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전류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7초

전류에 의한 철단결정의 교류 자기감수율 : 전류 변화에 의한 효과 (AC susceptibility of current-carrying iron whiskers : Effect of current variation)

  • Jae-Gwang Lee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9-184
    • /
    • 1995
  • {100} 철단결정에 자기장을 가해주거나 혹은 자기장 없이 전류만을 변화 시킬 때의 교류 자기감수율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작은 자기장과 전류를 철단결정에 걸어줄때, 단결정의 단연적 중앙끈처에는 정사각형 자구가 형성된다. 실험을 통하여 이 자구의 자기화 방향으로 자장을 걸어주변 걸어주는 전류크기와 전류방향의 영향을 받음을 보인다. 이 실험 결과는 전류에의해 중앙에 형성된 자구가 전류의 증감함에따라 변화하는 자구크기로 설명할 수 있다. 실험으로 측정된 자기강수율을 설명하기 위하여 미세 자기이론을 사용하였으며, energy 값을 구히기 위하여 간단한 model을 설정하였다. 이 model로부터 교류 자기감수율을 구할 수 있었으며, 이때 계산한 교류 자기감수율은 한 안정된 구조에서 다른 안정된 구조로 변화하는 전류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 전류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초소형 전기장치에 의한 미세 전류가 치아이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lectrical current from a micro-electrical device on tooth movement)

  • 김동환;박영국;강승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37-346
    • /
    • 2008
  • 교정치료 본질인 치아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기계적 힘외의 다른 자극원으로서 전기적 자극에 대한 효용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에서 초소형 전기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이 교정적 치아이동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교정용 미니 스크류를 식립한 성인 여성 교정 환자 7명의 상악 견치 후방 견인 시 실험측에 150 gm의 기계적 교정력 외에 $20{\mu}A$의 직류 전류를 공급하는 초소형 전기 장치를 고안, 제작, 장착하여 견치의 근원심에 1일 5시간씩 4주간 전류 자극을 흘리고, 대조측에는 기계적 자극만을 가한 후, 매 주간 치아 이동량을 측정하여 치아이동에 있어서 전기자극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치아이동률에 있어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1, 2째주에서 33%, 3, 4째주에서 21,4% 증가된 치아이동을 보였다. 실험군의 평균 치아 이동량은 1, 2째주가 3, 4째주에 비하여 컸으며, 그 차이는 각각 47%, 24% 증가된 치아 이동량을 보였다. 실험을 통하여 미세 전류가 적용되어 치아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 임상적으로 실증되었다. 생물학적으로 최적의 치아이동을 계획하여 치료계획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은 기계적 교정력과 전기자극을 동시에 가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혼합 기준을 달리한 Al/Ni 나노 멀티 포일의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 (Micro-Structural Study of Al/Ni Nano-Multilayer Foils by Intermixing Criteria)

  • 조용기;유광춘;이원범;유세훈;정동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74-375
    • /
    • 2013
  • Al/Ni 나노 멀티 포일은 상온에서 외부 방전 및 촉발에 따라 급속한 자기 발열 반응이 일어나는 특성을 보여, 외부 촉발을 통해 상온에서 온도를 높일 수 없는 접합이나 마이크로 수준의 미세 접합이 가능한 접합재료로서 활용이 상당히 기대되는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한 층이 20 nm 이하에서 Al과 Ni의 혼합 기준을 달리한 Al/Ni 나노 멀티 900층을 제조와 제조된 반응성 포일이 자기 발열 반응에 따른 미세구조에 대해 조사하였다. 박막의 증착은 3~10 mTorr의 공정압력 으로 Al 타겟 전류 1.7 A, Ni 타겟 전류 1.4 A로 하여 증착시간을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SEM과 EDX를 통하여 Al/Ni 나노 멀티 포일의 성장구조와 각 원소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XRD 미세결정구조 분석은 제조된 반응성 포일과 외부 촉발시킨 후 자기 발열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 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혼합기준이 1:1의 Al/Ni 나노 멀티 포일에서 약 $980^{\circ}C$의 발열이 발생하는 것을 Pyrometer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자기 발열 반응 후의 혼합 상은 AlNi이 형성되었다. Ni rich 포일에서는 약 $730^{\circ}C$의 발열이 발생하였고, 혼합상으로 주로 AlNi이 형성되었고 Al3Ni2도 나타났으며,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Ni이 남아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Al rich 포일에서는 약 $720^{\circ}C$의 발열과 함께 AlNi, $AlNi_3$이 형성되었고 반응에 참여하지 못한 Al이 미세하게 나타났다.

