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감도 향상

Search Result 90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시뮬레이티드 어닐링과 경험적 베이지안을 이용한 수율 향상 레이 아웃 배치 모형

  • 손소영;이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291-299
    • /
    • 2001
  • 반도체 산업 수익성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수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레이 아웃 기법은 wire 의 배선에 따른 결함 민감 지역(critical area)을 최소화하는 기법으로 모든 디자인에 적용하기 쉬우며 새로 추가되는 면적이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이용, via를 이동 시켜 레이 아웃의 결함 민감 지역을 감소 시켜 수율을 향상하였다. 또한 최소화된 결함 민감 지역에 대한 수율을 경험적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하여 모형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은 결함 민감 지역을 줄여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시한 수율 모형으로 보다 정확한 수율을 예측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하는데 일조 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Development of Sensitivity-Enhanced Detector using Pixelization of Block Scintillator with 3D Laser Engraving (3차원 레이저 각인으로 블록형 섬광체의 픽셀형화를 통한 민감도 향상 검출기 개발)

  • Lee, Seung-Jae;Baek, Cheol-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3 no.2
    • /
    • pp.313-318
    • /
    • 2019
  • To improve the sensitivity, a detector using a block scintillator was developed. In the pixelated scintillator, a reflector is located between pixels to mov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scintillator to the photosensor as much as possible, and sensitivity loss occurs in the reflector por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ensitivity an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xelated scintillator, the block scintillator was processed into a scintillator in pixel form through three-dimensional laser engraving. The energy spectra and energy resolution of each pixel were measured, and sensitivity analysis of block and pixel scintillator was performed through GATE simulation. The measured global energy resolution was 20.7%, and the sensitivity was 18.5% higher than that of the pixel scintillator. When this detector is applied to imaging devices such as gamma camera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t will be possible to shorten the imaging time and reduce the dose of patient by using less radiation source.

Gamma Camera Design to Improve Spatial Resolution and Sensitivity (공간분해능 및 민감도 향상을 위한 새로운 감마카메라 설계)

  • Seung-Hun Kang;Seung-Jae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7 no.2
    • /
    • pp.201-206
    • /
    • 2023
  • In order to improve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gamma camera, the size of the hole in the collimator must be reduced, so the sensitivity is reduced. In order to improve the sensitivity, the size of the hole must be increased, and thus the spatial resolution is reduced. In other words, spatial resolution and sensitivity show opposit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a gamma camera was designed to improve both spatial resolution and sensitivity. In order to obtain higher sensitivity in gamma cameras with the same spatial resolution, the structure of the scintillator was design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system. A scintillation pixel was used, and a partition wall was placed between the scintillation pixels to prevent incident gamma rays from being transmitted to other scintillation pixels to interact.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GAT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gamma camera. When the same sensitivity as the block-type scintillator was obtained, the spatial resolution increased by 16.5%, and when the same spatial resolution was obtained, the sensitivity increased by 61.5%.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the gamma camera designed in this study can improve the sensitivity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while securing excellent spatial resolution.

HEVC based Perceptual Video Coding using JND based Bit Assignment toward Perceptual Quality Enhancement (JND 기반 인지품질 향상 지향 비트 할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HEVC 기반 인지 비디오 부호화)

  • Kim, Dae Eun;Kim, Munchur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203-20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HEVC 기반 비디오 부호화에 있어 CTU 단위의 시각 민감도에 따라 CTU 별로 QP 를 조절하여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각 민감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화소 영역에서의 최소가지차(JND, just noticeable distortion)를 계산하여 이용하였고, 이를 HM 12.0 참조 소프트웨어에서 이용되는 $R-{\lambda}$ 모델 기반의 율 제어 모듈에 결합하여 시각 민감도에 따라 QP 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각 민감도가 큰 영상의 영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QP 값을, 시각민감도가 작은 영역에 대해서는 큰 QP 값을 양자화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시각 민감도가 작은 영역에 대해서는 사용 비트양을 절약하고, 절약된 비트를 상대적으로 시각 민감도가 큰 영역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비디오의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하드웨어에 적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HM 12.0 기반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 $R-{\lambda}$ 모델 율 제어 알고리즘으로 율 제어 하여 부호화 한 경우 Y-PSPNR(peak signal to perceptual noise ratio)에 대한 BD-rate 는 평균 9.4%의 이득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mproving ncRNA Prediction using RNA common-structural Desciptor (RCSD) Committee Machine (RNA 공통 구조 기술자 Committee Machine을 이용한 ncRNA 예측 성능 향상 기법)

