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늘꽃과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new species of Epilobium (Onagraceae) from Ulleungdo Island, Korea, Epilobium ulleungensis (한국(울릉도)의 1신종: 울릉바늘꽃)

  • Chung, Jae-Min;Shin, Jae-Kwon;Sun, Eun-Mi;Kim, Hoe-Wo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2
    • /
    • pp.100-105
    • /
    • 2017
  • A new species, Epilobium ulleungensis J. M. Chung (Onagraceae Juss), from Ulleungdo Island (South Korea) was described and illustrated. Among four taxa native to Ulleungdo Island (E. amurense Hausskn. subsp. cephalostigma (Hausskn.) C. J. Chen, Hock & P. H. Raven, E. hirsutum L., E. pyrricholophum Franch. Sav., and E. ulleungensis), E. ulleungensis has a unique tetragonal stigma,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clavate (E. pyrricholophum) or capitate (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and 4-lobed stigmas (E. hirsutum). More importantly, this new species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three taxa distributed on Ulleungdo Island by its height (over 200 cm), decumbent stem, leaf shape, short, dense pubescent covering on the whole plant, large flower size, and a dark pink or red purple flower. According to the stigma shape and other characters, it was estimated that E. ulleungensis is a hybrid between E. hirsutum and E. pyrricholophum or 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The specific epithet "ulleungensis" was chosen because the new species was restricted to Ulleungdo Island.

Report : Unrecorded alien plant in South Korea :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 (미기록 침입외래종 보고 :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

  • Kim, Hye Won;Jang, Chang Seok;Park, Su Hyun;Jo, Hye Ryun;Son, Dong Chan;Chang, Kae S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72-72
    • /
    • 2018
  • 의도적 도입 또는 비의도적 도입에 의해 국내에 확산되고 있는 침입외래식물은 경제적, 환경적인 해를 가할 수 있으며 자생종의 감소나 절멸을 초래하는 등 생물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습지나 저수지 및 하안 생육지는 스트레스와 교란에 의해 외래식물 유입과 확산이 용이하므로 국립수목원에서는 이를 관리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하천변에서 발견한 바늘꽃과에 속하는 Ludwigia peploides (Kuntze) P.H.Raven가 생태계교란종으로 확산 될 우려가 있어 본 종에 대한 기재, 도해, 칼라도판 등을 첨부하여 침입외래식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 PDF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II - 생태변화분석 -

  • 이승현;정동양;정승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77-981
    • /
    • 2004
  • 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당류량 조절은 댐 하류지역에서 홍수 피해저감에 기여하고 있지만, 자연적인 유출 리듬이 파괴되며 유속, 수심, 건조지 확대와 같은 수량의 변동과 용존산소량, 영양염류, pH 같은 수질 변화, 그리고 하천 형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하천에서의 생물 서식공간은 산림 등 육지 지역과는 단리 무엇보다 하천의 유체역학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발달한다. 인위적인 댐 방류량은 하류지역의 건조 면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하천 형태가 변화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댐 건설로 인하여 자연적인 홍수 유출이 급감하게 되면 건조면적이 확산되어 수변식물과 어류의 서식처 환경 변화를 유발하여 기존의 생태 균형이 파괴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댐 건설로 발생되는 피해를 분석한 연구들을 분석해 보면, 수량 및 수질 변화에 대하여는 많이 제시하고 있지만 생태변화에서는 정량적인 피해를 제시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용담댐 건설로 인한 하류구간의 수변식물과 어류를 대상으로 정량적인 피해를 분석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건설로 인한 인위적인 유출량 감소가 댐 하류 8km 구간에서 수변식물과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용담댐 기점 약 5km지점(조사지점 I)인 전북 진안군용담댐 감동리 주변지역에서 수변식물과 어류 군집에 내하여 2003년 5월부터 7월까지 3회 조사하였고, 추가로 약 1km지점(조사지점II)인 전북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 주변지역에서 수변식물을 중심으로 2003년 9월에서 10월까지 2회 조사하였다. 수변식물은 조사지점(I)인 5km지점에서는 전체적으로 13과 21종으로, 벼과가 4종,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콩과, 마디풀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십자화과, 장미과, 사초과, 삼과, 현삼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II)인 1km지점에서는 15과 26종으로, 벼과가 4종, 마디풀과,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십자화과, 콩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자라풀과, 장미과, 사초과, 백합과, 현삼과, 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ow Flow in the Cheongg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 갈수량 측정 및 분석)

