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전류

Search Result 44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icrostructure, Electr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of ZPCCE Based Varistors (ZPCCE계 바리스터의 미세구조와 전기적 성질 및 안정성)

  • 남춘우;윤한수;류정선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13 no.9
    • /
    • pp.735-744
    • /
    • 2000
  • The electrical procerties and stability of ZnO-Pr$_{6}$O$_{11}$-CoO-Cr$_2$O$_3$-Er$_2$O$_3$ (ZPCCE) based varistors were investigated in the Er$_2$O$_3$content range of 0.0 to 4.0 mol%. ZPCCE ceramics containing 2.0 mol% Er$_2$O$_3$ exhibited the highest density of 5.74 g/㎤ corresponding to 99.3% of theoretical density. The varistors with 0.5 mol% and 2.0 mol% Er$_2$O$_3$exhibited a relatively satisfying nonlinearity, which the nonlinear exponent is 40.50 and 47.15, respectively and the leakage current is 2.66 $mutextrm{A}$, respectively. Under more severe d.c. stress, such as (0.80 V$_{1mA}$/9$0^{\circ}C$/12h)+(0.85 V$_{1mA}$115$^{\circ}C$/12h)+(0.90 V$_{1mA}$12$0^{\circ}C$/12h)+(0.95 V$_{1mA}$1$25^{\circ}C$12h), they showed a very excellent stability, which the variation rate of the variator voltage is -0.89% and -0.15%, the variation rate of the nonlinear coefficient is -4.67% and -3.56%, and the variation rate of leakage current is -6.02% and -19.56%, respectively. It is surely bellived that ZnO-0.5 mol% Pr$_{6}$O$_{11}$-1.0 mol% CoO-0.5 mol% Cr$_2$O$_3$-x mol% Er$_2$O$_3$(x=0.5, 2.0) based varistors will be greatly contributed to develop the advanced Pr$_{6}$O$_{11}$-based ZnO varistors in future.uture. future.uture.

  • PDF

A Study on Searching Algorithm for Malfunction Pattern of Protection Devices in Distribution System with PV Systems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 보호협조기기의 부동작패턴 탐색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won, Soon-Hwan;Tae, Dong-Hyun;Lee, Hu-Dong;Rho, Dae-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9
    • /
    • pp.652-661
    • /
    • 2020
  •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developed the RE3020 (renewable energy) policy to overcom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ine dust, climate change, and large-scale PV systems interconnected with a distribution system. When a large-scale PV system is interconnected in the distribution system, however, a malfunction can occur, and the protection devices may not be operated because of the dividing effect depending on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fault current as well as connection types and location of the PV system.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earch algorithm for the malfunction pattern of protection devices based on various scenarios, when large-scale PV systems are operated and interconnected in a distribution system. This paper presents a malfunction mechanism of protec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s of recloser (R/C). Furthermore, the modeling of a distribution system with large-scale PV systems was performed using Off-DAS S/W, and the malfunction patterns of protection devices were analyzed based on a range of scenario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with the proposed model and algorithm for searching for protection devices, it was confirmed that they are useful and effective in identifying a malfunction phenomeno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C and connection type of PV system.

Biocompatibility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Si,Mn)-HA Coated Ti-Alloy by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법으로 (Si,Mn)-HA 코팅된 치과 임플란트용 Ti 합금의 생체적합성 및 표면특성)