  • PDF

경혈식별 파라메터의 개선에 의한 혈위식별시스템 DM96A-2의 설계 (Design of the Acupoint Discriminator(DM96A-2) by Improvement of Meridian Point Discrimination Parameter)

  • 이후학;어윤기고수복정동명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5-828
    • /
    • 1998
  • 경혈을 대상으로 인체를 진단하는 의료기기들은 경혈점에 미세한 직류전류를 인가하고, 이 점에서의 전기저항과 세포의 분극에 의해 반응하는 경락체계의 균형상태를 측정하여 인체를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따라서 전 과정이 정확한 경혈의 위치에서 이루어져야만 치료효과와 진단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락관련 치료기들이 정확한 혈위식별에 어려움이 있고 사용자의 전문적 숙련을 요구한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일정한 주파수로 교호되는 자극패턴(SPAC) 방식을 사용하여 식별률을 높인 혈위식별기 DM96A-1를 개발하였다. DM96A-1은 단일전원이 양방향으로 교호되는 전류로 자극펄스를 출력하고 측정범위가 0.5∼50㎂인 전류메터와 레벨메터를 이용하여 혈위의 전류량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방향전환 소자의 두 채널 제어신호가 교호되는 과도기에서 두 자극패턴의 중첩 도통에 의해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밀한 조정을 필요로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여 신뢰성 있는 출력 파라메터를 얻을 수 있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i80c196kc를 사용하여 DM96A-2를 재 설계하였으며 임상실험에 의하여 개선된 최적 파라메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전기적 방법을 이용한 실리콘 단결정 내 미세 결함의 검지 (Electric Detection Of Microdefect In Silicon Single Crystal)

  • 김기범;서희돈;김흥락;강성건;류근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1-524
    • /
    • 1997
  • TZDB(Time-Zero Dielectric Breakdown)법을 이용하여 CZ법으로 성장된 6인치완 8인치 실리콘 웨이퍼의 미세 결함에 대해 조사하였다. 80$0^{\circ}C$에서 $N_2$분위기로 성장시킨 SiO$_2$를 이용하여 표면에 1092계의 MOS 커패시터를 형성한 뒤. 개별 소자에 대해 I-V test를 행하고 이를 통해 얻이진 파괴전압과 누설전류값을 이용하여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Breakdown실험을 토해서 얻어진 결과를 결정내부의 특성을 관찰하는 SPV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표면의 상태와 내부의 상태를 연관시키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다. 결함이 존재하는 지역의 커패시터는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누설전류값을 보였다.

  • PDF

고성능 미세스텝 구동회로의 개발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Microstepping Driver)

  • 이광운;장원식;박정배;여형기;유지윤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37-43
    • /
    • 1997
  • 2상 하이브리드 스텝모터를 미세스텝으로 제어하면 저속에서도 부드럽게 회전하고, 스텝 분해능을 높일 수 있으며, 공진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들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미세스텝 구동회로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미세스텝 구동회로는 2상 하이브리드 스텝모터의 1회전스텝(1.8도)을 128 미세스텝으로 구동할 수 있는 위치 분해능을 가지며 스텝모터를 장시간 구동할 때 발생되는 열로 인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한 전류 절약 동작모드를 지원한다.

  • PDF

GA-based Fuzzy 추론에 의한 미세드릴가공의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Micro Drilling by the GA-based Fuzzy Interence)

  • 백인환;정우섭;권혁준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4-68
    • /
    • 1995
  • 미세드릴가공은 최근의 공업제품의 소형 경량화 추세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가공시에 있어서 많은 난 점이 존재 하기 때문에 강도 높은 가공기와 숙련된 가공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드릴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우선 절삭상태 검출방법으로써 실용적이고 가공상황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주축용 모터의 전류 값을 이용하며 제어기 설계를 위해 퍼지추론과 유전알고리즘 이론을 도입한다. 이러한 지능형 가공방법을 미세 드릴가공에 구현하기 위해서 오프라인으로 안정한 가공조건을 초기화한 다음 퍼지제어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절삭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이송속도를 제어하며 가공상황 변동에 따른 적절한 퍼지규칙을 자기 동조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한 후 실제가공을 통하여 미세드릴가공의 특성과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