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 제어 조절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이중 주파수를 이용한 펄스 유도 결합 플라즈마 특성 연구

  • Kim, Gi-Hyeon;Kim, Tae-Hyeong;Lee, Seung-Min;Lee, Cheol-Hui;Kim, Gyeong-Nam;Bae, Jeong-Un;Yeom,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05a
    • /
    • pp.84-84
    • /
    • 2015
  •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도체 미세 공정에서 플라즈마 밀도, 균일성 등과 같은 플라즈마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차세대 공정 장비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플라즈마 특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2개의 안테나에 pulse 신호를 적용하여 각 안테나에 인가되는 펄스 신호에 따른 플라즈마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 PDF

Improvement of Growth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Plants at In Vitro and Ex Vitro and Energy Efficiency by Environmental Control with Growth Stage in Photoautotrophic Micropropagation System (광독립영양 기내 미세증식 시스템에서 생육단계별 환경조절을 통한 감자의 기내 및 기외 생육과 에너지 효율 향상)

  • Oh, Myung-Min;Lee, Hoon;Son, Jung-Ee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8 no.1
    • /
    • pp.23-2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ptimized environment conditions with growth stage in photoautotrophic micropropagation on the growth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cv. Dejima) plantlets and energy efficiency. Optimum environment conditions at each stage were decided in our previous study. For the evaluation of optimized environment control, potato plantlets were cultured under four different conditions: photoautotrophic optimum conditions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and $CO_2$ levels with growth stage (POG), photoautotrophic constant condition with average PPFD and $CO_2$ levels (PCA), photoauototrophic constant condition with maximum PPFD and $CO_2$ levels (PCM), and photomixotrophic conventional condition with 3% sucrose (PMC) as control. As a result, environment control with growth stage (POG) significantly promoted all the growth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nodes and unfolded leaves, shoot height, shoot diameter,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potato grown in vitro. In addition, based on dry weight consumed electricity and $CO_2$ were the lowest in POG suggesting the highest energy efficiency among the treatments. After transferring potato plantlets to greenhouse, the plantlets under POG showed vigorous growth, which was pretty similar with those under PMC. The accumulations of dry matter in POG were 4.7 times in vitro and 3.8 times in greenhouse as much as those in the conventional control (PCM). Thus, we concluded that in vitro environment control with growth stage induced vigorous growth of potato plantlets both in vitro and in greenhouse with less energy consumption.

Multichannel optical transmission-filters based on one-dimensional photonic crystals (일차원 광자결정을 이용한 다중채널 광-투과필터)

  • Nam, Gi-Yeon;Jeong, Geon;Kim, Jun-Hyung;Cho, Sung-Jun;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993-997
    • /
    • 2004
  • 파장다중분할 방식의 광통신소자는 단일파장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여러 파장대에서도 동작 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소자가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 파장제어(다중채널)광자결정(Photonic crystal)소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결함층으로 광자결정체 배열구조를 가지는 다중주기 일차원광자결정을 이용하므로 투과광 파장제어가 가능한 가변형 다중채널 투과필터를 얻을 수 있는 이론적 모델과 그에 따라 제작된 $Si/SI_)2$의 광자결정체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반사밴드 갭내에 생성된 다중투과-dip의 파장 위치는 이론값과 정착하게 일치하였다. 특히, 결함층 수(N)에 따라 광자 에너지갭내에 2N개의 투과-dip 모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주파수범위에 대해 대칭 분포됨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제안하는 다중채널 투과필터는 외부 전원 없이 입사각도를 미세 조절하므로 파장을 tuning할 수 있다.

  • PDF

Beat tuning of Silla Great Bell (신라대종의 맥놀이 조절)

  • Kim, Seockhyun;Lee, Joong Hye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
    • /
    • pp.194-201
    • /
    • 2017
  • Silla Great Bell was made to reproduce King Seongdeok Divine Bell and it was restor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nd patterns. The most difficult problem was to reproduce the magnificent striking sound and dynamic hum tone with strong beat like in King Seongdeok Divine Bell. Especially, beating sound is attributed to the uncontrollable asymmetry occurring in the casting process, so it can not be predicted or controlled before casting.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method and process to make Silla Great Bell have a strong beat with a proper period. Position conditions of mode pairs and striking point for a strong beat were identified. Bell thickness was locally decreased to make proper period of beat. The proces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of an equivalent bell model. As a result, the original weak and long beat was made to a strong beat with a proper period.

