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간비영리부문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Service Support Program for the Work-Family Balance in the Community (일-가정 균형을 위한 지역사회의 지원에 대한 고찰)

  • Jeong, Jee-Young;Cho, Seung-Eu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12 no.1
    • /
    • pp.21-3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rvice support programs for the work-family balance in the community. Service support programs in the community are at beginning stages of development, because it has taken about 10 years to put a self-governing system into practice in Korea. This study concentrates on service support programs developed by various service organizations in the city and does not include any rural districts. First,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work-family balance model and type of the service support program in the community were studied. Next, the situation of care service support was examined based on written articles. Finally, a few suggestions were made f3r work-family balance in the community. The developmental situation of work-flmily balance in Korea is in a stage which is shifting from the company-leading model to a family-company-community model. The most common type of service support program offered in the community until now has been the informal sector through relatives, neighbors or friends. However, service support programs, in the public sector by the government and in the voluntary sector by nonprofit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has rapidly been growing and the number of services from each sector has also increased. Profit organizations in the private sector, such as medical and care service centers, are also now rapidly increasing. It appears that service support programs contributing to the work-family balance in the community come from a number of sectors, including public, voluntary, private and informal sectors, to suit consumer needs.

  • PDF

A Study on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Developed Countries for Counter-Terrorism (대테러를 위한 선진국의 민·관 협력에 관한 고찰)

  • Kwon, J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17-31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미국·영국의 사례를 통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의 경우 초기 대응자로서 민간 부문의 중심적인 역할, 공공과 비영리 그리고 민간 부문 조직들의 협력적 대응, 자원봉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평소 민간 부문에 대한 훈련, 민간 기업의 기민성과 영국의 경우 위기관리를 위한 언론의 협조자 역할, 정부의 언론을 통한 위기관리의 중요성 인식 등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요컨대, 미국·영국의 경우 전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테러활동을 위한 민·관 간의 협력적 운영이라는 사실과 더불어 우리나라 대테러 관계기관 실무자들의 민·관 협력 기능의 필요성에 대해 시민의식의 향상, 시민단체와 민간 기업의 사회적 공익 분야 강조, 언론의 역할 정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대테러시스템 운영을 위해 이들의 역할과 기능이 더욱 확충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f Strategic Performanc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Public Organization (공공조직의 전략적 성과관리 설계 및 적용에 관한 사례분석 연구)

  • Lim, Jong-Ho;Lee, Jung-Hoon;Kang, Sung-J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5a
    • /
    • pp.3-12
    • /
    • 2006
  • 최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BSC(균형성과표)/SEM(전략적 전사관리)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 부문과 달리 공공부문은 비영리 조직이라는 특성을 가지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여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대상 공공기관의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업무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선진 사례를 도출하여, 공공부문에서 BCS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례대상 공공기관(정보통신부)의 성과관리에 대한 연구는 국내 공공부서에 적합한 성과관리 방법론 도입과 시스템 구축에 효과적인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공공부문 BCS(균형성과표)설계 및 시스템 구축 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 PDF

A Case Study on BPM based Strategic Performanc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Korea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정보통신부 BPM 기반의 전략적 성과관리 설계 및 적용사례분석)

  • Lee, Jung-Hoon;Lim, Jong-H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9 no.1
    • /
    • pp.215-231
    • /
    • 2007
  • The Balanced Scorecard is known as an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that helps enterprise to translate strategic objectives into relevant performance measurement within an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framework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deployment of Balanced Scorecard and 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have realized its value in public sector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public domains can be characterized as non-profit organizations involving diverse stakeholders which may provoke obstacles to proper implementation. This paper offers an insight into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Korea. The paper evaluated a number of key guidelines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be successful in delivering strategic goals in public sector.

Comparative Study on Carbon Footprint Calculation in Water Sector by Focusing on U.K. and U.S.A. (물관리 분야에서의 탄소발자국 산정 사례 비교분석 -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Kim, Ju-Young;Park, S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7-57
    • /
    • 2011
  •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은 인간의 생산 및 소비활동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최근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이다. 현재 영국, 일본, 스위스, 프랑스,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탄소발자국 산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탄소발자국 개념을 물관리 분야로까지 확대 적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과 미국의 서로 다른 형태의 물분야 탄소발자국 산정 방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기후변화 대응 물관리 계획에 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영국은 2008년 제정된 기후변화법에 따라 탄소 저감 목표를 수립하고 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표준화된 탄소 산정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지역 물회사들로 하여금 탄소발자국 산정 및 온실가스 저감계획을 이행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탄소라벨링 시스템이 제도화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천네트워크(River Network)와 같은 비영리 민간단체를 통해 물 분야의 탄소 저감 인벤토리가 구축되어 왔다. 현재 우리나라 수자원 분야에서 한국수자원공사가 일부 지역 정수장의 수돗물 및 병물의 생산 및 공급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정량화하고 있으나, 물관리 시스템 전반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통한 표준화된 저감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영국과 미국에서 진행되어 온 물 분야 탄소발자국 논의의 배경과 동향 및 시행 체계를 살펴보고, 영국 정부 차원에서 제시한 물 분야 탄소 산정 가이드라인과 미국 민간부문에서 제시한 안을 각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두 나라가 비슷한 시기에 탄소발자국 논의를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특수성을 분석하였다. 탄소발자국 산정은 오늘날 수자원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영국과 미국의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총괄적인 온실가스 감축 인벤토리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물관리 분야에서 저감 잠재력이 큰 곳을 중심으로 한 온실가스 저감계획 및 방향 설정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Open Source GIS Software Ecosystem in Korea (국내 오픈소스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생태계 분석)

  • Kang, Youngok;Kang, AeTti;Kwon, HoeYo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6
    • /
    • pp.67-79
    • /
    • 2014
  • These days open source softwares are being introduced and applied in many countries in the world. Especially, both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tend to become an spearhead in vitalizing the open source software. In this paper we try to check the degree of vitalizations in open source GIS software and to draw implications in vitalizing ecosystem of open source GIS software. Key players of open source GIS software ecosystem are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es, and nonprofit foundations. Government does not have very little policies related to the investment and the support of open source GIS software. Private companies related to the open source GIS software are very few in the number and do not have any clear business model to make a profit.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es are weak in using the open source GIS software, which can be an major obstacle to cultivate software developers. OSGeo Korean branch, established in 2009, is the only nonprofit foundation in Korea which makes an effort to vitalize the open source GIS software, but its results are not very strong up to now in view of both quality and invigoration. In order to vitalize the open source GIS software ecosystem, lots of efforts of key players are needed. Especially, government efforts are very important because it can provide a trigger in vitalizing the open source GIS software ecosystem. The tasks that government should propel are R&D investment, test bed projects in the area of public sector,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