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밀도 증가

Search Result 4,30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 밸런스 파워에 의한 전자밀도의 증가 효과

  • Kim, Hyeon-Jun;Choe, Ik-Jin;Lee, Yeong-Gwang;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19-219
    • /
    • 2011
  • 공정용 유도 결합 플라즈마(ICP)에서 강자성체인 페라이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발룬 변압기(balun transformer)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밀도를 높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2개의 발룬 변압기를 이중구조 안테나에 설치하여 실제 인가되는 전압이 접지전위 대비+V에서 ${\pm}$V/2로 변환되도록 구성하였다. 20~100 mTorr 압력 범위의 아르곤 기체 50 sccm에 30~70 W범위의 전력을 인가하여 반응용기의 중앙과 벽면에서 부유 탐침법을 적용하여 플라즈마 밀도를 측정 하였다. 같은 압력과 같은 전력에서 발룬 변압기를 사용했을 때와 회로에서 변압기만 제거한 실험을 비교하면 반응용기 중앙에서 플라즈마 밀도가 평균 10%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안테나에 발란스 된 전압이 인가되면 플라즈마 균일도가 증가하고 부유전위(floating potential) 대비 플라즈마 전위(plasma potential)가 낮아져서 이온에 의한 손실이 줄어들어 전자가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특히 E-mode에서 H-mode로 전환되면 플라즈마 밀도가 크게 증가함을 보였고, 반응용기 벽면에서는 발룬 변압기를 사용했을 때 밀도가 낮다가 H-mode로 전환 시 비교실험 대비 밀도가 크게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 by Formulation of Foreign Wheat Flour and Starch (수입밀과 전분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우리밀국수의 품질특성)

  • 박동준;구경형;김철진;이수정;양정례;김양하;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1
    • /
    • pp.67-74
    • /
    • 2003
  •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noodles prepared from Korean wheat flours (Gru and Tapdong) were evaluated by substituting foreign wheat flours and starch in the formula. Korean wheat flours showed greater water absorption and weakness as well as protein and ash contents, but lower stability than the foreign wheat (control) By increasing substituted foreign wheat flours, water absorption of domestic Gru and Tapdong decreased. Dough development time decreased for Tapdong by substituting up to 30% with foreign wheat flours. When imported wheat flours added in Gru and Tapdong, weakness of dough was decreased. Adhesiveness of dough was increased in all samples according to water adding, and Gru particulary showed the most high adhesiveness at 65% water and 10~20% replacement. From the mechanical texture test, Tapdong noodles were increased in cutting force by increasing amounts of imported wheat but decreased in extension distance. However, Cru noodles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Hard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of noodles were increased in all samples by increasing amounts of substitution with imported starch. As a result of cooked noodles test, Korean wheat noodles showed relatively lower values in cutting force and extension distance than in those of the control Studies of noodle-related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flours indicated that domestic soft wheat such as Gru might have high quality above the foreign wheat in noodle preparation by adding flours containing high amylose or low gluten.

Properties of Boards Prepared From Woody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닥나무 목질부로 제조된 보드의 성질(I))

  • Oh, Seung Won;Park, Se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3
    • /
    • pp.216-221
    • /
    • 2009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boards prepared from woody of Broussonetia Kazinoki differed in density of board and mixed quantity of powdered phenolic resin. Water absorption decreased as the density of boards and resin content increased, but bending strength and brinell hardnes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board and the quantity of resin added increased. Thickness swelling increased as the density of boards went up, and that, in contrary, decreased as the quantity of resin added to the boards.