Design of a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Using the Multi-point Phase Detector (다중점 위상검출기를 이용한 클럭 및 데이터 복원회로 설계)

  • Yoo, Sun-Geon;Kim, Seok-Man;Kim, Doo-Hwan;Cho, Kyoung-R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2
    • /
    • pp.72-80
    • /
    • 2010
  • The 1Gbps clock and data recovery (CDR) circuit using the proposed multi-point phase detector (PD) is presented. The proposed phase detector generates up/down signals comparing 3-point that is data transition point and clock rising/falling edge. The conventional PD uses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that controls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using the width of a pulse period's multiple. However, the proposed PD uses the pulse number modulation (PNM) that regulates the VCO with the number of half clock cycle pulse. Therefore the proposed PD can controls VCO preciously and reduces the jitter. The CDR circuit is tested using 1Gbps $2^{31}-1$ pseudo random bit sequence (PRBS) input data. The designed CDR circuit shows that is capable of recovering clock and data at rates of 1Gbps. The recovered clock jitter is 7.36ps at 1GHz an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about 12mW. The proposed circuit is implemented using a 0.18um CMOS process under 1.8V supply.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Bi,La)_4Ti_3O_{12}$ Thin Film Fabricated by 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펄스 레이저 증착법으로 제작한 $(Bi,La)_4Ti_3O_{12}$ 박막의 미세구조 및 전기적 특성)

  • Kim, Young-Min;Yoo, Hyo-Sun;Kang, Il;Kim, Nam-Je;Jang, Gun-Eik;Kweon, Soo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277-277
    • /
    • 2007
  • $(Bi,La)_4Ti_3O_{12}$ (BLT) 물질은 결정 방향에 따른 강한 이방성의 강유전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BLT 박막을 이용하여 FeRAM 소자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결정의 방향성을 세심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연구된 BLT 박막의 방향성 조절 결과를 보면, BLT 박막을 스핀 코팅 법 (spin coating method)으로 중착하고, 핵생성 열처리 단계를 조절하여 무작위 방향성 (random orientation)을 갖는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스핀 코팅법에서의 핵생성 단계의 제어는 공정 조건 확보가 너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은 스퍼터링 증착법 (sputtering deposition method), PLD법 (pulsed laser deposition method) 등과 같은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법의 증착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PVD 법으로 증착하는 경우에는 이미 박막 내에 무수한 결정핵이 존재하기 때문에 핵생성 단계가 필요 없게 된다. PVD 증착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타겟 (target)의 제조 및 평가 실험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벌크 BLT 재료의 소결공정 조건과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는 거의 발표 되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Bi_2O_3$, $TiO_2$ and $La_2O_3$ 분말을 이용하여 최적의 조성을 구하기 위하여 Bi양을 변화시키며 타겟을 제조 하였다. 혼합된 분말을 하소 후 pallet 형태로 성형하여 소결을 실시하였다. 시편을 1mm 두께로 연마하고, 표면에 silver 전극을 인쇄하여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Bi양이 3.28몰 첨가된 조성에서 최대의 잔류분극 (2Pr) 값을 얻었고, 이때의 값은 약 $18{\mu}C/cm^2$ 정도였다. 최적화된 조성 ($Bi_{3.28}La_{0.75}Ti_3O_{12}$)으로 BLT 타겟을 제조하여 PLD법으로 박막을 제조하였다. 박막 제조 시 압력은 $1{\times}10^{-1}\;{\sim}\;1{\times}10^{-4}\;Torr$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1{\times}10^{-1}\;Torr$ 압력을 제외하고는 모든 압력에서 BLT 박막이 증착되었다. 중착된 박막을 $650\;{\sim}\;80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전기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1{\times}10^{-2}\;Torr$에서 증착한 박막에서 양호한 P-V (polarization-voltage) 이력곡선을 얻을 수 있었고, 이때의 잔류분극 (2Pr) 값은 약 $6\;{\mu}C/cm^2$ 이었다. 주사전자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BLT 박막 표면의 미세구조도 관찰하였는데, 스핀코팅 법으로 증착한 경우에 관찰되었던 조대화된 입자들은 관찰되지 않았고, 상당히 양호한 입자 크기 균일도를 나타내었다.

