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 농도

검색결과 2,832건 처리시간 0.027초

복합미생물제제 급여가 비육돈사의 환경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crobial Complex on Improvement of Environment in Finishing Pig Building)

  • 김태완;김철욱;김두환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1-17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납두균, 유산균, 효모균 등 5종의 복합미생물에 활성탄 및 쑥분말을 첨가한 복합미생물제제를 비육돈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후, 돈사내 유해가스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밀폐형 돈사의 급여 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급여후 넷째 주부터는 복합미생물제제를 0.1% 첨가한 처리구에서 농도가 떨어져서 시험 종료일 기준으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의 농도가 약 36% 감소되었다. 황화수소 농도는 복합미생물제제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큰 변화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복합미생물제제 급여구는 급여 후 3주째부터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종료시점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14%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육돈사의 슬러리에서 측정한 pH는 복합미생물제제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급여 대조구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처리구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알칼리성으로 변화하였고, 총질소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암모니아성질소는 복합미생물제제 급여구에서 급격히 줄어듦으로써 돈사내 악취발생 감소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총인 함량도 크게 감소되어 분뇨의 액비화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비육돈에 대한 복합미생물제제의 급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양돈장의 유해가스 및 악취 저감 효과가 가축의 건강상태, 생산단계, 분뇨관리, 환기 및 온 습도, 기압, 첨가제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사육환경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phingomonas sp. 224 균주에 의한 살균제 tolclofos-methyl의 분해 (Biodegradation of Fungicide Tolclofos-methyl by Sphingomonas sp. 224)

  • 곽윤영;신갑식;이상만;김장억;이인구;신재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8-395
    • /
    • 2010
  • 미생물을 이용한 인삼 재배지 내 잔류 tolclofos-methyl의 효과적 분해를 목적으로,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보이는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은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Sphingomonas 속으로 동정되었다. 선발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는 1/10 농도의 LB 배지에 함유된 20 mg/L 농도의 tolclofos-methyl을 배양 72시간 이내에 95% 이상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미생물이 tolclofos-methyl을 분해하여 얻어지는 산물로 2,6-dichloro-4-methyl phenol이 확인됨에 따라 미생물이 생산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분해 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olclofos-methyl 분해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를 인삼경작지 토양에 처리하여 이들 토양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확인 한 결과, 20 mg/Kg 농도의 토양 잔류 tolclofos-methyl에 대하여 14일 이내에 약 50%의 분해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단일 미생물을 이용한 배지 및 토양 내 tolclofosmethyl의 생분해 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이다.

미생물 자동 분류 및 계수를 위 한 영상 분석 시스템 (Image Analysis for Classifying and Counting Microbes)

  • 권영희;김진형;윤수영;윤세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607-61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식품 안정성을 검사하기 위해 식품 내 미생물 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생물학적 방법을 보완하여 영상 분석에 기반한 자동화 방법으로 빠르고 보다 정확한 방법을 제안한다. 현미경으로 확대한 시료의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영상 내의 미생물의 수를 측정하면 여러 영상에 대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식품 내 미생물 농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영상 처리 과정을 통해 영상으로부터 미생물군을 찾아내고, 해당 미 생물군을 모양에 따라 세 가지 종류-간균, 구균, 효모로 분류하고 계수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으로 보였다. 영상 내에서 측정된 미생물의 수와 실제 미생물의 수의 비를 검토해 본 바, 본 시스템이 실용적임을 보였다.

  • PDF

유류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세척 유출수 처리에 관한 연구

  • 김형수;최상일;조장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87-290
    • /
    • 2002
  •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 복원기술 적용시 발생되는 세척 유출수를 유류분해 미생물로 알려진 Pseudomonas putida Fl, Pseudomonas oleovorans, Acinetobacter calcoaceticus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세종류의 미생물은 본 연구에 사용된 계면활성제(POE$_{5}$, POE$_{14}$)에 대하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배양 종료 후 계면활성제 농도에 따른 TPH 분해율은 0.1%, 0.5%, 1%의 계면활성제 농도에서 유사한 분해율을 나타냈으나, 배양 초기에는 0.1%가 0.5%나 1% 농도에 비하여 높은 분해율을 보였다 pH의 변화에 따른 TPH 분해율은 적용 pH 범위(4, 6.5, 9)내에서 모두 생육이 가능하였으며, 세 종류의 미생물은 pH 6.5에서 가장 높은 TPH 분해 율을 나타내었다.

