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형상제작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Low Temperature Hermetic Packaging by Localized Heating using Micro Heater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부분 가열 저온 Hermetic 패키징)

  • 심영대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19
    • /
    • 2002
  •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시스템 패키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제작하여 패키징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와 새로운 미세 가열기의 형상을 각각 제작하여 접합시에 미세 가열기에 발생하는 열분포를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가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는 매우 균일하게 가열되는 형상을 나타내었다. IR 카메라 실험을 바탕으로 접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접합 실험시 사용한 미세 가열기는 폭 50$\mu\textrm{m}$, 두께 2$\mu\textrm{m}$로 제작하였으며, 0.2 Mpa의 압력을 Pyrex glass cap에 가한 상태에서 150 mA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서 접합을 완료하였다. 접합이 완료된 시편들에 대해서 IPA를 통한 leakage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66%가 테스트를 통과한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85% 이상이 테스트를 통과하였다. Leakage 실험을 통과한 각각의 시편들에 대해서 접합력 측정을 실시한 결과,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15~21 Mpa의 접합력을 나타내었고,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25~30 Mpa의 우수한 접합력을 나타내었다.

  • PDF

Micro System Packaging using New Micro-Heater (새로운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시스템의 패키징)

  • Shim, Young-Dae;Shin, Kyu-Ho;Choa, Sung-Hun;Kim,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57-59
    • /
    • 2002
  • 기존에 연구된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시스템 패키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미세 가열기를 제작하여 접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와 새로운 미세 가열기의 형상을 각각 제작하여 접합시 미세 가열기에 발생하는 열분포를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가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는 매우 균일하게 가열되는 형상을 나타내었다. 카메라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접합 실험을 실시하기 위해서 폭 $50{\mu}m$, 두께 $2{\mu}m$의 미세 가열기를 제작하였으며, 0.2 Mpa의 압력을 Pyrex glass cap에 가한 상태에서 150 mA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서 접합을 완료하였다. 접합이 완료된 시편들에 대해서 IPA를 통한 leak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66%가 테스트를 통과한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85%이상이 테스트를 통과하였다. Leak 실험을 통과한 각각의 시편들에 대해서 접합력 측정을 실시한 결과,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15{\sim}21$ Mpa의 접합력을 나타내었고, 새로울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25{\mu}30$ Mpa의 우수한 접합력을 나타내었다.

  • PDF

미세 역방전을 이용한 다중 전극 제작과 그 응용

  • 김보현;박병진;최덕기;주종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45-145
    • /
    • 2004
  • 미세 전극을 이용한 미세 방전 가공이나, 미세 전해 가공은 다른 가공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공속도가 느리고 전극을 이송시키면서 한 번에 한 개의 형상 가공을 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다수의 미세 전극을 이용하여 다수의 형상을 동시에 가공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 역방전(micro reverse electro-discharge machining, micro REDM)을 이용하여 한 개의 벌크 전극에 여러 개의 미세 전극을 제작한 뒤 전해 가공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멍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중략)

  • PDF

Low Temperature Hermetic Packaging by Localized Heating using Forced Potential Scheme Micro Heater (Forced Potential Scheme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부분 가열 저온 Hermetic 패키징)

  • 심영대;신규호;좌성훈;김용준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10 no.2
    • /
    • pp.1-5
    • /
    • 2003
  • In this project, the efficiency of localized heating for micro systems packaging is developed by using a forced potential scheme microheater. Less than 0.2 Mpa contact pressure was used for bonding with a 200 mA current input for $50{\mu}m$ width, $2{\mu}m$ height and $8mm{\times}8mm$, $5mm{\times}5mm$, $3mm{\times}3mm$ sized phosphorus-doped poly-silicon microheater. The temperature can be raised at the bonding region to $800^{\circ}C$, and it was enough to achieve a strong and reliable bonding in 3 minutes. The IR camera test results show improved uniformity in heat distribu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microheaters. For performing the gross leak check, IPA (Isopropanol Alcohol) was used. Since IPA has better wetability than water, it can easily penetrate small openings, and is more suitable for conducting a gross leak check. The pass ratio of bonded dies was 67%, for conventional localized heating, and 85% for our newly developed FP scheme. The bonding strength was more than 25Mpa for FP scheme packaging, which shows that FP scheme can be a good candidate for micro-scale hermetic packaging.

  • PDF

Electrochemical Machining of Tungsten Carbide Microshaft (텅스텐 카바이드 미세축의 전해가공)

  • Lee, K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 /
    • v.19 no.3
    • /
    • pp.370-375
    • /
    • 2010
  • Tungsten carbide microshaft is used as micro punch, electrode of micro electro discharge machining, and micro tool because of its high hardness and rigidity. In this research, tungsten carbide microshaft was fabricated us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H_2SO_4$ solution was used as the electrolyte because it can dissolve tungsten carbide and cobalt simultaneously. Experimentally studied were the effects of electrolyte concentration, machining time, and machining voltage on material removal rate and the shape of the microshaft. To eliminate the effects of bubbles and metal corrosion layer on microshaft shape, the machining was performed below the electrolysis voltage. Three step electrochemical process was suggested to fabricate the straight tungsten carbide microshaft. As a result, a straight tungsten carbide microshaft of $30{\mu}m$ in diameter and $500{\mu}m$ in length was obtained through the proposed three step electrochemical process.

