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세먼지(PM-10)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25초

실험동물 랫드를 이용한 미세먼지 기도노출에 따른 호흡기계 독성에 대한 마늘의 예방효과 탐색 (Preventive Effect of Garlic Administration on Respiratory Toxicity Induced through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Fine Dust (PM10) in Rats)

  • 이윤범;김근우;송영민;한영훈;하창수;이지선;김민희;손혜영;이기용;허용;김창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67-675
    • /
    • 2020
  • Objectives: Exposure to fine dust (PM10) could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or respiratory abnormalities. Since garlic is known to possess an anti-oxidative stress effect,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arlic intake on fine dust-mediated pulmonary toxicity. Methods: Rats were intratracheally instilled with fine dust at 15 mg/kg body weight (BW)/day for five days following five-day intragastric intubation of garlic at 0.7 or 1.4 g/kgBW/day, or 13.1 mg/kgBW/day S-allyl-cysteine (SAC) as a reference component in garlic. Blood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were collected. Results: Deposit of fine dust was visually and histopathologically observed in the lungs. Body weight gain during the instillation period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all the groups instilled with fine dust. Neutrophil numbers in blood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fine dust alone group, but this alteration was diminished in the groups administered with garlic. Levels of serum glutathione were lower in the rats instilled with fine dust alone, and this decrease in the glutathione level seems dose-dependently compensated among the groups administered with garlic. Similar findings were observed in the BALF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ypical pulmonary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related with inflammation was demonstrated in the lungs of the rats exposed to fine dust alone, whereas such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not improved in the groups administered with garlic.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garlic intake could alleviate fine dust-mediated pulmonary or systemic toxicities.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delineate the mechanism of garlic-mediated effects on pulmonary function.

부산 내 미세먼지 고농도 지역 탐색 및 체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바이오모니터링 조사 (Exploration of an Area with High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and Biomonitoring Surve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mong the Residents)

  • 주현지;이승호;민재희;황용식;홍영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344-352
    • /
    • 2023
  • Background: With its developed port and related industri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high in Busan compared to other cities in South Korea.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health effects of fine dust,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information regarding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mong those who exposed to high levels of fine dus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fine an area with high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and perform biomonitoring surveys among the residents of the area. Methods: Air quality data was collected and the mean level of each district in Busan was derived. We then defined the area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M10 as a target sit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400 participants and analyzed for VOCs metabolites - trans,trans-Muconic Acid (t,t-MA) and N-AcetylS-(benzyl)-L-cysteine (BMA).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rained investigators to examine demographic information. The levels of t,t-MA and BMA were compared with representative South Korean population data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The association of the VOC metabolites and fine dust were analyzed by gener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of PM10 in the target site was 42.50 ㎍/m3 from 2018 to 2020. Among the 400 participants in the target site, 74.8% were female and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66 years. The geometric mean of t,t-MA was 71.15 ㎍/g creatinine and the BMA was 7.00 ㎍/g creatinine among the residents. The levels were higher than the geometric mean from the 4th KoNEHS. The levels of t,t-MA showed significance in BMI, smoking status, and household income. BMA showed significance in gender and age. Conclusions: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target site's residents had higher biomonitoring levels. Based on this study, continuous screening for high risk areas, including the target site, and biomonitoring of the residents are required.

사무실 실내공기질과 콘택트렌즈 착용여부가 안구 건조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ffice Indoor Air Qualitys on the Dry Eye Symptom of Contact Lens Wearers)

