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밀도 변화

Search Result 3,98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nstruction Works at the Busan New Port on the Activity of Otters (부산신항 공사가 수달의 활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 Han, Chang-Wook;Yoon, Myung-H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5
    • /
    • pp.654-667
    • /
    • 2012
  • To know the effect of construction works at the Busan New Port on the activity of otter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praints were investigated at 5 areas(I-V) composed of 16 locations in 12 islands from 2003 to 201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ensity of spraints at each area(P=0.0502), at each year(P=0.0040) and at each area during the study period(P=0.0005). The densities of spraints in the areas II (P=0.000) and IV (P=0.01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 construction work was carried out or not at each area. It was found that the density of spraints in each area was affected by the disturbance with construction works or other factors inside and/or outside the area.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of the 5 areas had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s as follows. In 2003-2005 when the construction work was proceeded mainly at the area IV,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of the 5 areas as well as the density in the area II increased annually, whereas the densities in the other 4 areas were low and relatively constant. This fact suggests that otters might have moved into the area II from outside the study area. In 2006-2009 when the construction works were carried out on a larger scale at the areas I, II and III, there was a little decrease in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during the latter two years, suggesting a little decrease in the activity of otters in the study area. As regards the density of spraints at each area, it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area II, but increased fairly in the areas III and IV. Accordingly it was indicated that otters in the area II where the construction work was carried out since 2006 might have moved into the area IV with no work, and otters inhabiting the Jeodo, Geoje city, where the construction work was carried out at that time, might have moved into the area III with no work at the sea shore. In 2010-2011 when the construction works were conducted at all the areas on a fairly large scale, the average density of spraints of the 5 areas as well as the densities in the areas II, III and IV, de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the those in the year 2009. This fact clearly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otters decreased owing to the multiple simultaneous works in this period. In conclusion, otters must be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works at the study area, and their numbers might be decreased mainly due to the multiple simultaneous works, as well as by the long-term works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seashore, marine pollution, and reducing prey available.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공정조건 변화에 따른 플라즈마 방전과 전자기장 시뮬레이션의 비교

  • Kim, U-Jae;Jo, Tae-Hun;Park, Hye-Jin;Choe, Jin-U;Lee, Ye-Seul;Hwang, Sang-Hyeok;Yun, Myeong-Su;Gwon, Gi-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14.2-214.2
    • /
    • 2016
  • 플라즈마 공정은 공정의 미세화, 저온화의 필요성 때문에 반도체 및 태양전지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공정조건의 미세한 변화에 따라서 플라즈마 특성이 크게 바뀌어 공정조건에 따른 공정 결과의 예측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공정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공정 결과를 예상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서 공정조건에 따른 플라즈마 밀도 분포 변화를 전자기장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상해보았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제 방전 상황에서 DLP(Double Langmuir Probe)로 측정한 값과 비교하여 플라즈마 밀도 분포와 전자기장 시뮬레이션의 정확성을 검토하였다.

  • PDF

A FEM Alalysis to the Sand Densification due to Increasing Loading (점증하중을 받는 사질토 지반의 조밀화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 한경제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6
    • /
    • pp.79-8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사질토 지반에 일정기간 계속하여 증가되는 단계별 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할수 있는 지반의 밀도화 현상을 hyperbolic model의 매개변수 변화를 고려한 방법으로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적 침하해석에 반영해 주었다. 이를 위해 사질토의 상대밀도별 삼축압축실험을 실시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각의 상대밀도의 변화에 따른 매개변수값을 Lagrange의 다항식 수치보간법으로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프로그램 내에서 요소의 체적을 계산하고 체적의 변화를 상대밀도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서 지반의 밀도화를 프로그램내에서 모사할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해석 프로그램에 의한 지반의 밀도화현상의 모사 결과를 실내 모형기초재하실험에 의하여 비교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해석 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he development of high meandering channel with riparian vegetation (하도 식생에 의한 급만곡 사행하천의 발달 과정 수치모의)

  • Jang, Chang-Le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6-56
    • /
    • 2020
  • 하도식생은 흐름과 유사의 이송에 영향을 주고, 하도의 지형변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다. 하도 식생의 밀도가 증가하면, 하안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안침식이 감소하며, 사주의 형상과 거동에 영향을 준다. 또한 하천의 사행발달 및 하천의 지형변화에 영향을 준다. 식생의 성장과 밀도는 홍수 및 하상변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이는 흐름 및 하천의 지형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도식생에 의한 사행하천의 발달과정을 2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하도식생의 생의 성장과 소멸과정을 고려하여 식생밀도를 고려하여 사행하천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초기에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하폭이 증가하였다. 특히, 흐름이 집중되는 만곡부에서 하안침식이 증가하며, 하도의 사행도가 증가하였다(Fig.1(b)). 시간이 증가하면서 만곡부 내측에서 고정사주 내측에서 scroll bar가 발달하며, 만곡부 외측에서는 하안침식이 발생하고, 사행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식생의 침수시간이 감소하고 식생의 성장률은 증가하였다(Fig.1(c)).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행도는 증가하였다.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 PDF

