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 수

검색결과 6,199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 폐광산 및 제주 곶자왈 지역내의 미생물 분리 및 특징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in the exhausted mine and Jeju Gotjawal)

  • 김예은;고현우;김소정;도경탁;박수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09-315
    • /
    • 2017
  • 호산성미생물은 pH가 낮은 환경에서 살아가는 미생물로서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하여, 금속을 포함한 물질들의 순환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폐광산 및 제주 곶자왈 지역의 산성토양으로부터 배양을 통해 50여 종 이상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통하여 최종, Gammaprote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6종, Actin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5종, Betaprote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4종, Alphaproteobacteria 강에 속하는 미생물 2종, Bacilli 강에 속하는 미생물 2종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낮은 pH의 조건에서 살아가는 미생물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보한 산성토양내의 미생물들의 생리적 특징은 앞으로의 다양한 국내 미생물 자원의 활용에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Microbial oil의 개발 현황

  • 윤석후
    • 미생물과산업
    • /
    • 제14권2호
    • /
    • pp.26-29
    • /
    • 1988
  • 미생물을 이용한 유지의 생산은 동식물 유지의 대체자원으로써의 가능성 때문에 1910년대 독일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의 미생물 생산공정으로는 값싼 식물성유지에 비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공업적인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들어 미생물유지, 즉 단세포 유지(Singl Cell Oil) 생산에 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몇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로는 전세계의 우지생산이 미주, 지중해 연안국및 동남아 몇개국에 국한되어 세계적인 유통이 때로는 원할치가 않아 수급과 가격의 변동이 심하고, 둘째로는 생물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좀더 경제적인 방법으로 단세포유지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단세포유지는 단세포단백질과는 달리 식용, 사료용이외에 공업용 원료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선호도, 법적 규제등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이다. 본 소고에서는 유지의 종류, 유지생합성및 축적 메카니즘, 단세포유지 발효공학및 유지추출, 단세포유지의 경제성, 단세포유지에 관한 최근의 연구동향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빙결정 제어에 의한 최근 식품 보존 기술

  • 김민용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7호
    • /
    • pp.21-25
    • /
    • 2004
  • 생물재료인 식품의 성분 중에서 물은 식품의 주요기능인 영양기능(1차기능), 기호기능(2차기능), 생체 조절기능(3차기능)의 관점에서 무시되는 경우가 많으나 식품의 수송, 보존, 가공 공정에서 직접적으로 제어해야 하는 대상이므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존재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보존 공정에서 수분활성은 여러 가지의 화학반응, 효소반응, 미생물의 생육속도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미생물 생육을 위해서는 높은 수분 활성을 필요로 하므로, 수분활성을 제어함으로써 미생물의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저온의 이용도 기본적으로는 미생물 및 수분의 활성제어를 위한 공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분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어류의 냉각공정에 사용되는 빙수를 해수나 수도수가 아닌 해양 심층수를 이용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을 제어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중략)

  • PDF

복합차수층에서 침출수에 의한 투수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정인호;이재영;하현중;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41-246
    • /
    • 2004
  • 매립지 차수층에는 다짐점토층이 사용되고 있지만 건조/수축, 동결/융해 등의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복합차수층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지반토양에 고화재를 첨가한 BLT층과 벤토나이트와 미생물 배양액을 첨가한 BLM 층으로 구성된 복합차수층의 차수기능과 BLM층에서 미생물 배양액 첨가에 따른 Bio-barrier 기능을 평가하였다. 원지반토양에 고화재와 벤토나이트를 각각 8, 10%(w/w)를 첨가하였r고, 미생물 배양액은 1%(v/w)을 첨가하였다. 실험결과 원지반토양은 SC계열의 토양으로 분류되었고, BLT, BLM 차수층의 8% 혼합비율에서도 1$\times$ $10^{-7}$cm/sec 보다 낮은 투수계수를 나타내었다. BLM 층에 첨가된 미생물 배양액에 의한 Bio-barrier 기능 실험결과 미생물 배양액 첨가에 의하여 침출수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BM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선박 오·폐수 내 유해물질처리 (Harmful Materials treatment in Shipboard sewage by SBR process with BM)

  • 김인수;이언승;하신영;정경철;고성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01-6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 폐수의 처리를 위하여 SBR공정에 유효미생물을 주입하는 변법을 이용하여 Lab scale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해물질 유입에 따른 생물학적 처리 장치의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BR공정에 유효미생물을 주입하는 변법은 크루즈선이라는 특수 환경과의 접목성과 생물학적 처리 시 야기될 수 있는 문제를 대비하기 위한 대안으로 선박환경에 매우 적합한 공정으로 평가되었다. 슬러지 관찰 결과 기존의 활성슬러지에 유효미생물의 주입함으로써 슬러지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슬러지의 EPS 함량도 40% 이상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슬러지의 미생물 분석 결과 유효미생물 주입으로 인해 수처리에 유리한 미생물종이 다수 출현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유기 유해물질이 생분해되어 안전한 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금속과 같은 무기 유해물질도 중금속의 종류와 유입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70% 이상의 안정적인 처리 효율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선 과채류 편의 식품의 미생물 오염방지 및 조절방법