  • 김대종;박문찬;이세훈;김현욱;이화자;차정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5-222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 여부와 사무실 실내공기질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71명의 연구 대상자들의 각 사무실에서 실내공기질이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CO_2$), 온도(temperature), 습도(relative humidity), 총 부유분진(TSP), 미세먼지($PM_{10}$), 포름알데히드(HCHO)를 측정분석 하였고, 안구 건조증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사무실에서 McMonnies dry eye symptom questionnaire, Schirmer Tear Test-I(S.T.T-I), Schirmer Tear Test-II with anesthetics(S.T.T-II), Tear film break-up time(T.B.U.T) 등을 검사 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여부에 따라 사무실 실내공기질이 안구건조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TSP는 $200{\mu}g/m^3$, $PM_{10}$$86.7{\mu}g/m^3$, 포름알데히드는 $0.4{\sim}1.0{\mu}g/m^3$을 기준으로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을 때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CO_2$(p=0.146), 온도(p=0.074)와 습도(p=0.053)는 통계적으로 안구건조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무실 재실자의 안구 건조에 $CO_2$ 및 온도, 습도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TSP, $PM_{10}$, 포름알데히드의 실내 농도와 콘택트렌즈의 착용여부는 관련이 있었다. 콘택트렌즈 착용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와 사무실 실내공기의 개별적인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배출가스의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황 동시 저감 기술 (Various Technologies for Simultaneous Removal of NOx and SO2 from Flue Gas)

  • 박현우;엄성현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07-618
    • /
    • 2017
  • 석탄화력발전소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설비에서 유해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인체 건강과 자연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특히, 질소산화물($NO_x$)와 이산화황($SO_2$)은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미세먼지($PM_{2.5}$) 형성에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NO_x$$SO_2$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서 선택적 촉매 환원(SCR)과 습식 탈황 공정(WFGD)으로 결합된 혼합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설치비용 및 운전비용을 필요로 하며, 유지보수의 문제점, 기술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혼합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NO_x$, $SO_2$ 동시 저감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제안된 기술들은 흡수, 고도 산화(AOPs), 저온 플라즈마(NTP), 전자 빔(EB) 등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강한 수용성 산화제 및 산화력을 가진 화학활성종에 의한 $NO_x$, $SO_2$$HNO_3$, $H2SO_4$ 형태로의 산화 반응, 기-액 계면에서 $HNO_3$$H2SO_4$ 흡수 반응, 화학 첨가제에 의한 중화 반응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동시 저감공정에 대한 기술적인 특징과 대용량 처리 공정 응용을 위한 향후 전망을 정리하였다.

리그노셀룰로오스 섬유-기반 3층 섬유판과 한지로 구성된 실내외 대기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세트의 개발 (Development of Filtering Sets Composed of Lignocellulosic Fiber-based 3-layers Fiberboard and Traditional Korean Paper for the Purification of Indoor and Outdoor Air Pollutants)

  • 이영규;최영서;문명철;소재민;권오경;최원실;최준원;양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87-98
    • /
    • 2024
  • 본 연구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섬유와 굴참나무 수피-기반 활성탄(COA)으로 제조한 3층 섬유판에 한지를 조합하여 제작한 섬유판 필터세트의 미세먼지(PM),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폼알데하이드(HCHO) 여과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단백질계 접착제를 적용하여 표층에 목섬유 그리고 심층에 재생섬유/COA로 제조한 섬유판(WRF)과 한지로 제작한 섬유판 필터세트는 일반향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기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였다. 섬유판 제조에 있어 표층/심층에 적용되는 접착제의 함지율을 4%/4%, 5%/3%, 6%/2%로 조절하여 WRF를 제조한 후, 이를 한지와 함께 WRF-기반 필터세트 제작에 이용하였다. 이 필터세트의 PM, TVOC, HCHO 여과능은 심층의 함지율이 감소함에 따라 향상되었다. 한편 WRF-기반 필터세트 구성에 있어 45 g/m2 평량의 한지보다 25 g/m2 평량의 한지(KP-25g)를 사용하여 제작한 필터세트에서 여과능이 우수하였다. 표층에 재생섬유와 심층에 목섬유/COA로 제조한 섬유판(RWF)과 KP-25g로 구성한 섬유판 필터세트의 여과능은 WRF와 비교하여 높았다. 소형 실내공간 및 대형 옥외공간에 WRF-기반 섬유판 필터세트 및 무필터 조건과 함께 측정한 PM 및 TVOC 여과능은 RWF-기반 섬유판 필터세트에서 높았다. 따라서 RWF와 KP-25g를 조합하여 제작한 섬유판 필터세트가 실내외 공간에 존재하는 PM, TVOC 여과용 필터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고형연료제품 사용시설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입경분율 분석 (Analysis of the Fine Particulate Matter Particle Size Fraction Emitted from Facilities Using Solid Refuse Fuel)

