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의 표현

Search Result 56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and Symbolism in Animated Films (미·일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음식장면에 나타난 상징적 속성 비교)

  • Koo, bo-room;Kwon, ky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63-164
    • /
    • 2013
  •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안에 표현된 음식은 문화의 정서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음식에 대한 상징적 해석에 대해서는 문화기호학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속에 등장하는 음식장면을 중심으로 하여 미국과 일본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문화의 상징적 속성을 밝히고자 한다.

  • PDF

Aesthetic Features & Awareness Observed in Traditional Boots (전통 화(靴)에 나타난 미적 특성 및 미의식)

  • Lee, Ja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46-57
    • /
    • 2018
  • Fashion is a cultural element expressing general and common aesthetic awareness in a relevant region in the relevant times. On the aspect that shoes are also a part of fashion reflecting the unique aesthetic awareness of Korea,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esthetic awareness contained in the aesthetic features observed in the traditional boots. The aesthetic features in terms of the form were the balanced usage of each element including curves, straight lines, simple shapes, contrast colors and materials, and the application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as the symbol of social position and status in terms of the contents. Aesthetic awareness pursues the beauty of moderation through the compromise between curves and straight lines, as both elements accept each other's features and keep balance without inclination to one element. Next, solid and void are naturally expres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expression on colors, materials and shapes through the harmony of composure and techniques. While traditional boots were used as the sign indicating social position and status as the unity of spirit and a thing, they pursue the value of rhythmic vitality by giving spiritual meaning to a thing.

3D Simulation of Maze Solver Micromouse using MEL Script (MAYA의 MEL Script로 구현한 미로찾기로봇 3D시뮬레이션)

  • Kim, Min-soo;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201-20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을 시각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MAYA의 MEL Script를 통해 미로 찾기 로봇을 3D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AYA에서는 생성된 개체에 대해 X-Y-Z 좌표정보를 적용하고 이 수치를 개체의 속성 값으로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랜덤한 미로 맵을 완성하기 위한 규칙으로 행렬을 생성하고 이 행렬의 인덱스와 값에 따라 X-Y-Z 좌표정보를 적용하여 개체를 생성하면 랜덤한 미로 맵이 완성된다. 그 후 길을 찾기 위한 규칙에 의해 이동하는 로봇의 X-Z좌표정보를 각 프레임 별로 저장하여 재생 시키면 미로 찾기 로봇 시뮬레이션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다. 사람이 직접 번거롭게 임의의 미로 맵 을 생성하지 않고 로봇이 없어도 간편하게 미로 찾기를 구현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시뮬레이터는 미로 찾기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Pre-Planned Creativity In Miles Davis And Edgar Allan Poe (마일즈 데이비스와 에드거 앨런 포우의 계산된 창작법)

  • Kim, Hyoeng-Ch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626-628
    • /
    • 2011
  • 문학과 음악처럼 다른 두 예술 분야에서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시대별 표현방법의 변화에서 공통점이 발견되기 마련이다. 시기적으로는 고전주의적 표현에서 낭만주의적 표현으로의 변화를 겪은 18-19 세기 영, 미 문학의 표현 형태와 20세기 중반 미국재즈의 획기적인 표현방법상의 변화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1846년, 제약과 규범의 틀을 탈피한 인간 중심의 자기 주도적 표현 방식을 보인 낭만주의적 성향이 만연한 시기에 모든 창작은 계산에 의해 나와야한다는 에드거 앨런 포우의 한 비평문이 소개된다. 신고전주의적 사상의 출발로 볼 수 있을 정도인 이 비평문에서 포우는 작가의 순간적 감정을 자제시키면서 창작은 사전 준비에 의해서만 행해져야한다는 주장을 한다. 이 연구는 포우가 비평문을 통하여 주장하는 사상을 마일즈 데이비스의 작품 속에서 의도적 창작의 개연성을 연계하여 유추하는 것에 중심을 둔다.

  • PDF

A Study on the expressions material and method in design education(1) (디자인교육에서의 표현 재료와 방법에 대한 연구(1))

  • Im, nam-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61-1063
    • /
    • 2009
  • The study notices the value of the expressions material and method in design education as the subject of for appreciation stud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it is as follows: to understand education system and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diverse elements including in the value of the expressions material and method; to get an overall perspective on various aspects of life; and to develop contents for appreciation study which points to help learners perceived values.

  • PDF

Expression of Grotesque Body in Chris Cunningham' Work (크리스 커닝햄의 작품에서 표현된 그로테스크 신체)

  • Kim, Ho;Kim, Jae-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2
    • /
    • pp.173-180
    • /
    • 2009
  • In the recent past, the impression expressed by a human body expanded from that of aesthetic beauty to deformed organic medium influenced by environment. And the advancement in digital technology had made it possible to represent the deformed and distorted images of human body more realistically. Consequentially, these exaggerated physical images leave audiences with a feeling of grotesqueness. Chris Cunningham is a British director who mainly focuses on grotesque body as his subject matter using digital media. This paper will explore Chris Cunningham's work and his final goal through analyzing his carnivorous, uncanny grotesque body images, making use of the figital media, at each of his different levels.

Building of a supporting system for a small ship′s operator using Fuzzy linguistic expression (퍼지언어표현을 이용한 소형선박 운항자 지원시스템 개발)

  • 김화영;서기열;홍태호;권혁동;박계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329-333
    • /
    • 2004
  • 최근 우리나라는 선박 종류별 해양사고 발생률 중 100톤 미만의 어선 및 소형선박이 차지하는 비중이 72%에 달하고 있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경계, 침로선정, 선위확인등 항해일반원칙의 미준수가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고령화되고 운항지식이 충분하지 못한 소형선박의 항해사에게 안전한 최적항로를 안내해주는 지능형 항해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항로계획 프로그램과 항로전송부, GPS Plotter로 구성되어있다. 지능형 항해지원시간템을 통해 임의의 위치에서 목표지점까지 최적항로를 퍼지 언어표현으로 안내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Digital Halftoning with Maze Generation Algorithm (미로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한 디지털 하프토닝)

  • Jho, Cheung-Wo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3 no.6
    • /
    • pp.984-990
    • /
    • 2009
  • Halftoning is very important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n the digital printing industry which is a process of converting a continuous-tone image to bi-level tone imag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digital halftoning method based on maze generation algorithm as a replacement algorithm of halftoning with space-filling curve. Previous error-diffusion methods based on space-filling curve suffer from regular pattern artifacts from uniform scan pattern. We use maze generation algorithm to remove this undesirable pattern of space-filling curve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