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형태

Search Result 1,62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Prioritization of Species Selection Criteria for Urban Fine Dust Reduction Planting (도시 미세먼지 저감 식재를 위한 수종 선정 기준의 우선순위 도출)

  • Cho, Dong-G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4
    • /
    • pp.472-480
    • /
    • 2019
  • Selection of the plant material for planting to reduce fine dust should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visu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hape and texture of the plant leaves and form of bark, which affect the adsorption function of the plant. However, previous studies on reduction of fine dust through plants have focused on the absorption function rather than the adsorption function of plants and on foliage plants, which are indoor plants, rather than the outdoor plants. In particular, the criterion for selection of fine dust reduction species is not specific, so research on the selection criteria for plant materials for fine dust reduction in urban area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orities of eight indicators that affect the fine dust reduction by using the fuzzy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odel (MCDM) and establish the tree selection criteria for the urban planting to reduce fine dust. For the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ose who majored in fine dust-related academic fields and those with experience of researching fine dust. A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area of leaf and the tree species received the highest score a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ine dust reduction. They were followed by the surface roughness of leaves, tree height, growth rate, complexity of leaves, edge shape of leaves, and bark feature in that order. When selecting the species that have leaves with the coarse surface, it is better to select the trees with wooly, glossy, and waxy layers on the leaves. When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leaves, it is better to select the two-type or three-type leaves and palm-shaped leaves than the single-type leaves and to select the serrated leaves than the smooth edged leave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for adsorbing fine dust in the air on the surface of the leaves.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rk, it is better to select trees that have cork layers or show or are likely to show the bark loosening or cracks than to select those with lenticel or patterned bark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the priorities of the selection criteria of plant material based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adsorption of fine dust for the planning of planting to reduce fine dust in the urb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trees for plantation planning in the urban area.

Aggregated achenes and achene morphology of the Korean Adonis L. and its related taxa in East Asia (한국산 복수초속과 동아시아산 근연분류군에 대한 수과괴 및 수과 형태)

  • Son, Dong Chan;Ko, Sung Chu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4
    • /
    • pp.312-318
    • /
    • 2013
  • Morphological characters of aggregated achenes, and achene and its epidermal microstructures were observed for 7 taxa belonging to the section Adonanthe of subgenus Adonanthe [A. amurensis Regel et Radde, A. bobroviana Sim., A. davidii Franch., A. multiflora Nishikawa et Ko. Ito, A. pseudoamurensis W. T. Wang, A. ramosa Franch. and A. tianschanica (Adolf) Lipsch. ex Bobrov] and for 1 taxon belonging to the section Lophocarpa of subgenus Adonis (A. aestivalis var. parviflora M. Bieb.).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shape of aggregated achenes, length of aggregated achenes, shape of achene, and recurved type of persistent style were useful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subgenera Adonanthe and Adonis, and each species of the series under section Adonanthe. Epidermal microstructures of achene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icrowrinkles and their arranged patterns. These microwrinkles were absent in A. amurensis, were of parallel type in A. bobroviana, A. pseudoamurensis, A. ramosa, and A. aestivalis var. parviflora, and were of parallelperpendicular mixed type in A. davidii, A. multiflora, and A. tianschanica. Also, a new key to them was made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ir aggregated achenes and achene.

Micro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Sperm in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Gastropoda: Haliotidae)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정자의 미세구조적 분화)

  • Kim, Hyejin;Kim, Hyeon Jin;Shin, So Ryung;Baek, Eun Ran;Lee, Jung Sick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6 no.1
    • /
    • pp.23-30
    • /
    • 2021
  •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male germ cells and sperm morphology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ere described in ultrastructure.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sperm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spermatogonium, spermatocyte, spermatid and sperm.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from spermatogonium to spermatocyte did not show significant morphological changes. However, during the spermiogenesis there were distinct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chromatin condensation,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nucleus, and formation of acrosome, midpiece and flagellum. The sperm of the abalone consisted of head, midpiece and tail. The head of approximately 5.3 ㎛ in length was composed of a nucleus of high electron dense and bullet-shaped acrosome. The midpiece was composed of the basal body and mitochondria, and five mitochondria were arranged in single layer around the basal body. The cross section of the tail showed a "9+2" axonemal structure. These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features are the result of showing that the sperm of H. discus hannai is a primitive type.