  • PDF

Fabrication of Ba-, Pb-electronic ceramics by powder prepartion of wet chemical method (습식화학적 분말합성법에 의한 Ba-, Pb-계 전자세라믹스의 제조)

  • 이병우;오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rystal Growth Conference
    • /
    • 1996.06b
    • /
    • pp.259-279
    • /
    • 1996
  • 최근 정보·전자산업의 발전으로 고 신뢰성 전자재료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첨단산업의 기반의 될 신소재 중 전자세라믹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와 기대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세라믹스는 유전재료, 자성재료, 압전재료, 도전성 재료 등으로 나뉘게 된다. 어떠한 분류에 들어가든 그 조성은 금속의 산화물 형태가 일반적이며 미세한 분말의 성형체를 소결(sintering) 함으로써 최종제품으로 완성된다. 이러한 전잣라믹스가 최근 요구되는 고 신뢰성, 고 밀도화를 달성하기 위해선 원료 분말 제조단계부터 제어가 필요하다. 원료분말의 균일·균질성과 그 입도는 소결특성 뿐만아니라 전기적 특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세라믹스의 분말제조 방법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고상 산화물을 혼합하여 하소(calcination)한 후 분쇄하는 '고상합성법'과 금속의 염 또는 alkoxide 용액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제조하는 '습식 화학적 합성법'이 있다. 고상합성법은 합성온도가 높고 기계적 분쇄와 혼합에 의존하므로 균일·균질성이 떨어지고 분말크기를 1㎛ 이하로 만들기 힘들다. 반면에 습식화학적 합성법은 기계적인 분쇄와 혼합에선 얻을 수 없는 원자 혹은 분자단위의 균일한 혼합과 submicron 이하의 미세한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습식 화학적 합성으로 얻은 분말을 사용하면 미세한 입자의 특성으로 인해 소결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균일한 미세구조와 균질한 조성을 갖게되어 기계적·전기적 물성증진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습식 화학적 분말합성법은 전술하였듯이 alkoxide의 가수분해를 이용하는 sol-gel 법과 금속의 염(salt) 용액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화합물 침전을 얻거나 또는 공침전물(coprecipitate) 형태의 분말을 얻는, 침전법으로 나뉠 수 있다. 침전법의 근본원리는 pH 및 pCO3 등에 따른 이온종의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써 각 이온종에 따른 solubility product(ksp)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본 연구에서는 침전법을 사용한 Ba-, Pb-계 전자세라믹스의 분말합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공정개발 및 실험을 통한 물성증진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실험상의 전자세라믹스 조성은 강유전체, 세라믹반도체, 압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실험상의 전자세라믹스 조성은 강유전체, 세라믹 반도체, 압전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BaTiO3, PZT(PbZrO3-PbTiO3)와 수직 자기기록매체로 큰 가능성이 있으며 hard ferrite로 널리쓰이는 Ba-feerite(BaFe12O19)로써 수산화물 형태의 침전에 대한 기구(mechanism)와 물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침전법에 의한 분말합성 과정에는 소결체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pH 조절제나 원료에서 혼입될 수 있는 Na+, K+, Cl-, SO4- 등의 제거(washing 혹은 filtering)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침전법에서 얻게 되는 분말은 매우 미세하여 colloid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colloid 상태의 미세한 침전입자가 filtering media에 끼이게 되어 견고하면서도 상당한 부피를 가지는 filter cake을 형성하기 때문에 filtering에 많은 시간과 다량의 filtering agent (본 실험의 경우엔 증류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olloid 상태의 침전물을 얼렸다 녹이는 freezing process를 개발, 적용하여 그 원리 및 효과, 그로인한 분말형태를 관찰하여 보았다.

  • PDF

Effect of Seed Coating Layer on the Microstructure of NaA Zeolite Separation Layer Grown on ${\alpha}$-alumina Support (종결정 코팅층이 다공성 ${\alpha}$-알루미나 지지체 표면에 성장되는 NaA 제올라이트 분리층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 Kim, Min-Ji;Sharma, Pankaj;Han, Moon-Hee;Cho, Churl-Hee
    • Membrane Journal
    • /
    • v.24 no.5
    • /
    • pp.375-385
    • /
    • 2014
  • NaA zeolite/${\alpha}$-alumina composite membranes were hydrothermally synthesized at $100^{\circ}C$ for 24 hr by using nanosize seed of 100 nm in diameter and an ${\alpha}$-alumina support of $0.1{\mu}m$ in pore diameter, and then effect of seed coating layer on the microstructure of NaA zeolite separation layer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cases when nanosize seed was coated with a monolayer, increment in seed coverage induced small grained and thick NaA zeolite separation layer. On the other hand, in case when nanosize seed was coated with a multilayer, much small grained and thick separation layer was formed. It was clear that an uniform monolayer seed coating is required to grow hydrothermally a thin and defect-free NaA zeolite separation layer. In the present study, it was clearly announced that seed coating layer is a key factor to determine the microstructure of NaA zeolite layer, secondary grown on a porous support.