  • Gang, Jeong-In;Son, Mi-Gyeong;Choe, H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83-83
    • /
    • 2017
  • 생체재료의 표면은 이식과 동시에 생체계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일련의 생물학적 반응이 시작되고 진행되는 중요한 장소가 된다. 초기에 생체계면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흡착이나 염증반응을 비롯한 생물학적 반응들은 궁극적으로 임플란트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골융합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생체불활성의 타이타늄 (Ti)과 골조직의 능동적인 반응을 이루기 위해 생체활성 표면을 부여함으로서 계면에서의 골형성 반응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생체불활성의 Ti과 Ti합금은 골조직과 직접적인 결합을 이루지 못하므로, 골조직과의 반응을 향상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생체활성 재료를 코팅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고, 이 중 생체의 변화와 가장 유사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코팅이 가장 대중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초기 골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형상과 화학조성이 골 융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므로 최근의 연구동향은 이들 두 가지 표면특성을 결합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최적의 골세포반응을 유도하고, 골융합 후 골조직과의 micromechanical interlocking에 의해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이크론 단위의 표면조도와 표면 구조를 유지하면서, 부가적으로 골 조직 반응을 능동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생체활성 성분을 부여하여 골 융합에 상승효과를 이루기 위한 표면처리법에 관해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골을 구하는 원소인 망간과 실리콘으로 치환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으로 코팅하여 세포와 잘 결합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골 융합과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방법은 시편은 치과 임플란트 제작 합금인 Ti-6Al-4V ELI disk (grade 5, Timet Co., USA; diameter, 10 mm, thickness, 3 mm)이며, calcium acetate monohydrate, calcium glycerophosphate, manganese(II) acetate tetrahydrate, sodium metasilicate을 설계조건에 따라 혼합 제조된 전해질 용액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으로 표면 코팅을 실시하였다. 각 시편의 플라즈마 전해시 전압은 280V로 인가하였고, 전류밀도는 70mA로 정전류를 공급하여 해당 인가전압 도달 후 3분 동안 정전압 방식을 유지하였다. 코팅된 피막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과 X-선 회절분석을 통하여 미세구조 및 결정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코팅된 표면의 생체활성 평가는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동전위시험과 AC 임피던스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분극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potentiostat (Model PARSTAT 2273, EG&G, USA)을 이용하여 구강 내 환경과 유사한 $36.5{\pm}1^{\circ}C$의 0.9 wt.% NaCl에서 실시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 거동은 potentiodynamic 방법으로 조사하였고 인가전위는 -1500 mV에서 2000 mV까지 분당 1.67 mV/min 의 주사속도로 인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임피던스 측정은 potentiostat (Model PARSTAT 2273, EG&G, USA)을 이용하였으며, 측정에 사용한 주파수 영역은 10mHz ~ 100kHz 까지의 범위로 하여 조사하였고 ZSimWin(Princeton applied Research, US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용액의 저항, 분극 저항 값을 산출하였다. 망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불규칙한 기공을 보였으며, 실리콘은 $TiO_2$ 산화막 형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독으로 표면을 처리한 경우보다 두 가지 원소를 이용해 복합 표면처리를 시행한 경우가 내식성이 좋아 임플란트과의 골 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Cycling Performance of Graphite Electrode Coated with Tin Oxide for Lithium Ion Battery (리튬이온전지용 주석산화물이 도포된 흑연전극의 싸이클 성능)

  • Kang, Tae-Hyuk;Kim, Hyung-Sun;Cho, Won-Il;Cho, Byung-Won;Ju, Jeh-Beck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5 no.2
    • /
    • pp.52-56
    • /
    • 2002
  • Tin oxide was coated on graphite particle by sol-gel method and an electrode with this material having microcrystalline structure for lithium ion battery was obtained by heat treatment in the range $400-600^{\circ}C$. The content of tin oxide was controlled within the range of $2.25wt\%\~11.1wt\%$. The discharge capacity increased with the content of tin oxide and also initial irreversible capacity increased. The discharge capacity of tin oxide electrode showed more than 350 mAh/g at the initial cycle and 300 mAh/g after the 30th cycle in propylene carbonate(PC) based electrolyte whereas graphite electrode without surface modification showed 140 mAh/g. When the charge and discharge rate was changed from C/5 to C/2, The discharge capacity of tin oxide and graphite electrode showed $92\%\;and\;77\%$ of initial capacity, respectively. It has been considered that such an enhancement of electrode characteristics was caused because lithium $oxide(Li_2O)$ passive film formed from the reaction between tin oxide and lithium ion prevented the exfoliation of graphite electrode and also reduced tin enhanced the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graphite particles to improve the current distribution of electrode.