Change of Sea Sand Density by Washing (세척에 따른 바다모래 밀도 변화)

  • Kim, Hyun-Sik;Lim, Ji-Young;Kim, Jin-Han
    • Resources Recycling
    • /
    • v.26 no.2
    • /
    • pp.66-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stimate density changes of sea sand by washing. To examine water content test, field density test, particle density test and measuring of dump regarding extracted sea sand and selling one. Measured result of mean particle density of barge and dump were $2.666g/cm^3$, $2.651g/cm^3$, respectively. Also, measured result of field density for each sea sand was $1.716g/cm^3$, $1.331g/cm^3$ on average. Converted to the volume of 1ton of each sea sand, $0.583m^3$, $0.751m^3$, respectively. Occurring to volume change approximately 28.8% on average. The mean field densities of measuring of sea sand that dump and barge were $1.398g/cm^3$ and $1.716g/cm^3$ respectively. This values indicated $0.715m^3$ and $0.583m^3$ each, when converted to the volume of sea sand 1ton.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f 22.6% volume change occurred between the amount of sea sand and the sales volume.

Estimation of Number of Synapses on a Neuron in the Brain Using Physical Bisector Method (Physical disector를 이용한 신경세포 및 신경연접 수의 측정)

  • Lee, Kea-Joo;Rhyu, Im-Joo
    • Applied Microscopy
    • /
    • v.36 no.2
    • /
    • pp.83-91
    • /
    • 2006
  • The number and structure of synapses are dynamically changed in response to divers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Since strength of synaptic transmis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ynaptic density on a neuron, both synaptogenesis and synapse los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controlling neuronal activity. Thus it is essential to estimate the number of synapses using an accurate quantitative metho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umerical alteration of synapses under terrain experimental conditions. We applied physical disector principle to estimating the number of synapses per neuron in the dentate gyrus of adult mice. First, we measured the numerical density of granule cells using the physical disector principle. Second, the density of medial perforant path to granule cell synapses was estimated using the bidirectional physical disector. Then, the volume ratio of molecular layer to granule cell layer was measured. With these numerial values, we successfully calculated the number of synapses per neuron. Individual granule cells have approximately 6500 synapses in the dentate gyrus of adult mice $(6,545{\pm}330)$, which are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researcher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ion of synapse numbers per neuron using the physical disector principle would provide accurate and precise information on the numerical alteration of synapses in diverse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Following analyses of synapse numbers using this method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tructural synaptic plasticity in a variety of experimental animal models.

Growth and Grain Yield of Winter Wheat (Triticum aestivum L. 'Jokyung', 'Keumkang') under Long-term Multi-cropping Systems on the Paddy Fields (논 이용 밭작물 중심 다모작 작부체계에서 밀 품종별 생육 특성과 수확량 변화)

  • Seo Young Oh;Jong Ho Seo;Jisu Choi;TaeHee Kim;Seong Hwan Oh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94-94
    • /
    • 2022
  • 최근 밀(Triticum aestivum L.)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내 밀 자급률 증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농경지가 한정되어 있어 벼 수확 후 휴경 논을 이용하여 겨울철에 밀을 재배하거나, 하계 소득 작물과 연계하여 겨울철에 밀을 생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부지역 평야지 논을 이용하여 밭작물 중심 다모작 작부체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밀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수확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단위면적당 수수 및 종실 수량은 작부이력에 밭작물이 포함된 다년 다모작 작형(들깨-IRG-참깨-밀, 콩-IRG-참깨-밀)이 다년 벼-밀 이모작이나 벼-IRG-참깨-밀 다모작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들깨와 콩이 포함된 작부체계에서 많았다. 밀 품종 간 비교에서는 금강밀이 조경밀에 비해 출수기와 성숙기가 2~3일 빨랐지만 종실 수량은 100 kg/10a 이상 적어, 동일한 환경조건에서 조경밀이 금강밀에 비해 곡물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조경밀은 조숙 다수성 경질밀로 전국에 재배가 가능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고 강력분의 특성을 보여 제빵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경밀은 단백질이 10% 이하로 낮고 아밀로스는 28.4%로 높은데 반해, 금강밀은 단백질이 11.0%로 높고 아밀로스는 26.6%로 낮아 제과·제빵에 있어서, 금강밀이 좀 더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밀가루의 Falling number는 조경밀과 금강밀 모두 350초 이상으로 높아 수발아로 인해 전분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은 건전한 상태의 곡립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gluten 함량도 조경밀과 금강밀 모두 유사하게 높았으며, gluten 지수는 금강밀이 좀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밀 수확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벼-밀 이모작 보다 들깨-IRG-참깨-밀이나 콩-IRG-참깨-밀 등의 다년 다모작 작형이 좀 더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밀도차이에 따른 해안방조제 유출수량의 차이점 연구