  • Noh, Seong Jin;Kim, Hyeon Jun;Jang, Cheol Hee;Kim, Dong Pil;Hong, Il 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67-1071
    • /
    • 2004
  • 도시 유역의 물순환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갈수량 자료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인구는 주로 치수분야에 한정되어 대부분의 자료 또한 홍수기에 대해서만 자료가 구축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갈수기에 내한 자료와 관련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유역의 기존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 갈수량을 측정하여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청계천은 서울의 서북쪽에 위치한 인왕산과 북한산의 남쪽 기슭, 남산의 북쪽 기슭에서 시작하여 서에서 동으로 종로, 세운상가, 동대문 등 서울의 도심부를 흐르는 유로연장 13.75 km, 유역 면적 $50.96 km^2$의 도시하천으로 중량천의 제1지류인 지방2급 하천이며, 정릉친, 성북천을 제1지류, 월곡천을 제2지류로 포함한다. 청계천은 도시화로 인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점차 복개되었다가 2003년 7월부터 5.9 km의 본류구간에 대한 복원공사가 진행 중이다. 청계천은 홍수기 이후 유량이 급격히 줄어 11월 이후에는 다음 홍수기까지 강바닥이 완전히 들어나는 일종의 간헐천으로 홍수기를 제외한 시기의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8개의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여 2003년 9월 이후, 월 2회 이상 갈수량 자료를 현장 측정${\cdot}$분석하였다. 청계천 유역은 복원공사 완공 후에는 유역의 물순환 특성이 대폭 바뀔 것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된 갈수량 자료는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계 변화를 분석하고 건전한 물순환 체계의 유지${\cdot}$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바늘꽃과, 속새과, 십자화과, 장미과, 사초과, 삼과, 현삼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II)인 1km지점에서는 15과 26종으로, 벼과가 4종, 마디풀과,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십자화과, 콩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자라풀과, 장미과, 사초과, 백합과, 현삼과, 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 PDF

Changes of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휴경답에서의 토양의 이화확적 특성, 주요 영양분 및 잡초종의 변화)

  • Han, Sung-Uk;Chung, Gap-Chae;Chon, Sang-Uk;Lee, Hee-Jae;Guh, Ja-Oc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7 no.3
    • /
    • pp.211-214
    • /
    • 1998
  •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ajor nutrient contents were investigated in the soil of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Weed vegetation change in the fallow paddy fields was also examined. As the fallow period became longer,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paddy soil has gradually increased. Soil pH of the paddy fields has not changed until three years of fallow period and thereafter slightly increase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paddy soil, and exchangeable N, K, Ca and Mg contents in the soil tended to decrease until three years of fallow period and then increase with the prolonged fallow period. As the fallow period became longer, available $P_2O_5$ content in the paddy soil has continuously decreased. Available $SiO_2$ content in the paddy soil has not changed until three years of fallow period and thereafter increased. The vegetation in the fallow paddy fields have mostly been occupied by the weeds of the Gramineae, Cyperaceae, and Compositae. As the fallow period became longer, the weeds of the Polygonaceae and Juncaceae have increased, whereas the weeds of the Leguminosae, Commelinaceae, Pontederiaceae, and Onagraceae have gradually disappeared. However, the weeds of the Gramineae and Cyperaceae have always been dominant in the paddy fields during the fallow paddy period.