  • 홍석인;이은실;김동만
    • 식품기술
    • /
    • 제13권2호
    • /
    • pp.3-13
    • /
    • 2000
  • 신선 과일, 채소 편의식품의 주요 특징으로는 박피, 절단 등에 의한 식물조직의 손상, 최소가공에 따른 제품의 불확실한 미생물 안전성, 식물 조직의 활발한 물질대사, 제품 종류의 제한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품에서는 미생물이 증식하기 쉬우나 실제 미생물의 거동은 식물조직의 대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또한 생체의 호흡과 필름 포장재의 기체투과도에 의해 좌우되는 포장내부 환경기체에도 영향을 받는다. 수확후 감염은 과일, 채소와같은 원료 농산물의 주요 손실요인으로(Harvey, 1978;Lund, 1983) 신선 과채류 편의식품의 경우 절단면의 노출과 포장내부의 고수분 함량 등에 의해 미생물 감염의 위험은 더욱 더 증가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신선 편의식품이 어떠한 가열처리도 없이 그대로 이용되므로 식품유래 병원균의 오염과 저장중 이들의 증식은 각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 과채류 편의식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 오염 방지 또는 조절 방법에대해 설명하고 이의 적용과 관련한 주의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유해환경오염물질의 환경미생물을 이용한 제어연구 (Microbial removal of hazardous organic compounds on hazardous waste and contaminated soil)

  • 김무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7년도 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5-111
    • /
    • 1997
  • 환경에 관한 지식의 증가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들은 국경을 초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여러 환경고도기술국가들속의 실험실의 주역들은 <환경 미생물>을 이용한 제어연구에 엄청난 자본과 심혈을 바치고 있다. 실제로 미국 EPA에 의해 이미 유해유기화합물로 규정된 수많은 물질들이 이른바 환경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인 처리를 통해서, 이산화탄소와 물 및 메탄가스등의 무해한 무기화합물로 변환시킬 수 있음이 이미 확증된 바 있다. 아무리 많은 환경미생물들이라 할지라도 그 미생물 군들의 적절한 선택과, 대사작용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될 수만 있다면, 환경오염물질들의 생물학적 처리는 개선된 최신방법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또 이와 같은 미생물을 이용한 각종 처리방법 및 기작의 신개발은 21세기 환경오염문제 해결에 <마스터키> 역할을 감당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giotensin II는 활성을 조해하는 물질의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 진익열;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8회 학술발표회
    • /
    • pp.188.3-189
    • /
    • 1976
  • Angiotensin II는 peptide (octa)성 hermone으로 취급되고 있으며 강한 blood pressor activity를 나타내고있다. 이와 관련해서 근내 미생물 유래의 혈압강하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것은 여러가지 면에서 흥미를 느끼게 하고있다. 물질을 미생물계에서 검색코저 시도하였으며 여기서 사용한 방법이 이 연구에 적용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됨으로 그 방법을 여기에 발표코저 한다.

  • PDF

Glycomics Reference

  • 한남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소식지:생물산업
    • /
    • 제15권1호
    • /
    • pp.33-36
    • /
    • 2002
  • PDF

생균력 증진을 위한 농업용 미생물제 미세캡슐화 (Encapsulation of Agro-Probiotics for Promoting Viable Cell Activity)

  • 최소영;윤민호;황경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87-2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미생물제 수요의 증가에 따른 보다 안정한 미생물제 공급과 규격화된 품질 보증 및 미생물제 생산성 확대를 위하여 식품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미생물제의 미세캡슐화 기술을 응용하여, 농업용 미생물제 캡슐화 소재선발 및 캡슐화 최적조건을 조사하고 생산된 미생물 캡슐제의 생균력과 안정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본 실험의 캡슐화 장치는 extrusion 기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air atomizing device 대신 저속의 연동펌프를 이용한 micro-nozzle 방식을 설계하여 수행하였다. 농용 미생물의 캡슐화 소재선발을 위해 bead 형성이 용이하며 생균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이 가능한 캡슐제를 조사한 결과 Na-alginate와 K-carragenan은 bead 형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캡슐내 생균수는 $5.3-7.4{\times}10^7cfu\;g^{-1}$로 gellan gum과 locust bean gum 등에 비하여 6배 이상 높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Na-alginate의 경우 캡슐이 매우 단단하고 매끄러웠으며, K-carragenan보다 7배 이상 저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 농업용 미생물제의 캡슐화 소재로서 Na-alginat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라 판단되었다. 농업용 미생물제의 캡슐화를 위한 최적의 캡슐화 소재로 1.5% 농도의 Na-alginate에 1.0% starch와 같은 안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생균력을 유지하는 데 보다 안정적이었다. 최적조건에서 형성된 캡슐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캡슐의 표면구조는 매끈하고 규칙 바른 구형을 나타내었으며, 내부 구조는 비교적 균일한 polymatrix를 형성하였 으며 부분적으로 큰 공극을 형성하였다. 미세 캡슐 내 미생물 생존력을 유지하기 위한 캡슐막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안정제로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용이한 starch와 zeolite를 이용하여 생균력 증진효과를 검토하였다. 세균을 이용한 미생물 캡슐체의 경우 starch와 zeolite 모두 약 70-80% 생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효모의 경우 starch를 안정제로 이용한 경우 67%의 생균력을 나타내었으나 zeolite를 안정제로 첨가한 경우 80% 이상의 높은 생균력 증진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미생물을 캡슐화 할 경우 무기재료인 zeolite를 첨가할 경우 장기간 생균력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