  • 유한조;정연훈;김진길;신형순;임윤정;이상수;손해준;임삼화;김종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19-725
    • /
    • 2020
  • Objectives: With the growth of national interest in fine particulate matter, many complaints about pollutants emitted from air pollution emitting facilities have arisen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it is thought that a large volume of particulate pollutants are discharged from workplaces that use Solid Refuse Fuel (SRF). Therefore, particulate contaminants generated from SRF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in terms of respective particle sizes. Methods: In this study, particulate matter in exhaust gas was measured by applying US EPA method 201a using a cyclone. This method measures Filterable Particulate Matter (FPM), and does not consider the Condensable Particulate Matter (CPM) that forms particles in the atmosphere after being discharged as a gas in the exhaust gas. Results: The mass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in the four SRF-using facilities was 1.16 to 11.21 mg/Sm3, indicating a very large concentration deviation of about 10 times. When the fuel input method was the continuous injection type, particulate matter larger than 10 ㎛ diameter showed the highest particle size fraction, followed by particulate matter smaller than 10 ㎛ and larger than 2.5 ㎛, and particulate matter of 2.5 ㎛ or less. Contrary to the continuous injection type, the batch injection type had the smallest particle size fraction of particulate matter larger than 10 ㎛. The overall particulate matter decreased as the operating load factor decreased from 100% to 60% at the batch input type D plant. In addition, as incomplete combus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article size fraction also changed significantly. Both TSP and heavy metals (six items) satisfied the emissions standards. The measured value of the emission factor was 38-99% smaller than the existing emissions factor. Conclusions: In the batch injection facility, the particulate matter decreased as the operating load factor decreased, as did the particle size frac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These results will help the selection of effective methods such as reducing the operating load factor instead of adjusting the operating time during emergency reduction measures.

치과병·의원 환기방법에 따른 실내공기질 자각증상 수준 및 근무환경 만족요인 (A Subjective Symptom Level and Satisfaction Factor by Indoor Air Quality According to Ventilation System in Dental Clinic)

  • 최미숙;지동하;최재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53-359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가 근무하는 병원의 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이산화탄소($CO_2$), 일산화탄소(CO),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가 치과위생사의 건강 및 작업능률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근무하는 병원의 냉 반방 방식 및 창문개폐를 통한 환기 횟수에 따른 실내공기질에 대한 신체자각증상 정도를 비교하고, 근무하는 병원의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환경 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므로써 치과위생사의 건강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근무환경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로 하였으며 2010년 10월 1일 부터 2011년 1월 2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582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냉 난방 방식별 창문 개폐를 통한 하루 환기 횟수를 비교한 결과 창문개폐를 통한 환기가 편리한 개별 냉 난방 방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는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자각증상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가장 많이 느끼는 시간은 오후 2시 전 후이며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한 지 1시간 경과 후인 3시 전 후에 불편함의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치과위생사의 자각증상에 따른 불편함 수준을 냉 난방 방식 및 하루 창문개폐를 통한 환기 횟수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창문 개폐를 이용하여 자연환기가 유리한 개별 냉 난방 방식의 사무실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근무하는 병원의 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실내공기 조건과 관련된 항목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병원 공기의 냄새가 기분 좋게한다", "병원 실내 온도조건은 근무하기에 편하다", "병원의 조명은 일하기에 적당한 편이다", "병원의 환기가 잘 된다", "병원 시끄러움", "병원공기가 신선하다고 느낀다", "병원 더움"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2.9%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도심 대기질 개선을 위한 환경지역의 운영전략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f Environmental Zone for Improving Air Qua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최기주;이규진;안성채;신강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693-702
    • /
    • 2009
  •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 배출량은 대부분 교통 부문에서 유발되고 있고, 특히 수도권 지역 미세먼지(PM10) 배출량의 52%와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의 59%는 노후 대형경유차에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후 대형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정책인 환경지역 (노후 대형경유차의 수도권 진입 억제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장치 장착)운영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지역 운영전략은 대상지역과 대상차량에 따라 6개 시나리오로 구성되었으며, 각 시나리오는 교통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환경지역 운영 전략에 대한 평가 결과, 7년 경과된 노후 경유차의 DPF장착과 1998년식 이전 노후 경유차의 조기폐차 시행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저공해화 대상차량을 수도권 내 운행차량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등록차량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활동에 따른 실내오염도 변화에 관한 연구 -신설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s in Indoor Air Pollution by Educational Activities -Centering on Newly-Established Elementary Schools-)

