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전류

Search Result 44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Effects of Non-Invasive Constant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xpression of BMP-4 After Tibia Fracture in Rabbits (비침습식 미세전류자극이 토끼 경골의 골절 후 BMP-4 발현에 미치는 영향)

  • Cho, m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24-1129
    • /
    • 200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non-invasive constant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xpress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BMP) 4 after tibia fracture in rabbits. Twenty four rabbits with tibia fracture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was divided into four subgroups, based on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3, 7, 14, 28 days).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a constant microcurrent stimulation of $20{\sim}25{\mu}A$ intensity with surface Ag-AgCl electrode (diameter 1cm, Biopac, U.S.A.) for 24 hours a day. Cathode of the microcurrent stimulator located on the tibia directly, anode of it did on the gastrocnemius muscle. Rabbits were sacrificed on each of the postoperative days 3, 7, 14, 28. To investigate how non- invasive constant microcurrent stimulation affects bone healing,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BMP-4 was performed at each point. After evaluation,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Comparisons of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 of BMP-4 in 7 days after tibial fracture show that there was shown to be a moderate positive reaction (++) on concentric circles of Harversian system andt he interstitial lamella in the control group, while there was a very strong positive reaction (++++) on concentric circles of Harversian system and interstitial lamella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lying non-invasive constant microcurrent stimulation on fractured bone is helpful to bone healing.

  • PDF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on Erector Spinae Fatigue Index (미세전류 자극이 척주세움근의 피로지수에 미치는 영향)

  • Kang, Da-Hae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545-551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microcurrent stimulation and rest on the fatigue index by applying both to subjects who had accumulated fatigue after performing short-duration physical activit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S University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on 22 healthy men in their 20s, who were right-handed, and without peripheral or musculoskeletal diseases. All subjects lifted a 10-kg box lift and lower 100 times in 15 minutes. Immediately after that, muscle fatigue index (Median Frequency: MF) and blood fatigue index (Creatine Kinase Lactate: CK, Lactate Dehydrogenase: LDH) were measured by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microcurrent stimulation and rest were mediat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for 20 minutes. After intervention, muscle fatigue index and blood fatigue index were measured and the changes in the accumulated fatigue index were compared. Both groups manifested significantly decreased cumulative fatigue after applying the mediation compared to the pre-intervention level (p < .05), the only exception being the fatigue index of the left erector spinae in the rest group. Compared to the rest group, the microcurrent stimul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muscle fatigue index (p < .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blood fatigue index.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crocurrent stimulation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muscle fatigue recovery for workers who have to perform repetitive movements lifting weights, and additional studies on the correlations of the fatigue recovery with respect to the long-term follow-up of fatigue index and mediation time are necessary.

Circulating current control using the DC-link voltage deviation for the parallel connected three-level NPC converters (병렬형 3상 3레벨 NPC 컨버터의 DC단 불평형을 이용한 순환전류 저감)

  • Park, Jung-Hoon;Jung, Jun-Hyung;Son, Yeong-Deuk;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168-16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ZCMV(zero common mode voltage) PWM을 사용하는 병렬형 3상 3레벨 NPC 컨버터의 DC단 전압의 불평형 제어를 이용한 순환전류 저감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상적으로 ZCMV PWM은 공통 모드 전압을 발생하지 않지만, 초기 운전 및 데드타임과 같은 실제적인 문제로 인해 공통 모드 전압이 발생한다. 발생한 공통 모드 전압은 미세한 순환전류를 발생시키며 이는 컨버터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C단 전압 불평형 제어를 이용하여 순환전류를 저감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상, 하단 DC 전압의 불평형은 공통 모드 전압을 발생시키며 이를 통해 미세하게 발생한 순환전류를 저감하여 컨버터의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 PDF

Comparative Measurement of Radioactivity with Standard Gamma-ray Ionization Chamber System (표준 감마선 전리함 장치에 의한 방사능 비교 측정)

  • Park, Tae-Soon;Woo, Dong-Ho;Oh, Pil-Jae;Hwang, Sun-Ta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9 no.1
    • /
    • pp.11-18
    • /
    • 1984
  • A Standard gamma-ray ionization chamber system was developed with a well type ionization chamber and micro current measuring circuit. Micro current was measured by the automatic Townsend balance with stepwise compensation method. For gamma emitting nuclides such as $^{241}Am,\;^{133}Ba,\;^{60}Co,\;^{134}Cs,\;^{137}Cs,\;and\;^{22}Na$ relative calibration factors to $^{226}Ra$ reference source were calculated and detection .efficiency curve was determined as a fudnction of gamma energy.

  • PDF

Development of a Microcurrent acupuncture point treatment equipment (미세전류 경혈치료기의 개발)

  • Jung, Won-Ki;Kim, Young-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8
    • /
    • pp.2958-2962
    • /
    • 2010
  • We developed a Microcurrent acupuncture point treatment equipment using micro-controller AVR. This equipment can generate a sine wave, triangle wave, square wave and DC. The frequency range of waves like the sine wave and the triangle wave is 1 - 320 Hz and the output range of DC is $40-200\;{\mu}A$. The duration is controllable between a minute to 30 minutes.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Ni-Pd alloy electroplating (Ni-Pd 합금 전해도금의 기계적 특성)

  • Jo, Eun-Sang;Jo, Ji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267-26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디아민을 착화제로 사용하여 전해도금으로 Ni-Pd 합금피막을 형성하였다. 염화팔라듐 농도 1~5 mM, 전류밀도 $0.2{\sim}1.5A/dm^2$ 구간에서 고용체 합금피막이 형성되었으며, 이의 격자상수는 X선회절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Pd 함량은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경도는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전류밀도 $1.3A/dm^2$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경도증가 원인은 결정립미세화이고, 전류밀도 $1.3A/dm^2$ 이후에서 잔류응력으로 인한 크랙 발생으로 사료되었다.

