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닥난방시스템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유럽에서 본 바닥 난방 시스템

  • 페터 슈미트
    • 월간 기계설비
    • /
    • s.2
    • /
    • pp.140-148
    • /
    • 1990
  • 우리 고유의 온돌 난방방식의 우수성이 입증됨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서독, 스위스를 비롯한 북유럽에서는 온수온돌 반방방식이 크게 유행하고 있으며 특히 서독에서 최근에 짓는 고급주택에는 온수바닥난방이 필수적이라 할 만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독의 기존 주택 난방은 대부분 라디에터 방식으로 특히, 집합주택에서 바닥난방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최근에는 온수 바닥난방이 집합주택에서도 채용되어지고 있어 머지않아 대중적인 난방방식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자를 최근 독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닥난방에 관한 연구중 바닥난방 시스템을 게재한다.

  • PDF

공동주택 바닥난방 시스템의 현황과 개선방향

  • 조동우
    • 월간 기계설비
    • /
    • s.43
    • /
    • pp.94-100
    • /
    • 1994
  • 본고에서는 기존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습식 바닥난방방식의 현황과 조립식 난방판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조립식 난방시스템의 적립식 난방시스템에 적용시 검토사항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Thermal performance prediction of amorphous steel fibers mixed into the floor heating system (비정질 강섬유 혼입 바닥난방시스템의 열성능 평가)

  • Cho, Hyun;Pang, Seung-Ki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3
    • /
    • pp.130-135
    • /
    • 2016
  • The thermal performance of amorphous steel fibers mixed floor heating system was evaluated. Analysis of results, depending on the hot water supply temperature change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bottom of the hot water supply temperature is an amorphous steel fiber floor heating system is about 2~4% high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floor surface to 1.5m air amorphous steel fiber system is 1~2% higher. The amount of heat supplied to indoor air (1.5m) from the bottom surface of amorphous steel fiber floor heating system is about 7~8% higher

공동주택에서의 효과적인 난방열량제어 관리방안

  • 이태원;김용기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2
    • /
    • pp.11-21
    • /
    • 2004
  • 공동주택에서 난방용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난방제어기와 난방계량기의 효과적 활용방법을 중심으로 난방열량 제어 관리방안에 대하여 기술한다. 우리나라 공동주택 난방방식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바닥패널 이용 복사난방시스템은 공간의 단열특성, 난방패널의 열적 및 수력학적 특성, 열원공급 및 제어방법에 따라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적절한 설계 및 운영방법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국가적인 차원에서 많은 양의 난방용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바닥패널 난방시스템과 관련된 문제점들로는 실내온도 및 난방열량의 제어방법과 난방용 열량의 계량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림 1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난방제어기와 난방계량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PDF

Energy Performance Analysis Program with Heating methods of Automatic Thermostatic Valves in Floor Radiant Heating System (바닥난방용 자동온도조절기의 난방방식에 따른 에너지성능 해석용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Ahn, Byung-Cheon;Song, Jae-Yeob;Lee, Tae-Won;Kim, Yong-Ki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8.11a
    • /
    • pp.381-386
    • /
    • 2008
  • In this study, the energy characteristic of automatic thermostatic valves according to each heating method in floor radiant heating system were researched by computer simulation. For the analysis of unsteady heat transfer phenomena in household, the method of using electrical equivalent R-C circuit is applied, and radiation heat transfer between panel, ceiling and walls in household is calculated by enclosure analysis method. The parametric study on heating method, valve's control method, outdoor air condition, supply heating water temperature, supply flow rate are performed to compare energy characteristic, respectively.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olled Dry Floor Heating System for Improving Workability (현장 시공성 개선을 위한 롤타입 건식바닥난방시스템 개발)

  • Lee, Gyu-Dong;Kim, Jun-Ho;Jeong, Chang-Ho;Kim, Dong-Woo;Ogawa, Keiichi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2.11a
    • /
    • pp.177-180
    • /
    • 2012
  • Korea residential housing generally use wet floor heating system 'Ondol' which consist of insulation cushioning, lightweight foamed concrete, hot water pipe and mortar on top of reinforced concrete slab. Wet floor heating system's installation process is too complicate and difficult to supervise field for continuing assurance quality. Also, this method has a huge impact on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because it take a long time to cure finishing mortar an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Therefore, it is considered a disturbance factor of reduc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experiment about the radiant heat performance and temperature difference on upper panel of rolled dry floor heating systems which is jointly developed by Kolon global and Sumisho Metalex for remodeling housing, studio apartment and the urban-life housing.

  • PDF

The Actual State of Heat Conservation, Heating and Cooling in Greenhouses (온실의 보온 및 냉난방실태 분석)

  • 김문기;이석건;서원명;남상운;김란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05a
    • /
    • pp.39-44
    • /
    • 1998
  • 현재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현대화 온실 203개를 대상으로 냉난방과 관련된 설비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ircled1 온실의 건설방위는 남북동(58.1%)과 동서동(26.8%)이 대부분이었고, 철골온실은 Wide-span형이 81.8%, 플라스틱온실은 1-2W형 온실이 97.5%였다. 휴작하는 온실은 약 41%정도였고, 재배작물은 채소류가 약 80%, 화훼류가 약 20%정도였으며, 재배방식은 철골온실의 경우 양액재배가 57.2%, 플라스틱온실에서는 토양재배가 88.5%였다. \circled2 온실의 외부 피복재는 철골온실은 유리가 92.2%, 플라스틱온실에서는 PE가 43.3%, EVA가 51.9%로 대부분이었다. 철골온실은 1중피복이 98.7%로 거의 전부이었고, 플라스틱온실에서는 2중피복이 78.7%로 나타나, 철골온실에서 보온커튼을 통한 보온성 향상과 밀폐성이 더욱 중요함을 알 수 있다. \circled3 보온용 피복재는 부직포가 64.9%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 2층커튼(85.9%)이었으며, 개폐방식은 대부분 예인식(92.7%)의 자동개폐방식(75.2%)이었다. 한편 바닥을 피복한 온실은 약 30% 정도로 나타나, 바닥피복으로 인한 축열이나 반사효과를 감안할 때 효율적인 바닥처리가 요망된다. \circled4 온실의 난방방식은 철골온실에서는 온수안방(47.3%)이 온풍난방(33.8%)보다 다소 많았으며, 플라스틱온실에서는 대부분 온풍난방(90.8%)이었다. 온실의 난방위치는 대부분 지상난방(89.8%)이었고 지중난방은 극소수로 나타나, 앞으로 지중난방을 통한 난방비 절감과 품질향상에 관한 실용화 연구가 요망된다. 난방용 연료는 대부분 경유(83.9%)로 나타나,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저가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난방시스템의 개발이 요청된다. \circled5 온실의 냉방방법은 차광(51.8%)과 지붕살수(33.9%)가 대부분이었으며 미스트와 포그시스템을 설치한 온실은 소수에 불과하였고, 극소수의 온실에서는 지붕위나 온실내에 지붕면과 평행하게 설치한 경우도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