Fourdrinier와 gap former로부터 제조된 원지가 도공작업 및 도공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54-54
    • /
    • 2000
  • 종이의 생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방법에는 초지기의 광폭화오} 생산 속도의 증가 가 있다. 현재 초지기는 10m까지 생산 폭이 확대 되었고, 생산 속도에 있어서는 최 신 설비의 경우 2,OOOm/min로 설계 되고 있다. 따라서 생산 폭과 속도의 증가는 이 전의 소폭과 저속의 생산 셜비에서와 동일한 원료 배합과 생산 관리로는 최적의 생 산 효율을 달성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현재 각국의 신규 제지 설비에 적 용되 고 있는 twin wire system역 시 생 산 속도의 증가를 극복하고 기 존의 fourdrinier s system 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두 가지의 생산 설비에서 제조된 종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미세 입자들의 분포와 종이의 구조적 특성에 있다. 특히 fourdrinier system에서 미세 입자들의 분포는 횡단 면을 기준으로 볼 때 표면에서 와이어 면으로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된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초지 형성부에서 효과적인 탈수 를 달성하기 위해 부착되어 있는 여러가지 탈수 장치들의 영향으로 와이어 방향으 로만 급격한 탈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twin wire system 2.! gap former어$\mid$ 있 어서 미세 섬유와 충전제가 횡단면상에서 분포하는 형태는 "U"자 형태로 상면과 하 면에서 가장 높은 미세분의 분포를 나타내고 줄간층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미세분이 분포하고 있을을 알수 있다. 따라서 종이의 중간층 미세분 분포의 감소는 섬유간 표면적의 감소를 의미하고 이로 인하여 결합력이 약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 히 도공 원지로 사용되었을 경우 heat off-set 인쇄시 블리스터와 같은 문제점을 일 으키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이의 제조 설비에 따라 제조되는 종이의 구조적 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동일한 도공 공정에 적용 되었을 경우 이들로부터 제 조된 도공지의 특성에도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초지기의 형태에서 제조된 원지가 도공 작업성과 도공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코자 하였다.대해 고찰코자 하였다.

  • PDF

MEMS 기술과 정밀기계산업

  • 나경환;박훈재;오수익;이응숙;조남선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8 no.3
    • /
    • pp.30-42
    • /
    • 2001
  • 초소형의 전자 부품, 의료기기 및 광부품 등의 핵심부품들에 관한 산업계와 소비자의 욕구에 발맞추어 과학 기술의 진보가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인 금속 가공 방법과 MEMS와 같은 미세 부품 성형 방법의 중간적인 형태의 Milli-Structure 생산 기술은 근간의 추이에 발맞추어 차세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 부품 성형에 관련하여 국외 개발 동향을 검토하고 국내의 연구 상황을 본 연구팀의 연구를 위주로 하여 미세 소성 가공과 미세 기계 가공으로 분류하여 검토해 보기로 한다.

  • PDF

초정밀 스캐닝 스테이지를 위한 고분해능, 대변위의 MEMS 용량형 변위센서

  • Kim, Il-Hwan;Kim, Hyeon-Cheol;Jeon, Guk-Ji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585-58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MEMS 용량형 변위 센서의 제작과 함께, 미세 변위 측정을 위한 테스트 샘플을 제작하였다. 아래의 그림 1, 2는 각각 스테이지에 장착할 MEMS 용량형 변위 센서 및 미세 변위 측정을 위한 테스트 샘플의 개념도를 보여주고 있다. 테스트 샘플의 감지 부분은 스테이지에 장착할 센서와 정확히 일치를 시켰으며, 미세 변위를 주기 위해서 comb-drive actuator 형태의 운동부를 두었다. 운동부에서는 DC 및 AC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미세 변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사용된 DC 전압은 20V였으며, 1.4kHz의 AC 전압을 크기를 변화시키며 인가하였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정자형성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 Kim, Jae-Won;Lee, Jung-Sik;Jin, P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52-253
    • /
    • 2000
  • 어류에서 정자의 형태 및 구조에 관한 연구는 진화 유연관계 추적을 위해 그들의 변이성을 토대로 행해지고 있다. 어류 정자의 형태 및 미세구조는 종간 또는 그들의 생식생태와 관련하여 그 변이가 아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어류의 정자는 수정 장소에 따라 체외수정형(aquasperm type)과 체내수정형(introsperm type)으로 나뉘고, 이는 다시 첨체의 유무에 따라 첨체형(acrosomal type)과 무첨체형(anacrosomal type)으로 나누어진다(Jamieson, 1991). (중략)