  • 전석진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6권2호
    • /
    • pp.66-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primary causes of indoor air pollution, including carbon dioxide, minute dust,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 each room before the beginning of a class through the time of discharge after the end of the class in general classrooms, computer rooms, and science rooms of three newly-established schools that opened in 2006, examine properties of indoor air environment in each room by educational activities at school, and determine effective management sc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for implications for each item found in the mean for each place, since minute dust (PM10) was more likely to occur in time slots full of students' activities, such as a traveling class and a recess, than in the middle of a class and could be expected fully, it is necessary to make a scheme for cleaning in order to reduce minute dust within a room, for example, by usually using a vacuum cleaner indoors. 2) While carbon dioxide was expected to vary with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breath between higher-graders and lower-graders in a general classroom but showed in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s, showing differences in pollution by four times at a maximum according to the opening of a window as expecte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rtificial or natural ventilation and take a positive measure, for example, by presenting a concrete ventilation scheme, in order to improve indoor air pollution at a room practice. 3)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by more than twice in general classrooms, science rooms, and computer rooms of the schools because of building materials, furnitures including desks and chairs, panels and boards for environment beautification, and items which could be detected even from students' clothes; while a field directly-reading tool was used, obtaining high reliability for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nalytical method based on process test separately for actual correct measurement if a significantly great amou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ppear as compared with other schools due to measuring expenses and consecutive measurements. 4) Since formaldehyde (HCHO) was generally found to exceed the standard in general classrooms, science rooms, and computer roo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ventilator during a class in a computer room which requires airtightness and a science room in which an organic compound should be used for a class.

  • PDF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담배 연기에 의한 피부 지질 산화 방지 효과 (Protective Effect of Cosmetics Containing Red Beet against Cigarette Smok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uman Skin)

  • 서초롱;하태현;문지영;김정미;박병권;이지원;박진오;신진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1-116
    • /
    • 2018
  •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안티폴루션 효능이 있는 화장품은 새로운 피부 건강을 위한 해결책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부(대기) 오염물질에 의해 피부의 산화 기전을 매개하는 주요 원인 인자들로 오존, UV, 미세먼지 및 담배연기 등을 꼽을 수 있다. 담배 연기의 노출은 직 간접적으로 피부 표피 내 지질의 산화를 야기한다. 피부의 지질 산화에 의해 squalene과 squalene monohydroperoxide의 비율 변화가 발생하고, malondialdehyde (MDA)가 지질산화 산물로 생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배연기 노출 시 발생하는 피부 산화에 대하여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방지할 수 있는 효능이 있는지에 대하여 MDA의 생성량으로 관찰하였다. 시험대상자 전박부를 세 영역(음성대조, 양성대조, 시험제품)으로 나누어 각 지름 3.3 cm의 원으로 구획하고, 15분간 담배연기에 노출 후 피부 표면으로부터 지질막을 걷어낸 후 TBARS assay를 통하여 MDA를 정량 하였다. 음성대조(무도포, 미노출)에 비해 양성대조(무도포, 담배연기 노출)의 MDA 생성량이 3.7배 증가된 결과로, 오염물질인 담배연기에 의한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을 미리 도포한 영역은 양성대조에 비해 MDA 생성량이 25%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담배연기 노출은 피부표피 내 지질 산화를 야기하며,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이러한 대기환경오염으로부터 방어적 효과(안티폴루션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