마그네트론 스퍼터로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의 미세구조 분석

  • Yang, Ji-Hun;Park, Hye-Seon;Jeong, Jae-Hun;Song, Min-A;Jeong,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59-159
    • /
    • 2012
  • 알루미늄 박막을 코팅하기 위해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 소스를 이용하였으며 빗각 증착과 외부 자기장에 의한 플라즈마 밀도 제어가 알루미늄 박막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빗각 증착은 타겟과 기판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빗각을 이루도록 기판을 기울여 코팅하는 방법으로 박막의 미세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 스퍼터 소스 외부에 원형의 전자석을 위치시키고 직류의 전류를 인가하여 타겟 표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 밀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알루미늄을 물리기상증착으로 코팅하면 일반적으로 주상정 구조를 갖는다. 알루미늄 박막이 주상정 구조로 이루어지면 박막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고 밀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알루미늄을 빗각 증착으로 코팅하면 주상정 형성이 억제되어 박막의 밀도가 높아지고 표면 거칠기는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알루미늄의 빗각 증착 시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을 제어하여 타겟 표면의 플라즈마 밀도를 증가시키면 알루미늄 박막의 밀도가 빗각 증착만 적용했을 때보다 증가하고 비정질과 같은 박막 구조를 보이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을 기판 표면의 플라즈마 밀도가 증가하도록 바꾸면 알루미늄 주상정의 크기가 증가하고 기공의 크기도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마그네트론 스퍼터 공정 시 자기장과 빗각 증착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밀도가 높고 표면 거칠기가 낮은 알루미늄 박막을 코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알루미늄 박막은 기능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behavior of bars and meandering developments in the vegetated channels (식생하도에서 식생밀도 변화에 의한 사주의 거동과 사행의 발달과정 분석)

  • Jang, Chang-Lea;Kang, Tae 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4
    • /
    • 2021
  • 하도 식생은 하천의 지형변화에 많은 영향을 준다. 식생밀도가 증가하면, 하안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안침식이 감소하며, 사주의 형상과 거동에 영향을 준다. 특히, 사주의 이동은 저수로의 변화에 영향을 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생하도에서 사주의 이동과 사행의 발달과정을 실내실험과 수치모의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하안의 안정성은 홍수터의 하도식생의 밀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하안의 안정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실제 식생인 알팔파 밀도를 조절하여 성장시켰다.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상류에서 교호사주 발생하고, 하류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하안이 침식하였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하폭은 증가하고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하며 사주의 파장도 증가하였다. 홍수터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하안침식이 빠르고 사행의 발달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안에서 부분 침식이 발달하였다.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곡률반경 대 하폭의 비인 무차원곡률반경과 하안침식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곡률반경과 하안침식속도가 증가하였다. 사주의 이동이 정지됨에 따라,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는 사행의 만곡부에서 저수로의 폭이 크지만, 홍수터 식생이 있는 조건에서는 저수로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사행이 발달하였다. 이는 식생 식생이 없는 조건에서 유출되는 유사량은 불규칙하게 배출되었으며, 이는 하안침식과 사주의 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생이 있는 하도에서 유사유출량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배출되었다. 이는 저수로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사주의 발달도 크지 않아서 발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urface treatment of vulcanized rubber by ArF excimer laser (ArF 엑시머 레이저에 의한 가류 고무의 표면처리)

  • Lee, Bong-Ju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3 no.4
    • /
    • pp.332-335
    • /
    • 2002
  • Surface treatment was carried out by an Excimer Pulse laser beam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of vulcanized rubber. With increasing number of laser beam irradiations, the adhesive strength was greatly increased; the adhesive strength was 1,500 N/m after irradiation 100 times. The energy density increase wa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adhesive strength increase; the maximum value of the adhesive strength was 1,500 N/m at the energy density of 176 mJ/$cm^{2}$. It was concluded that the increase of surface area was relevant to that of both energy density and adhesive strength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behavior of alternate bars with floodplain vegetation (실내실험에 의한 홍수터 하도 식생에 의한 하도의 안정과 교호사주의 거동 분석)