Control of Cyanobacteria (Microcystis aeruginosa) Blooms by Floating Aquatic Plant (Iris pseudoacorus): an in situ Mesocosm Experiment Using Stable ($^{13}C$, $^{15}N$) Isotope Tracers ($^{13}C$, $^{15}N$ 추적자 실험을 통한 부유 수생식물(Iris pseudoacorus)의 Cyanobacteria (Microcystis aeruginosa) 성장억제능력 평가)

  • Kim, Min-Seob;Lee, Yeon-Jung;Kim, Baik-Ho;Hwang, Soon-Jin;An, Kwang-Guk;Park, Sun-Koo;Ume, Han-Yong;Shin, Kyung-H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4 no.3
    • /
    • pp.280-291
    • /
    • 2011
  • Bottom-up approaches to control of Microcystis aeruginosa blooms we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through an in situ mesocosm experiment using aquatic plants (Iris pseudoacorus). In the mesocosm experiments, floating I. pseudoacorus, seemed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massive M. aeruginosa blooms in an agricultural reservoir, exhibiting a close coupling with temporal variations in Chl-a and DO concentration. Shading by floating I. pseudoacorus resulted in a reduced phytoplankton abundance inhibiting light energy availability. Moreover, I. pseudoacorus may suppress phytoplankton growth through the excretion of chemical substances, likes a allelopathy, that inhibit phytoplankton photosynthetic activity. The $^{15}N$ atom % of I. pseudoacorus showed higher values than POM, suggesting that I. pseudoacorus assimilates DIN predominantly compared to phytoplankton, which was mostly M. aeruginosa. This result strongly suggests that the M. aeruginosa bloom should be regulated by aquatic plants, like I. pseudoacorus, this approach can affect zooplankton composition.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has used stable isotope tracers to evaluate the biomanipulation efficiency through floating I. pseudoacorus.

차세대 나노 박막 다원계 모물질 설계, 합성 기술

  • Mun, Gyeong-Il;Sin,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21-121
    • /
    • 2012
  • 산업이 고도화, 다원화, 세계화되고 있는 현대사회는 다기능성, 고물성, 극한 내구성을 가지며 환경 친화적이면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기능 소재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다양한 물성을 동시에 발현이 가능한 코팅 소재는 향후 미래에 중요한 원천 소재로서 주목되고 있다. 특히, 환경에 의해 쉽게 물성 및 구조의 변화가 쉬운 종래의 코팅소재와는 달리, 다양한 외부환경에서도 미세 구조 및 물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코팅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코팅소재의 다 성분화가 필수적이다. 최근의 코팅 기술은 2가지 이상의 물성, 특히 서로 상반되는 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물성의 구현을 위하여 더 많은 성분으로 구성되며 더욱 복잡한 조직으로 구성된 코팅층에 대한 개발이 진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목표로 하는 신 개념의 원천소재기술은 4성분계 이상의 원료 물질을 단일 타겟으로 제조하여, 단순한 공정으로서 단일 코팅층 내에 다양한 성분과 10 nm 미만 크기의 나노 결정립/나노 비정질로 구성된 나노 복합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복합기능 3 이상의 다기능성 부여는 물론, 그림 1에 정리된 기존 코팅재에서 결여된 특성을 포함한 극한 기능성(광대역 윤활성, 전자 이동 제어에 의한 온도 저항 계수 및 전기 저항 조절, 고온 열적 안정성, 내산화성, 고열전도율, 초저마찰/내구성/초고경도성 등)의 구현이 가능한 복잡한 형태의 나노 복합 코팅층 소재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기존 코팅재의 구조적 결함을 통해 발생하는 내식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다성분계 모물질의 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다수의 성분 원소를 합금 상태로 형성시킴으로서, 단일 소스에 의해 다양한 원소를 동시에 스퍼터링 및 증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타겟의 미세구조를 나노구조화 하는것을 통해, 스퍼터링 yield의 차이가 큰 원소일지라도 균일하게 증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한다. 또한 다수의 타겟을 이용하여 균일한 다성분 코팅층 형성하는 기존의 PVD 코팅방법으로는 다수의 성분타겟을 사용함으로서 장비의 복잡성, 코팅의 재현성, 대형화 등의 문제점을 본질적으로 갖고 있다. 이를 위한 해결방법으로 본 발표에서는 3가지 이상의 다기능성 구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기술이라 할 수 있는 다성분계 타겟 모물질 제조 기술의 개발 진행 사항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