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시사회학적 접근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가족의 주거조절양상 - 미시사회학적 접근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Adjustment Patterns of Korean Families - through the Microsociological approach -)

  • 홍형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14
    • /
    • 1994
  • This study was made to analyze the housing adjustment patterns of Korean families through the Microsociological approach. General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similar to that used in the previous study (Hong. 1986. 1992. 1993. 1994), which is a modified version of housing adjustment theory developed by Morris and Winter(1978). In short this study was made to analize the housing adjustment pattern not in terms of external devision and uniformity but in terms of diversity and individuality of each family.

  • PDF

주한미군의 미시적 지정학 - 미군기지로 인한 지역사회의 범죄 및 환경 문제의 발생과 해결방안 - (Micro-Geopolitics against the U.S. Forces in S. Korea: Local Problems Caused by the U.S. Military Bases and Strategies for their Resolution)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97-313
    • /
    • 2003
  • 그 동안 미군기지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미시적 문제는 거시-지정학적 관점에서 국가안보와 동북아 평화를 이유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통치체제가 민주화되고 시민사회의 정치적 담론이 활성화되면서, 이 문제들은 지역사회 나아가 전국적으로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미군 문제들에 접근하기 위하여 미시 지정학적 관점이 주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미군 주둔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사회적 범죄와 환경오염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사회의 문제와 이에 대한 대책을 미시-지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최근 정치지리학에서 지역사회에서 유발되는 문제와 생활정치 등에 초점을 두는 미시-비판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미관 기지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주요 문제 유형으로서 범죄와 환경오염의 실태를 살펴보면, 대구시 남구의 미군기지 주변 주민들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주민의적을 분석하였으며, 끝으로 미군 주둔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주요 대책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연변 조선족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School Adjustment of Korean-Chinese Children : Ecological Factors in Yanbian)

  • 조복희;이귀옥;박혜원;이진숙;한세영
    • 아동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27-14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변 조선족 아동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변수를 생태학적인 접근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자료는 연변 지역의 소학교로부터 258명의 조선족 아동과 부모가 응답한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우선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에 속한 7개의 변수들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각 생태학적 체계에 속한 변수들을 매개로 한 학교적응의 인과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사용한 자료분석 결과, 아동의 성취동기(개인체계),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지지(미시체계), 어머니의 직업만족도(중간체계)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이 잘 이루어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어머니의 직업만족도는 가정의 물리적 환경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지지는 아동의 성취동기를 매개로 하여 아동의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중국 연변이라는 거시체계에 속한 아동의 학교적응에 있어 지역특수성으로 인한 영향보다는 개인적이고 일반적인 변수의 영향이 더 유의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 PDF

재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학 이론을 바탕으로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d on the Ecology Theory)

  • 김연하;김민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1호
    • /
    • pp.30-38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노인의 죽음불안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Belsky(1980)의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우울, 자아통합감, 영적안녕감의 개인유기체 요인과 미시체계 요인으로는 가족지지, 그리고 외체계 요인으로는 사회적연락망, 노인차별경험, 가족주의가치관의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의 16개 구(區) 중 10개 구에 소재한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에서 85세 미만의 재가노인이었다. 연구 참여가 가능한 노인은 설문지의 내용을 읽고 이해하며 그에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로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총 189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 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개인유기체 요인 중 우울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32$, P<0.001). 미시체계 요인인 가족지지는 죽음불안에 대한 직접(${\beta}=-0.15$, P=0.026), 간접효과(${\beta}=-0.06$, P=0.022) 및 총 효과(${\beta}=-0.21$, P=0.006)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외체계 요인들 중 사회적연락망(${\beta}=0.21$, P=0.003)과 가족주의가치관(${\beta}=0.23$, P=0.009)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의 죽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유기체 요인 중 우울, 미시체계 요인인 가족지지, 그리고 외체계 요인인 사회적 연락망 및 가족주위 가치관이 확인되었다. 비록 자아통합감, 영적 안녕감 및 노인차별경험이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노인의 개인유기체, 미시체계 및 외체계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어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중재개발에 있어서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생애구술을 통해 본 주거의 의미와 사용 II : 주거의 사용을 중심으로 (Meaning and Use of Housing through Narrative Life History in Korea II : Focused on the Use of Housing)

  • 홍형옥;양세화;전남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2호
    • /
    • pp.155-171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use of housing in modern Korea, and to draw the interrelation of people and hous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ed various aspects of housing history among four individuals during the different phases of social and economic transitions. 4 narratives show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a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housing experiences were closely related to hometown, the relation to birth family at postmarriage, economic status, and the meaning of hom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validity to select the interviewers was proved in that the selection was based on both housing structure type and ownership, and also the research indicated that economic status and housing structure type influenced the entire housing experience of each interviewee. The use of housing varied and the implications of housing lied in social and economic contexts. The use of housing, of which the term was contrived to alternatively described housing consumption modes, and chronology were affected by such individual factors as economic status, familiar relationships, residential location, the meaning and subjectivity of housing.

