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술요법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Recall on the Quality of Life and Emo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Day Care Center)

  • 오영이;이숙민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79-86
    • /
    • 2016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과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소재한 노인전문 주간보호시설의 노인 중 75세에서 96세 까지 MMSE-K 점수가 15 ~ 23점의 경증치매노인이며, 실험집단에게는 6개월간 주 1회 60분씩 사전 사후 포함하여 30회기로 구성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처치기간 동안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연구결과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 정서, 질적분석 바디이미지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정서측정도구에 대한 시간의 경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간보호시설 거주 경증치매노인의 삶을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좀 더 안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며 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ective Art Treatment based on Reminiscence Therapy on th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mong the Elderly with Dementia)

  • 김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47-58
    • /
    • 2021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대인관계,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에 소재하는 S주간보호센터 이용자 중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3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7일 부터 2021년 1월 2일 까지 주1회씩 12회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3×2 혼합변량분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대인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를 증진시키며,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술요법이 노인의 인지,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t Therapy on Cogni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 최연희;전은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3-331
    • /
    • 2013
  • Purpose: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 collage medium and reminiscence therapy prevented or reversed dementia, prevented depression, and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at high risk for dementia in community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is study used a pre-post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a random sample of women over 65 years of age who had been registered as being at high-risk for dementia at the Public Health Center of the G City, and the Dementia Support Center. Of these elders, 30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3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 weeks. $x^2$-test, t-test, Wilcoxon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program,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can be utilized in community-based nursing practices by identifying and registering those who are at high risk for dementia. The results should prove useful when designing future intervention strategies targeting elderly individuals residing in communities.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Depress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김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59-68
    • /
    • 2021
  • 본 연구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우울,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S군 S노인요양시설에 입소 중인 65세 이상의 치매노인 총 28명을 대상(실험군 14명, 대조군 14명)으로 2020년 11월 14일 부터 2021년 3월 6일 까지 주1회씩 16회기를 걸쳐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2×2 혼합변량분석, 대응표본 T-test, 집단 간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들의 우울과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호스피스 완화요법으로서의 미술치료

  • 안정희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3년도 동계 심포지엄
    • /
    • pp.217-227
    • /
    • 2003
  • 신체적 질병의 심리적이고 신체적인 측면을 위한 미술치료의 사용은 여러 가지 이유로 확대되었다. 그 이유로는 대체의학에 대한 관심과 이미지를 제작하는 창조적인 과정이 심각한 질병과 싸우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라는 인식의 확산을 들 수 있다. 미술치료는 사람들이 고통과 몸을 쇠약하게 하는 그 밖의 증상들과 대결하도록 도와 감정과 신체적 증상들의 정체를 밝히고 그들이 의학적 치료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한다(1998, Cathy A. Malchiodi), 완화의학이 삶이 제한된 질환을 가진 환자 삶의 질을 최대한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며 치료하는 의학의 한 전문분야로서 질환의 초점을 완치에 두는 것이 아니라 통증과 증상 조절 등 완화에 두고 의학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사회적, 영적인 문제까지 해결하는데 관심을 둔다면 예술치료의 한 분야인 미술치료는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집단미술요법이 여대생의 신체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College Women)

  • 정길수;이성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43-755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8-week, 16-sess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body image and self-esteem in college women. Method: Data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58 college women in Inchon who were selected by criteria of this study, from the 6 of March to 10 of May, 2002. The 11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8-week group art therapy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homogeneity test, hypothe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performed statistically by utilizing SPSS PC+ 8.0 program. Result: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body image than the comparison group.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in self-esteem.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group art therapy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lients with negative body image to improve their body image.

통원 암 환자의 미술 매체 선호도 연구: 미술 치료요법의 다학제간 접근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Art Media of Cancer Patients: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Art Therapy)

  • 이윤희;김지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71-1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를 통해 통원 암 환자들이 선호하는 미술매체를 파악하고 이유를 탐색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남성6명, 여성70명으로 총76명이며 유방암(38명), 기타 암(38명)질환자이다. 측정도구는 단(1)회기미술치료에서 매체선호도 자가 기입질문지와 만다라그림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성검증, 카이검증 결과와 만다라그림을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매체선호도는 연령별, 투병기간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질환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만다라그림에서는 매체의 특징과 질환별 요인에서 선호매체의 선택이유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간 입원 암환자를 대상으로 집중되던 미술치료 적 접근과 지원을 통원하는 암환자의 측면에서 집중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과 개입을 조명해주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통원 암환자의 신심에 안정을 돕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집단미술요법의 노인의 무력감, 고독감, 우울, 자아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Old Adults' Powerlessness, Loneliness, Depression and Self-image)

  • 최영순;김현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55-265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old adults' powerlessness, loneliness. depression and self-image (for 55-year old or older people). Method: An experimental group of 10 persons were given group art therapy for 1 hour per week for 8 weeks.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older adults' powerlessness (p<0.05) and their loneliness and depression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loneliness (p>0.05). A tree test was executed to analyze self-image change. and the result of the tree test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tree shape. which mean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self-image. Conclusions: The scores of older adults' powerlessness, loneliness and depression were lowered by the group art therap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older adults' quality of life. Thus, this study suggests to apply group art therapy as a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in order to manage powerlessness, loneliness, depression and self-image in old low-income ad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