  • PDF

Taxonomic studies of tribe Epilobieae Endl. (Onagraceae) in Korea based on morphology and seed microstructure (외부형태와 종자의 미세구조에 의한 한국산 바늘꽃족(바늘꽃과)의 분류학적 연구)

  • Lee, Sangryong;Heo, Kyeong-In;Lee, Sangtae;Yoo, Manhee;Kim, Yongseong;Lee, Joon Seon;Kim, Seung-Chu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3
    • /
    • pp.208-222
    • /
    • 2013
  • In this paper, we conducted the taxonomic study of the tribe Epilobieae Endl. and concluded that a total of nine taxa, including one Chamerion (Raf.) Raf. ex Holub and eight Epilobium L., exist in Korea. Although C. angustifolium subsp. angustifolium has been placed traditionally either in Epilobium or Chamaenerion, i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pecies of Epilobium by having alternate leaves, slightly zygomorphic flowers, non-clefted petals, and equal length of 8 stamens, supporting the recognition of genus Chamerion. All but one species of Epilobium, E. platystigmatosum, was investigated for the surface of seed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seed sculpture of Korean Epilobium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e., papillose, reticulate, and ridged. E. ciliatum subsp. ciliatum is the only species Epilobium, which has the ridged seed sculpture. 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can be distinguished from conspecific E. amurense subsp. amurense based on leaf shape, trichome shape and distribution, size and habit. Both E. fastigiatoramosum and E. palustre have entire leaf margins, but they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leaf shape, stigma, and seed sculpture; the former has elongated elliptic leaves, capitate stigma, ridged seed sculpture, whereas the latter one has elongated lanceolate leaves, club-shaped stigma, and reticulate seed sculpture. Finally, we report the first record of E. platystigmatosum in Korea, and further comparative study including conspecific populations from Japan and China can clarify the occurrence of this taxon in Korea.

Two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Lolium rigidum Gaudin (Poaceae) and Oenothera rosea L'Hér. ex Aiton (Onagraceae)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 댕돌보리와 애기분홍낮달맞이꽃)

  • Kim, Jung-Hyun;Kim, Jin-Seok;Nam, Gi-Heum;Yoon, Chang-Young;Kim, Sun-Yu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7 no.4
    • /
    • pp.326-332
    • /
    • 2014
  • Two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Lolium rigidum Gaudin (Poaceae) and Oenothera rosea L'H$\acute{e}$r. ex Aiton (Onagraceae) were newly reported in Korea. L. rigidum, 'Daeng-Dol-Bo-Ri', was found at roadside of Yesong beach, Yesong-ri, Bogil-myeon, and roadside of Myeongsasimni beach, Sin-ri, Sinji-myeon, in Wando-gun, Jeollanam-do. It was distinguished from L. mutiflorum Lam by spikelet 10-20 mm long, florets 2-10(-13), and obtuse lemma, awn absent or up to 3-8(-10) mm. O. rosea, 'Ae-Ki-Bun-Hong-Nat-Dal-Mat-I-Kkot', was found in side of Wondong wetland, Yongdang-ri, Wondong-myeon, Yangsan-si, Gyeongsangnam-do. This taxon was distinguishable from other Oenothera in Korea by following combination of characters, stem erect to ascending, petal 5-12 mm long, pink to bright purple.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 two taxa and their photographs in the habitat are provided along with a key to the species of Lolium and Oenothera from Korea.

Unrecorded Alien Plant in South Korea: Ludwigia peploides subsp. montevidensis (Spreng.) P.H. Raven (미기록 침입외래종: 꽃여뀌바늘)

  • Kim, Hye-Won;Son, Dong Chan;Park, Soo Hyun;Jang, Chang-Seok;Sun, Eun-Mi;Jo, Hyeryun;Yun, Seok Min;Chang, Kae S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2 no.2
    • /
    • pp.201-206
    • /
    • 2019
  • Alien invasive species are introduced with or without intent and spreading all over Korea. They are kn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biodiversity such as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and causing decrease or loss of native species. The habitats like wetland, reservoir and riverside are especially in danger of being invaded by alien species due to stress and disturbance. Therefore, Korea National Arboretum is steadily working on research and studies on managing alien invasive species. This research aims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of Ludwigia peploides subsp. montevidensis (Spreng.) P.H. Raven which was found near riverside in Suwon-si and is concerned to become an invasive alien species. We expect the description, diagram and pictures of this taxon will be helpful for early detection and effectiv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