

  • PDF

UHPC 바닥판 철근겹침이음 연결부의 휨강도 평가 (Evaluation of Flexural Strength for UHPC Deck Joints with Lap-Spliced Reinforced Steel Bar)

  • 황훈희;여인수;조근희;박성용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92-99
    • /
    • 2011
  • 초고성능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우수한 구조재료이다. 이러한 새로운 재료의 활용 기술은 경량의 슬림한 구조로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구조물의 건설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하이브리드 사장교 적용을 위한 UHPC프리캐스트 바닥판 시스템 개발의 일부로서 정모멘트 구간에서 철근겹침이음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는 이음부의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주요 실험변수는 철근겹침이음길이이며 실험변수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총 12개의 휨실험체를 제작하였고, 이에 대한 4점 휨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현행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철근겹침이음에 대한 최소길이 규정은 UHPC를 적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스템에서는 매우 보수적인 규정임을 실험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보행하중을 받는 건축물 바닥판의 진동해석을 위한 등가 보행하중의 적용 (Application of Equivalent Walking Loads for Vibration Analysis of Building Floor Subjected to Footstep Loadings)

  • 김기철;이동근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5호
    • /
    • pp.35-45
    • /
    • 2001
  • 최근에 넓은 공간이 요구되는 건축물에서는 칸막이 벽과 같은 비구조재의 사용이 감소됨으로써 감쇠효과가 크게 줄어들고 있으며 고강도재료의 사용으로 바닥판 구조물이 유연화, 장경간화 되어가고 있다. 대형집회공간, 쇼핑몰, 사무실 등과 같이 장경간 건축물에서는 사람의 움직임에 의하여 과도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은 건축물의 사용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바닥판 진동의 주요 진동원 중의 하나가 보행하중이다. 보행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진동해석에 있어서 보행하중을 적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한 절점에 보행하중을 연속적으로 가하거나 주기하중으로 이상화된 동적하중을 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보행의 이동효과를 고려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바닥판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평가하였으며 예제 구조물의 효율적인 진동해석을 위하여 보행하중을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