  • 박유철;김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1-384
    • /
    • 2003
  • 해안방조제에서 해수가 강물에 유출되는 현상은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고 강물을 농업에 이용할 수 없게 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수의 유출수량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해수와 강물 사이의 지하수 흐름은 염도에 따른 밀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담수와 염수의 혼합에 따른 물질의 이송 및 분산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염도에 의한 밀도 차이에 따른 지하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해안방조제에서의 해수가 강물로 유출되는 현상을 수치모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밀도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발견할 수 없었던 지하수의 흐름이 생겼고, 밀도 차이로 인하여 해수의 유출 수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해안방조제의 해수의 유출수량 연구에서는 반드시 밀도 차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Wheat-Leymus Addition Line with Salt Tolerance throgh Wide-hybridization (국내 자생 갯그령(Leymus mollis)의 환경 적응성 강화 밀 자원 소재 개발을 위한 이용 가치)

  • Seong-Wook Kang;Ji-Yoon Han;Seong-Woo C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37-37
    • /
    • 2022
  • 밀은 세계 3대 작물로 국내 1인당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밀의 유전적 배경 확대와 기후변화 신속 대응을 위한 국내 밀 유전자 풀의 확장은 밀의 질적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목표이다. 국내 자생 갯그령(Leymus mollis)은 해안가에서 번식하는 영년생 식물로 뿌리줄기를 이용한 왕성한 번식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안가의 뜨겁고 염에 대한 적응성과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밀 유전자 풀의 확장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국내 밀 재배지 한계 극복을 위한 간척지 재배가 가능한 내염성 강화 밀 자원 개발을 위하여 모본인 보통 밀(Triticum aestivum L., Chinese Spring)과 부본인 갯그령을 원연교배하였다. 갯그령과 보통 밀의 원연 교배를 통한 종자 형성은 매우 어려우나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최종적으로 10개의 교배 종자를 얻어 F1 식물체로 생장하는 과정에서 5 식물체는 고사하였고, 나머지 5 식물체는 영년생 특성인 뿌리줄기에 의해 새로운 줄기가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갯그령의 DNA를 이용한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F1 식물체에서 갯그령의 염색체가 밀의 유전적 배경에 이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F2 식물체는 모본인 보통 밀보다 긴 수장과 간장을 나타내고 이삭 수는 많았지만, 출수기는 보통 밀보다 3주 이상 늦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염성 평가를 위하여 F2 종자를 2% 소금물에서 발아시켜 생육이 좋은 식물체를 선발하여 50 cm 투명 아크릴 원통에 이식하고 2% 소금물을 지속적으로 관개하였다. 내염성 강화 F2 식물체는 염에 감수성을 보인 식물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이삭과 종자 형성을 보였으며, 감수성 식물체는 종자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내염성 강화 F2 식물체는 감수성 식물체에 비하여 좋은 뿌리의 신장과 천근성을 보였다. 이러한 갯그령의 식물학적 특성이 이입된 계통은 기후변화 대응, 환경 적응성 강화, 및 근권 강화에 좋은 작물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Cellular Automata Based Urban Landuse Change Modeling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개발밀도를 고려한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의 도시 토지이용 변화 모델링)

  • Cho, D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1
    • /
    • pp.117-133
    • /
    • 2008
  • Although development density control has received murk attention in urban planning,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empirical methods that can examine local changes in development density.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cellular automata (CA) models that can be applied to urban landuse change.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xtended landuse change model based on urban CA considering development density. The proposed model not only includes density control component in a model framework, but also directly estimates local density changes in land use.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the study area, which was a part of central Seoul.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1900s\sim2000s$ using parcel-based land use data and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calibrated model have been tested by comparison with actual landuse data, and have demonstrated that the developed model can produce realistic simulations of urban landuse changes. But model output is dependent on the spacio-temporal resolution of input data.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libration procedure and methods for evaluating model val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