  • PDF

Agglomeration and Adsorption of Fine Carbonaceous Particles onto Asian Dust Particles. (황사입자에 의한 미세탄소 입자의 응집 및 흡착 현상)

  • 김경원;김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41-342
    • /
    • 2002
  • 미세탄소입자는 원소탄소(elemental carbon)와 유기탄소(organic carbon)로 분류할 수 있다. 원소탄소는 불완전연소 과정에 발생하는 검댕(black soot), 원유의 정제과정에 발생하는 흑연(graphite), 자연상태에서 만들어진 다이아몬드의 3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 중 대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검댕입자로서 입경은 l$\mu\textrm{m}$이하이며, 일정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 않다. (중략)

  • PDF

그래핀 합성 및 TEM grid막으로의 응용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61-461
    • /
    • 2011
  • 최근의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노미터크기의 물질들의 물성과 미세구조 등을 분석하기 위한 노력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은 나노물질의 미세구조 관찰, 화학성분 분석, 전자기적 특성평가가 가능한 초정밀 분석장비이다. TEM 관찰을 위한 시편의 제작방법중 TEM 그리드(grid)를 사용하는 방법은,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을 망(mesh) 형태의 그리드에 도포하여 샘플을 준비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에 비해 아주 빠르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TEM 그리드에 나노물질을 분산/도포하여 공중에 떠있는 형태로 샘플을 제작하려면, 나노물질이 mesh 사이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그리드 mesh의 간격이 아주 미세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mesh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그리드의 가격은 높아진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비정질 탄소박막으로 덮여진 그리드는 극미세 크기의 나노물질 및 탄소나노물질을 분석할 경우, 고해상도의 TEM상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그래핀은 2차원의 육각판상의 구조로 탄소원자가 빼곡히 채워진 흑연 한 층의 나노재료이다. 이는 원자단위 두께로 가장 얇은 물질로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지지막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TEM grid막으로 사용할 경우 기존의 고가의 미세한 mesh가 형성된 그리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나노물질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열화학증기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CVD)을 이용하여 300 nm 두께의 니켈박막이 증착된 기판위에 대면적으로 합성한 그래핀을 TEM 관찰용 그리드 위에 전사(transfer)함으로써 나노물질이 그리드 mesh사이로 빠져나오지 않는 저가의 TEM 그리드 제작 방법 및 응용 가능성에 대하여 보고한다.

  • PDF

Ion Compositional Existence Forms of PM10 in Seoul Area (서울지역 미세먼지(PM10) 중 이온성분의 존재형태 추정)

  • Lee, Kyoung-Bin;Kim, Shin-Do;Kim, Dong-So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4
    • /
    • pp.197-203
    • /
    • 2015
  • Particulate matter (PM) has emitted in many regions of the world and is causing many health-related problems. Thus reasonable politics and solutions are needed to reduce PM in Seoul. Further it is required to clearly explain the major portions of chemical components contained in $PM_{10}$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M_{10}$, and to develop effective reduction measures in order to decrease the adverse effects of $PM_{10}$. $PM_{10}$ samples were collected in Seoul and analyzed their ions to examin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onic species. Since hydrogen ion ($H^+$) and carbonate ion (${CO_3}^{2-}$)) cannot be analyzed by Ion chromatography (IC), concentrations of $H^+$ and ${CO_3}^{2-}$ were initially estimated by pH and equivalent differences between anions and cations in this study. Starting from the study findings, good combination results for compositional patterns between anions and cations were obtained by applying a mathematical modelling technique that was based on the mass balance principle. The ions in $PM_{10}$ were combined with $H^+$, ${CO_3}^{2-}$, and supplement for $NO_3{^-}$, $Cl^-$ formed such compounds $NH_4Cl$, $NH_4NO_3$, $CaSO_4$, $(NH_4)_2SO_4$, $NaNO_3$, NaCl, $Na_2CO_3$, and $(NH_4)_2CO_3$ in the stud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