  • PDF

Effects of Current Density and Solution Temperature on Electrodeposited Cu Thin Film in Cu Pyrophosphate Bath (Cu pyrophosphate bath에서 전기도금된 Cu 박막에 미치는 전류밀도 및 도금온도의 영향)

  • Sim, Cheol-Yong;Sin, Dong-Yul;Gu, Bon-Geup;Park, Deo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11a
    • /
    • pp.136-136
    • /
    • 2012
  • Cu 박막이 pyrophosphate baths로부터 전기도금공정에 의해 제조되었으며, 전류밀도 및 도금온도가 Cu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류 밀도 및 도금온도 모두 전류효율, 잔류응력, 표면형상, 미세조직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Low Temperature Hermetic Packaging by Localized Heating using Micro Heater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부분 가열 저온 Hermetic 패키징)

  • 심영대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19
    • /
    • 2002
  •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마이크로 시스템 패키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제작하여 패키징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와 새로운 미세 가열기의 형상을 각각 제작하여 접합시에 미세 가열기에 발생하는 열분포를 IR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가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는 매우 균일하게 가열되는 형상을 나타내었다. IR 카메라 실험을 바탕으로 접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접합 실험시 사용한 미세 가열기는 폭 50$\mu\textrm{m}$, 두께 2$\mu\textrm{m}$로 제작하였으며, 0.2 Mpa의 압력을 Pyrex glass cap에 가한 상태에서 150 mA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서 접합을 완료하였다. 접합이 완료된 시편들에 대해서 IPA를 통한 leakage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66%가 테스트를 통과한 반면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85% 이상이 테스트를 통과하였다. Leakage 실험을 통과한 각각의 시편들에 대해서 접합력 측정을 실시한 결과, 기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15~21 Mpa의 접합력을 나타내었고, 새로운 형상의 미세 가열기를 이용한 시편들은 25~30 Mpa의 우수한 접합력을 나타내었다.

  • PDF

Influence of Milling Condition on the Phase Formation and Jc of Ag/Bi 2223 Superconducting Tapes (분말의 분쇄조건이 Ag/Bi-2223 초전도 선재의 상전이와 임계전류 밀도에 미치는 영향)

  • Kim, Won-Ju;Yu, Jae;Lee, Hui-Gyun;Hong, Gye-Wo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2
    • /
    • pp.140-144
    • /
    • 1997
  • The effects of the particle size of precursor powder on the microstructure and Jc of Ag-sheathed Ri-2223 tapes were investigated. The calcined powder with overall composition of $Bi_{1-89}Pb_{0-41}Sr_{2-01}Ca_{2-23}Cu_{3-03}O_{y}$ was milled for various times using planetary ball mill. The transport property of the tapes were found to depend strongly on the particle size of the precursor powder Enhanced reactivity of the milled powder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2223 phase and resulted in an increase of Jc. Excessive milling, however, led to the amorphisation of the powder and degraded the electrical property of the tapes.

  • PDF

마그네트론 스퍼터로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의 미세구조 분석

  • Yang, Ji-Hun;Park, Hye-Seon;Jeong, Jae-Hun;Song, Min-A;Jeong,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59-159
    • /
    • 2012
  • 알루미늄 박막을 코팅하기 위해서 비대칭 마그네트론 스퍼터 소스를 이용하였으며 빗각 증착과 외부 자기장에 의한 플라즈마 밀도 제어가 알루미늄 박막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빗각 증착은 타겟과 기판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빗각을 이루도록 기판을 기울여 코팅하는 방법으로 박막의 미세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 스퍼터 소스 외부에 원형의 전자석을 위치시키고 직류의 전류를 인가하여 타겟 표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 밀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알루미늄을 물리기상증착으로 코팅하면 일반적으로 주상정 구조를 갖는다. 알루미늄 박막이 주상정 구조로 이루어지면 박막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고 밀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알루미늄을 빗각 증착으로 코팅하면 주상정 형성이 억제되어 박막의 밀도가 높아지고 표면 거칠기는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알루미늄의 빗각 증착 시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을 제어하여 타겟 표면의 플라즈마 밀도를 증가시키면 알루미늄 박막의 밀도가 빗각 증착만 적용했을 때보다 증가하고 비정질과 같은 박막 구조를 보이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자석에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을 기판 표면의 플라즈마 밀도가 증가하도록 바꾸면 알루미늄 주상정의 크기가 증가하고 기공의 크기도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마그네트론 스퍼터 공정 시 자기장과 빗각 증착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밀도가 높고 표면 거칠기가 낮은 알루미늄 박막을 코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알루미늄 박막은 기능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