Synthesis of MnO2 Nanowires by Hydrothermal Method and their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망간 나노와이어 제조 및 이의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 Hong, Seok Bok;Kang, On Yu;Hwang, Sung Yeon;Heo, Young Min;Kim, Jung Won;Choi, Bong Gill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7 no.6
    • /
    • pp.653-658
    • /
    • 2016
  • In this work, we developed a synthetic method for preparing one-dimensional $MnO_2$ nanowires through a hydrothermal method using a mixture of $KMnO_4$ and $MnSO_4$ precursors. As-prepared $MnO_2$ nanowires had a high surface area and porous structure, which are beneficial to the fast electron and ion transfer during electrochemical reaction. The microstructure and chemical structure of $MnO_2$ nanowir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and Brunauer-Emmett-Teller measurement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nO_2$ nanowire electrodes were also investigated using cyclic voltammetry and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with a three-electrode system. $MnO_2$ nanowire electrodes showed a high specific capacitance of 129 F/g, a high rate capability of 61% retention, and an excellent cycle life of 100% during 1000 cycles.

Electr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Zn-Pr-Co-Cr-Dy Oxides-based Varistors (Zn-Pr-Co-Cr-Dy 산화물계 바리스터의 전기적, 유전적 특성)

  • 남춘우;박종아;김명준;류정선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40 no.10
    • /
    • pp.943-948
    • /
    • 2003
  • The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Zn-Pr-Co-Cr-Dy oxides-based varistors were investigated with Dy$_2$ $O_3$ content in the range of 0.0∼2.0 ㏖%. As Dy$_2$ $O_3$ content is increased, the average grain size was decreased in the range of 18.2∼4.6 $\mu\textrm{m}$ and the ceramic density was decreased in the range of 5.49∼4.64 g/㎤. The incorporation of Dy$_2$ $O_3$ markedly enhanced the nonlinear properties of varistors more than 9 times in nonlinear exponent, compared with the varistor without Dy$_2$ $O_3$ The varistor with 0.5∼1.0 ㏖% Dy$_2$ $O_3$ exhibited the high nonlinearity, in which the nonlinear exponent is above 55 and the leakage current is below 1.0 ${\mu}\textrm{A}$. The donor concentration and the density of interface states were decreased in the range of (4.66∼0.25)${\times}$10$\^$18//㎤ and (5.70∼1.39)${\times}$10$\^$12//$\textrm{cm}^2$,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Dy$_2$ $O_3$ content. The minimum dielectric dissipation factor of 0.0023 was obtained for 0.5 ㏖% Dy$_2$ $O_3$, but further addition of Dy$_2$ $O_3$ increased it.

Properties of Exchange Bias Coupling Field and Coercivity Using the Micron-size Holes Formation Inside GMR-SV Film (GMR-SV 박막내 미크론 크기의 홀 형성을 이용한 교환결합세기와 보자력 특성연구)

  • Bolormaa, Munkhbat;Khajidmaa, Purevdorj;Hwang, Do-Guwn;Lee, Sang-Suk;Lee, Won-Hyung;Rhee, Jang-Roh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5 no.4
    • /
    • pp.117-122
    • /
    • 2015
  • The holes with a diameter of $35{\mu}m$ inside the GMR-SV (giant magnetoresistance-spin valve) film were patterned by us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ECR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Ar-ion milling. From the magnetoresistance curves of the GMR-SV film with holes measuring by 4-electrode method, the MR (magnetoresistance ratio) and MS (magnetic sensitivity) are almost same as the values of initial states. On other side hand, the $H_{ex}$ (exchange bias coupling field) and $H_c$ (coercivity) dominantly increased from 120 Oe and 10 Oe to 190 Oe and 41 Oe as increment of the number of holes inside GMR-SV film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shown to be attributed to major effect of EMD (easy magnetic domian) having a region positioned between two holes perpendicular to the sensing current.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fabrication of GMR-SV applying to the hole formation improved the magnetoresistance properties having the thermal stability and durability of bio-device.