  • Jang, Chang-L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1-81
    • /
    • 2018
  • 하도식생은 하도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다. 하도 식생의 밀도가 증가하면, 하안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안침식이 감소하며, 사주의 형상과 거동에 영향을 준다. 사주의 발달과 이동은 하안침식에 영향을 주며, 하안침식은 하도식생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안의 안정성이 교호사주의 발달과정을 실내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하안의 안정성은 홍수터의 하도식생의 밀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하안의 안정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실제 식생인 알팔파읠 밀도를 조절하여 성장시켰다.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였다. 시간이 증가하면서 상류에서 교호사주 발생하고, 하류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하안이 침식하였다.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하폭은 증가하고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하며 사주의 파장도 증가하였다. 홍수터에서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폭의 증가율은 감소하고, 하도의 안정성은 증가하였다. 식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주의 이동속도는 증가하고 사주의 파장은 감소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he development of high meandering channel with riparian vegetation (하도 식생에 의한 급만곡 사행하천의 발달 과정 수치모의)

  • Jang, Chang-L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6-56
    • /
    • 2020
  • 하도식생은 흐름과 유사의 이송에 영향을 주고, 하도의 지형변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다. 하도 식생의 밀도가 증가하면, 하안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안침식이 감소하며, 사주의 형상과 거동에 영향을 준다. 또한 하천의 사행발달 및 하천의 지형변화에 영향을 준다. 식생의 성장과 밀도는 홍수 및 하상변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이는 흐름 및 하천의 지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도식생에 의한 사행하천의 발달과정을 2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하도식생의 생의 성장과 소멸과정을 고려하여 식생밀도를 고려하여 사행하천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였다. 특히, 흐름이 집중되는 만곡부에서 하안침식이 증가하며, 하도의 사행도가 증가하였다(Fig.1(b)). 시간이 증가하면서 만곡부 내측에서 고정사주 내측에서 scroll bar가 발달하며, 만곡부 외측에서는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사행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식생의 침수시간이 감소하고 식생의 성장률은 증가하였다(Fig.1(c)).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행도는 증가하였다.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 PDF

Influence of the interface defect density on 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s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에서 계면 결함 밀도의 영향)

  • Kim, Chan Seok;Lee, Seunghun;Tak, Sung Ju;Choi, Suyoung;Boo, Hyun Pil;Lee, Jeong Chul;Kim, D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03.1-103.1
    • /
    • 2011
  •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에서 계면 결함 밀도는 효율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계면 결함은 캐리어의 재결합 위치로 작용하여, 계면 결함 밀도가 증가하면 재결합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흡수층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 (결정질 실리콘)를 가능한 깨끗하게 세정함으로써, 또한 emitter로 쓰이는 비정질 실리콘을 낮은 데미지로 증착하여 계면 결함 밀도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계면 결함 밀도의 감소가 어떠한 변화로 인해 태양전지 특성에 영향을 주는지 시물레이션을 통해 알아보았다. n-type 웨이퍼에 p-type 비정질 실리콘을 emitter로 하여 TCO/p/i/n-type wafer/i/n/TCO/metal의 구조를 적용했고, wafer 전면과 i로 쓰인 무첨가된 비정질 실리콘 간의 계면 결함 밀도를 변수로 적용했다. 그 결과, 계면 결함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재결합이 감소하여 태양전지 특성이 증가하는 측면도 있지만, 흡수층의 장벽 (barrier height)이 높아져 재결합을 더욱 감소시킴으로 인해 태양전지 특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Chicken Nuggets Added with Wheat Fiber (밀 식이섬유(Wheat Fiber)를 첨가한 치킨너겟 개발)

  • Kim, Hack-Youn;Kim, Gye-W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5 no.5
    • /
    • pp.731-73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eat fiber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ken nuggets. Chicken nugget samples were prepared by adding the following amounts of wheat fiber 0% (control), 1%, 2%, 3%, and 4%. The moisture and ash contents of sample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wheat fiber levels. Frying yield, redness, and yellowness of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heat fiber levels. On the other hand, protein and fat contents of sampl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wheat fiber levels. Furthermore, lightnes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wheat fiber levels.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sample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wheat fiber levels, and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samples containing wheat fiber. Therefore, usage of wheat fiber can improv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nugg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