생애구술을 통해 본 주거의 의미와 사용 I : 주거의 의미를 중심으로 (Meaning and Use of Housing Through Life History I : Focused on the Meaning of Housing)

  • 홍형옥;양세화;전남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45-60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aning of housing in modern Korea, and to draw the interrelationship of people and hous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ed various aspects of housing history among four individuals during the different phases of social and economic transitions. Each narratives show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and the conceptual frameworks for interpretation were microsociological approach by Morris and Winter(1978) and pathway approach by Clapham(2005). One narrater named "K" had gone through various housing experiences since her birth in 1933 at a traditional Korean housing, and she moved to a traditional rural community. Another narrater called "S" was born in housing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gained wealth through the housing boom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has lived in a suburban condominium. "G" spent her entire life in an urban area, had never owned a house, and lived in a house with poor quality. The other narrater named "L" had lived in a single-family home with a large yard since her childhood, and she has resided in multi-family housing by herself after having a lot of experiences of building hou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housing could play as a simple role as a shelter, be transformed over family life cycle, become prestige of extended family, social and family status, investment. Meaning of housing from the pathway approach were closely related to hometown, the relation to birth family at postmarriage, economic status, and housing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As a conclusion, the meaning of housing is vary, and housing conveys numerous implications including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조선전반기 가족의 주거조절에 관한 연구 - 미시사회학적 접근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Adjustment in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 with special perspectives of microsociological approach -)

  • 홍형옥
    • 건축역사연구
    • /
    • 제2권1호
    • /
    • pp.25-41
    • /
    • 1993
  • This study was made to analyze the housing adjustment phenomenon in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by applying Microsociological approach. By reviewing the housing adjustment theory of Morris and Winter, research model for the period was developed in term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normative housing deficit (=cultural norm-housing condition+family norm), constraints, behavioral propensities, and housing adjustment mechanism with the following results : 1. In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the size of the house, the house site and decorating items were specified by law (cultural norm)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Although the law was constraints for the housing phenomenon, it was not applied universally. Frequantly the law was violated by the upper class. By the middle of the Dynasty the family norm became more important for the housing phenomenon than the cultural norm. 2. Efforts were made to practice the Confucianism as a cultural norm in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At that time Husband-Living-in-Wife's-House was more popular than Wife-Living-in-Husband's-House. Because the customs were against the Confucianism, the latter was encouraged by law. But it did not change. Instead a compromised system became popular in the middle of the Dynasty. The house shrine was practiced to increase the symbolism of the family, which, in turn, exerted influences in deciding the housing site (cultural norm). These cultural norm was not accepted as the family norm untill the second half of the Dynasty. These trends forced the man and woman use separate areas of the house, and formulated a hierarchic positions within a house. 3. It was shown that the settlement of Confucianism as a family norm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Ondol system in the house, which functioned as one of the behavioral propensities to encourage diversity of space for many purposes. Though the Ondol system was accepted as a useful heating system earlier, this became more popular in the middle of the Dynasty because the housing pattern with Ondol fitted very well with a large family system with patriarchism. Ondol system for one or two rooms substituted Ondol for all rooms in the second half of the Dynasty. 4. From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housing adjustment of the family was determined by the social status and by law (cultural norm). Within this cultural norm each family decided its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its economic ability (family norm). Family norm was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cultural norm to determine the micro-space pattern in the house. But this period witnessed the formations of new conditions by the ruling class's efforts to implement new ethics for hierarchy and sexual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se conditions the Confucianism overruled the family norm in the later period.

  • PDF

5·18민주화운동이 지역경제에 미친 경제적 영향 분석: 통제집단합성법(SCM)을 이용한 접근 (The Economic Impact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n the Regional Economy: A Synthetic Control Method (SCM) approach)

  • 류덕현;서동규
    • 분석과 대안
    • /
    • 제6권2호
    • /
    • pp.155-183
    • /
    • 2022
  • 본 연구는 통제집단 합성법(Synthetic Control Method, SCM)을 사용해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전남지역에 미친 부정적 충격을 계량경제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제집단 합성법은 미시계량경제학의 이중차분법과 유사한 방법론으로 국가, 지역 등의 거시집계변수들에 적용하여 특정 사건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해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건 이후의 성과차이를 계량하는 데이터 중심 추계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 기준 광역 지방자치 단체의 지방세수 자료를 지역의 경제력에 대한 대리변수로 하고 여러 사회 경제적 지표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전남 지역의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1971년부터 20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실증 분석 결과 1980년을 기준으로 최대 17%까지 광주/전남 지역의 지방세수가 정상 경로와 비교하면 덜 걷혔다고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통제집단 합성법의 강건성 분석 방법인 시점이동 위약효과 분석과 공간이동 위약효과 분석을 통해서도 이러한 분석의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