구분린 완전결정을 이용한 중성자 단색기의 원리

  • ;;;P. Mikula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22-22
    • /
    • 2003
  • 원자로에서 핵분열에 의해 생성된 고에너지 중성자는 감속재를 통해 열평형에 의해 에너지가 낮춰져 통계적 분포, 즉 Maxwell-Boltzman 운동에 따른 에너지 스펙트림을 갖게 된다. 중성자 산란장치는 통상 단색빔을 이용하므로 단색기(monochiomator)를 통해 이 분포에서 특정 파장의 중성자빔을 인출, 즉 단색화한다. 이때 단색기는 각각의 중성자 산란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특정 파장의 중성자빔을 인출하면서도, 파장의 퍼짐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높은 중성자속(neutron flux)을 가지며 분해능도 또한 좋아야 한다.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단색화 방법은 결정의 내부결함을 유도하여 만든 모자익(mosaic) 결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특정 파장을 얻으면서도 좋은 분해능과 높은 중성자속을 갖는 모자익 결정을 만들기가 어렵고, 한번 결정된 단색기의 특성을 바꿀 수 없는 단점이 있다. 1980년대부터 몇몇 그룹이 거의 완전하게 성장된 단결정 슬랩을 미세하게 구부려서 탄성변형을 주어 effective 모자익 구조를 발생시킨 '구부린 완전결정(bent perfect crystal, BPC)' 단색기를 개발하여 특정 목적에 활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BPC 단색기는 단색화된 중성자빔을 집속(focusing)할 수 있으며, 결정의 구부림 정도를 조절하고 배치 기하를 바꿈으로써 다양한 특성을 갖는 단색빔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단색기의 기하학적 변수를 조절함으로써 회절빔의 집속도와 분해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잔류응력 측정이나 단결정 회절 및 집합조직 측정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PC 단색기의 원리와 여러 배치기하에 따른 빔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빔이 시료와 상호 작용하는 면적과 상호작용하지 않을 때의 빔을 회절모드에서 faraday cup으로 측정한 빔전류로 부터 계산하였다. Gibbsite에 대한 전자빔 조사 시 1분 이내에 급격한 Hydroxyl Ion(OH-)의 이탈로 인해 Cibbsite의 구조는 거시적 비정질화가 되며 시간증가에 따라 χ-alumina → ν-alumina → σ-alumina or δ-alumina의 순으로 상전이를 겪는다. 전자빔 조사 시 관찰된 회절자료의 가시적 변화를 통해 illumination angle 1.25mrad(Dose rate : 334 × 10³ e/sup -//sec·n㎡)일 경우 약 3초 이내에 비정질화가 시작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약 1 × 10/sup 6/ e/sup -//sec·n㎡ 의 전자선량에 해당되며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illumination angle에 대한 임계전자선량을 평가할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Cibbsite와 같은 무기수화물의 직접가열실험 시 전자빔 조사에 의해 야기되는 상전이 영향을 배제하고 실험을 수행하려면 illumination angle 0.2mrad (Dose rate : 8000 e/sup -//sec·n㎡)이하로 관찰하고 기록되어야 함을 본 자료로부터 알 수 있었다.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

  • PDF

Synthesis of nanosized WC powder by Chemical Vapor Condensation Process (화학기상응축법에 의한 WC 나노분말의 합성연구)