  • Nam Jin-Wu;Kim Sung-Kyu;Joung Je-Gun;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265-267
    • /
    • 2005
  • 최근 포유동물의 유전체에는 알려진 것보다 훨씬 많은 RNA 전사체가 발현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며, 그 중에 많은 부분이 non-coding RNA로 알려지고 있다. 세포 내에서 non-coding RNA의 기능이 훨씬 다양해지고,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non-coding RNA를 정의하고, 탐색하는 것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RNA 공통 구조 학습을 위해 제안되었던, esRCSG (evolutionary search for RNA common-structural grammar)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을 위해, committee machine을 도입한다. Committee machine은 마지막 세대에서 최적화된 RNA 공통 구조 기술자 (RCSD)와 차상위로 최적화된 기술자들 중 양성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치역을 합쳤을 때 특이도는 거의 변화가 없으면서 민감도의 증가가 가장 큰 기술자들의 집합이다. Committee machine은 특히 family type의 서열의 가진 특정 ncRNA에서 좋은 성능 향상을 보인다. microRNA를 이용한 성능평가에서 특이도의 변화가 거의 없이 민감도의 성능이 약 1.5배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특이도와 민감도가 높은 기술자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non-coding RNA를 예측하는 것을 약속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Frequency Sensitivity and Signal Direction for Image Enhancement (주파수 민감도와 신호의 방향을 이용한 영상 화질 향상 기법)

  • Bang, Seang-Bae;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245-247
    • /
    • 2014
  • 본 논문은 human visual system(HVS)에 따른 주파수 민감도와 공간에서 다양한 특성들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처리 방법을 개발하였다. 인간의 눈은 주파수 성분에 따라 민감도가 다르며 초점에서 멀수록 인지 가능한 해상도가 떨어진다. 주파수 민감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영상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 모양이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CSF)의 모양이 되도록하여 영상 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켰으며 신호 방향에 적응적인 multiband energy scaling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시스템에서 능률만을 향상시키는 기존의 분석 모델과 비교하면 개발한 방법은 HVS에 좀 더 적절하고 선호되게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 PDF

디지탈 보호계전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 박종근;강상희
    • 전기의세계
    • /
    • v.43 no.4
    • /
    • pp.11-19
    • /
    • 1994
  • 계전기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계전신호의 최소 변화분으로 사고를 감지할 수 있는 민감도, 사고가 담당 구간 내부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판별력, 최단시간에 사고를 감지하여 사고 구간을 분리시킬수 있는 속도를 들 수 있다[3]. 그러나, 민감도나 판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양의 데이타와, 정밀한 연산이 필요하여 계전기의 동작 속도를 느리게 하고, 반대로 속도를 빠르게 하려면 민감도나 판별력을 떨어뜨리게 된다[4]. 따라서, 디지탈 계전기에서의 가장 큰 과제는 동작속도의 단축과 동시에 민감도 및 판별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 PDF

Impact Performance Optimization of Auto-Sensing Breaker using Multi-objective Function (다목적함수를 이용한 지능형 브레이커의 타격성능 최적화)

  • Lee, Dae-Hee;Noh, Dae-Kyung;Park, Sung-Su;Lee, Geun-Ho;Kang, Young-Ky;Cho, Jae-Sang;Jang, Joo-Sup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4
    • /
    • pp.11-21
    • /
    • 2017
  • This paper discusses the design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and multi-objective function optimization for improving the impact performance of an auto-sensing breaker based on the analytical model of the same, which secured reliability in a previous research. The study aims to improve both impact power and stability by complementing the existing research that only improved the impact power. The study sequence is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scenarios for the accurate sensitivity analysis and optimization are set up. Second, the sensitivity of the design parameter of the auto-sensing breaker is analyzed, and the variables with high sensitivity are extracted. Third, the extracted variables are used to optimize the multi-objective functions, and the optimized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the initial performance to see how the impact performance on the existing auto-sensing breaker has improved. This study is based on domestic technology, and will allow the development of products with a better blowing performance than their existing overseas counterparts.

Signal Adaptiv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for Image Enhancement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을 이용한 신호에 적응적인 영상 화질 향상 기법)

  • Bang, Seang-Bae;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275-277
    • /
    • 2016
  • 본 논문은 human visual system(HVS)에 따른 주파수 민감도와 공간에서 다양한 특성들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처리 방법을 개발하였다. 인간의 눈은 주파수 성분에 따라 민감도가 다르며 초점에서 멀수록 인지 가능한 해상도가 떨어진다. 주파수 민감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영상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 모양이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CSF)의 모양이 되도록 하여 영상 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켰으며 신호 방향에 적응적인 multiband energy scaling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시스템에서 능률만을 향상시키는 기존의 분석 모델과 비교하면 개발한 방법은 HVS에 좀 더 적절하고 선호되게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 PDF

Human Visual System Adaptive Image Enhancement (Human Visual System에 적응적인 영상 화질 향상 기법)

  • Bang, Seang-Bae;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114-116
    • /
    • 2016
  • 본 논문은 human visual system(HVS)에 따른 주파수 민감도와 공간에서 다양한 특성들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처리 방법을 개발하였다. 인간의 눈은 주파수 성분에 따라 민감도가 다르며 초점에서 멀수록 인지 가능한 해상도가 떨어진다. 주파수 민감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영상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 모양이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CSF)의 모양이 되도록하여 영상 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켰으며 신호 방향에 적응적인 multiband energy scaling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시스템에서 능률만을 향상시키는 기존의 분석 모델과 비교하면 개발한 방법은 HVS에 좀 더 적절하고 선호되게 영상 신호를 처리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