A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Dual Micro Patterns Using Magnetic Abrasive Deburring (자기 디버링을 이용한 복합 미세패턴의 형상 정밀도 향상)

  • Jin, Dong-Hyun;Kwak, Jae-Seob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0 no.11
    • /
    • pp.943-948
    • /
    • 2016
  • In recent times, the requirement of a micro pattern on the surface of products has been increasing, and high precision in the fabrication of the pattern is required. Hence, in this study, dual micro patterns were fabricated on a cylindrical workpiece, and deburring was performed by magnetic abrasive deburring (MAD) process. 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and the MAD process was optimized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 When the predicted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verage prediction error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7%. Experimental verification shows fabrication of high accuracy dual micro pattern and reliability of prediction model.

Fabrication of RFID TAG Micro Pattern Using Ultrasonic Convergency Vibration (초음파 융합진동을 이용한 미세패턴성형 기술 연구)

  • Lee, Bong-G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175-180
    • /
    • 2020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icropattern technology in the shape of RFID TAG antenna using ultrasonic micropattern manufacturing system developed to enable micropattern technology. The ultrasonic tool horn in longitudinal vibration mode was installed in the micropattern manufacturing system to develop the ultrasonic press technology for the micropattern antenna shape of the RFID TAG antenna shape on the insulating sheet surface. The ultrasonic shaping technology was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resonance design technique to a 60kHz tool horn, and by using the micropattern manufacturing system, the coil wire having a thickness of 25㎛ can be ultrasonically press-molded on an insulating sheet of 200㎛ or less. In ultrasonic press technology, the antenna shape having a minimum line width of 150㎛ could be molded without disconnection, peeling, or twisting of the coil wir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 Cutting Process for DMLS Mold Material (DMLS 금형강의 미세 절삭가공 특성 분석)

  • Yoon, Gil-Sang;Kim, Gun-Hee;Lee, Jeong-Won;Kim, Jong-D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518-520
    • /
    • 2011
  • 금속분말 쾌속조형법의 한 종류인 DMLS 공정은 사출성형품의 균일한 냉각이 가능한 3차원 냉각시스템을 포함한 코어, 캐비티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코어 및 캐비티 내 미세형상의 경우 DMLS로 제작하기에는 난해하므로 별도 미세 절삭가공을 통해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MLS금형강 소재의 미세 절삭가공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HIP 공정 적용 전 후 DMLS금형강 소재를 대상으로 미세 절삭가공 실험을 수행하고 버 발생 및 공구마모 경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HIP 적용 전 시편이 강도 및 조직측면에서 미세 절삭가공에 상대적으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Bio-MEMS Technology on Medicine and Biology (Bio-MEMS : MEMS 기술의 의료 및 생물학 응용)

  • Jang, Jun-Geun;Jung, Seok;Han, D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7 no.7
    • /
    • pp.45-51
    • /
    • 2000
  • 지난 세기부터 MEMS 제작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시스템들을 의학이나 생물학적인 용도로 응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연구들은 MEMS 분야의 초창기에 강조되어 온 표면 및 몸체 미세 가공 기술(surface & bulk micromachining)과 같은 미세 구조물 제작 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 그러나 MEMS 기술이 점차 발전되어 오면서, 가공 기술이 고도화되고 미세 시스템의 구조가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단순한 가공기술을 넘어 미세 시스템을 조립하고 집적화할 수 있는 기술, 접합 (bonding) 기술, 패키징 (packaging) 기술, 3차원 형상의 제작 기술, 실리콘(silicon)이나 유리(glass)가 아닌 다른 재료를 이용한 미세 가공 기술 등의 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중략)

  • PDF

Rapid Manufacturing of 3D-Shaped Microstructures by UV Laser Ablation (UV 레이저 어블레이션에 의한 3차원 형상 미세 구조물의 쾌속제작)

  • 신보성;양성빈;장원석;김재구;김정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1 no.7
    • /
    • pp.30-36
    • /
    • 2004
  • Recently, the lead-time of a product is to be shortened in order to satisfy consumer's demand. It is thus important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the cost of 3D-shaped microstructure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and devices are usually fabricated by lithography-based methods. Above method is not flexible for the rapid manufacture of 3D-shaped microstructures because it depends on work's experiences and requires excessive cost and time for making many masks. In this paper, the effective laser micrornachining is developed to fabricate UV sensitive polymer microstructures using laser ablation. The proposed process, named by laser microRP, is a very useful method on rapid manufacturing for 3D-shaped micro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