  • ;;;Oleg V. Tolochko
    • Proceedings of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Conference
    • /
    • 2002.04b
    • /
    • pp.45-45
    • /
    • 2002
  • 나노미터 크기의 결정립을 가지는 나노분말 및 나노복합분말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에는 기상증발후 응축법, 화학응축법, 기계적합금법 등이 있으나, 고순도 및 균일한 크기분포의 분말과 응집되지 않은 분말의 제조 조건을 가장 잘 만족하는 방법은 화학기상응축법(Chemical Vapor Condensation; CVC)이다. 본 연구그룹 에서는 CVC밤법으로 이용하여 공구/금형재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WC/Co 합금의 결정립을 n nm크기로 극미세화고자하는 연구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WC/Co합금제조시 가장 중요한 출발분말인 나노크기 WC 분말의 제조와 그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나노미터 WC분말을 제조하기 의한 전구체는 고상의 금속유기물인Tungstenhexacarbonyl$(W(CO)_6)$ 을 사용하였다. 수평관상로을 반응기로 사용하였으며, 노내의 온도을 500-110$0^{\circ}C$로 변화시 키면서 WC 분말을 합성하였다. 반응기 및 포집기 내부를 대기분위기, 상압의 Ar분위기, 진공 분위기로 변화시켜 압력 및 분위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포집기는 상온 및 액체질소로 냉각 한 Chiller을 사용하였다. 형성분말의 상분석은 XRD로 조사하였으며, 형태 및 결정립크기는 TEM로 분석하였다. 반응온도 600 -1 OOO$^{\circ}C$의 온도범위에서 검은색의 WC 분말이 제조되었다. XRD 분석의 결과 로 제조된 분말은 상온에서 준안정상인 Hexagonal 구조의 $\gammar-WC_{1-x}$ 상이였으며, TEM 분석결 과 상압하에서는 약 30nm이하의 WC분말이 제조되었으며, 그 형태는 둥근 4각형의 모양을 지녔다. 감압하에서 진행한 경우 결정립의 크기는 8nm이하를 가졌다.곤가스로 산화를 방지하였고, 냉매로는 질소가스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분말을 기ㅖ적 분급법을 이용하여 분급하였고, 냉매로는 질소가스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분말을 기계적 분급ㅂ법을 이용하여 분급하였고, 압출에 이용된 분말은 250$\mu\textrm{m}$이하의 크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분말제조과정 중 형성되는 표면산화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36$0^{\circ}C$에서 4시간동안 수소 환원처리를 행하였다. 제조된 분말은 열간 압출을 위하여 Aㅣcan에 넣고 냉간성형체를 만들고, 진공처리를 한 후 밀봉하여 탈가스처리를 하였다. 압출다이는 압출비가 각각 28:1과 16:1인 평다이(9$0^{\circ}C$)를 사용하여 각각 내경이 9, 12cm이고, 길이가 50, 30cm인 압출재를 제조하였다. 열간압출한 후의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압출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관찰하였고, 열간 압출재 이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실실하여 결정방위를 확인하였다. 전기 비저항 및 Seebeck 계수 측정을 위하여 각각 2$\times$2$\times$10$mm^3$ 그리고 5$\times$5$\times$10TEX>$mm^3$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였다.준비하였다.전류를 구성하는 주요 입자의 에너지 영역(75~l13keV)에서 가장 높은(0.80)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넷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

  • PDF

The Effect of Microcurrent Stimulation Intensity on Osteoarthritis in Rat (미세전류자극 강도가 흰쥐의 골관절염 회복에 미치는 영향)

  • Jin, Hee-Kyung;Park, Jang-Sung;Kim, Jong-Man
    • Physical Therapy Korea
    • /
    • v.18 no.1
    • /
    • pp.83-92
    • /
    • 2011
  • Osteoarthritis is a degenerative joint disease and is led to physical disability. Ye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disease-modifying treatments has lagged.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effect of physical therapeutic intervention through microcurrent stimulation and attempt to find which degree of intensity, either 25 ${\mu}A$ or 500 ${\mu}A$ with a regular 5 pps pulse, is more effective in the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was induced with a mixture of 2% carrageenan and 2% kaolin in 26 male Sprague-Dawley rats. The mixture (0.1 $m{\ell}$) was injected into the intra-articular capsule of knee joint once a week for three weeks. Five animals did not show degenerative changes by radiological findings and exclud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Osteoarthritic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n_1$, $n_2$, $n_3$=7/each): untreated, treated with 25 ${\mu}A$, treated with 500 ${\mu}A$. All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microcurrent stimulation for four weeks (15 min/day, 5 days/week). The ethological inspection of foot print analysis on the walking corridor was accomplished every week. Histological preparation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insulin-like growth factor-1 were also done in the articular cartilages. All of these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steoarthritic control group (n=7). The ethological inspection of foot print analysis revealed that changes of walking track (paw width) and stride l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experimental groups. The better results were observed in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25 ${\mu}A$ intensity without significance than group treated with 500 ${\mu}A$. Histological preparations disclosed that routine hyaline cartilage of articular surface were altered to fibrous cartilage in untreated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500 ${\mu}A$ intensity. But a little changes were seen in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25 ${\mu}A$ intensity. Immunolocaliz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was simultaneous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osteoarthritis,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microcurrent stimulation, especially 25 ${\mu}A$ intensity, had a positive effect by the ethological inspection,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crocurrent stimulation with low-intensity might be effective in the promotion of healing process for the osteoarthr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