  • PDF

신선편의 샐러드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품질 및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 조미진;정아람;김현정;이나리;오세욱;김윤지;전향숙;구민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는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여 위생적인 신선편의 제품의 생산을 유도하고,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위해평가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 지역의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과 대장균군, 장내세균, 대장균을 분석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S. aureu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B. cereus 등의 식중독관련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신선편의 샐러드 중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제품은 과일샐러드 제품으로 일반세균수, 장내세균수와 대장균군의 오염 수준이 낮았다. 하지만, 새싹채소는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 등의 오염수준이 다른 신선편의 제품보다 높았으며, 분석 시료의 37.5%에서 B. cereus가 3 log CFU/g 이상 오염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신선편의 제품에서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등의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S. aureus는 2개의 샐러드 제품에서 검출되었으나, 오염 수준은 기준 이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중에서는 유기농 상추가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의 오염도가 유기농 상추와 깻잎에 비하여 높았으며, 대장균과 S. aureus는 상추와 깻잎에서만 검출되었고, 풋고추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는 분석된 모든 유기농 채소류에서 검출되었고, 오염도는 1.2-4.0 log CFU/g 수준이었다. 병원성 미생물인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농 채소류는 구입 후 대부분 가정에서 간단한 세척 후 바로 섭취하는 것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오염도는 낮았으나, 유기농 상추의 일반세균수가 5 log CFU/g 이상으로 충분한 세척으로 균수를 낮추지 않는다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섭취적 충분한 세척으로 초기 오염도를 낮추고, 저온에서 보관하며, 가능한 빠른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생산지 수집 신선 유기농 농산물 미생물 분포도 분석 (Microbial Prevalence and Quality of Organic Farm Produce from Various Production Sites)

  • 박원정;류화연;임가연;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2-267
    • /
    • 2014
  • 신선편이식품 소재인 유기농산물의 미생물 분포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풋고추, 상추, 토마토, 사과, 배, 쌀 등의 농산물을 47개 지역에서 관행농 농산물과 동시에 현장에서 시료를 수집하였다. 일반 세균수로는 유기농 고추가 평균 4.07 log CFU/g, 관행농 고추는 3.71 log CFU/g 검출되었고 상추는 유기농, 관행농에서 6.76-6.90 log CFU/g로 분석되었다. 토마토와 사과는 2종류 시료에서 각각 2.08-2.92 log CFU/g, 0.70-0.82 log CFU/g로 검출되었다. 쌀도 유기농과 관행농 시료에서 2.92-2.98 log CFU/g 범위의 세균분포를 보여주었으나 유기농 배에서는 4.48 log CFU/g, 관행농 배는 2.84 log CFU/g의 분포도를 보여 주었다. 분석시료에 따라 미생물의 분포에 많은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유기농과 관행농산물의 미생물분포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병원성 세균인 Cl. perfringen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 aureus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기농산물 2개(4%)와 관행농산물 3개(6%)에서 E. coil가 1.7 log CFU/g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유기농 6개(13%)가 1.97 log CFU/g수준으로, 관행농 11개(23%)에서 1.0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므로 유기농산물과 관행농산물에서의 일반세균과 병원성 세균의 오염정도는 차이가 거의 없고 이들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수준도 비교적 낮아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닫힌 바이얼 안에서 Pseudomonas putida에 의한 톨루엔 분해 (Toluene Degradation by Pseudomonas putida in Closed Vial)

  • 김희정;김인호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56-359
    • /
    • 2001
  • 톨루엔을 분해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 알려진 Pseudomonas putida를 이용하여 생분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톨루엔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호기적 조건으로 배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톨루엔을 포함하는 배지를 포함한 닫힌 계를 이용함으로써, 반응기 내에서의 톨루엔 분해와 미생물 성장에 관해 살펴보았다. 초기에 액상으로 접종하는 톨루엔의 농도를 변화시켰고, 이에 따른 headspace에서의 톨루엔의 농도와 미생물 균체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닫힌계에서의 톨루엔 생분해에 관한 물질 수지식을 세우고 이를 전산 모사함으로써, 실험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Pseudomonas putida의 resting cell을 이용하면 닫힌 계에서도 톨루엔을 분해할 수 있었고, 반응기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매개 변수를 통해 고찰하였다.

  • PDF

카드뮴 내성 Hansenula anomala 균주의 특성 (Characterzation of a Cadmium-ion Tolerant Strain of Hansenula anomala)

  • 유대식;송형익;정기택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7-61
    • /
    • 1986
  • 폐수중에 함유된 카드뮴을 미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정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아연 광산에서 고도 카드뮴 내성 효모 B-7을 분리하여 동정한 바 Hansenula anomala B-7 또는 그 유연끌으로 밝혀졌다. 이 효모는 농도 구배 한천 명판법에 의하여 $2,700{\mu}g/ml$의 카드뮴 농도에서도 내성을 나타내므로 고도 내성균으로 분류되었고 $1,000{\mu}g/ml$의 고농도 카드뮴 함유 액체 배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및 total polyphenol함량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 and Artemisia iwayomogi Kitam· Used as Injin)

  • 서경순;윤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16
    • /
    • 2011
  • 본 실험은 인진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의 항미생물활성을 검정한 것으로 추출용매에 따른 항미생물활성은 gram양성균 3종과 gram음성균 2종 모두에서 ethylacetate 추출물들이 ether추출물들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실험미생물 중 B. subtilis와 B. cereus에 대한 추출물들의 활성이 다른 실험미생물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났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이 사철쑥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보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최소저해농도는 ethylacetate추출물이 ether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더위지기와 사철쑥 부위별로는 잎과 줄기에서 잎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의 최소저해농도가 사철쑥 추출물들보다 낮았다.총 폴리페놀함량은 사철쑥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27.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잎 추출물에서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Butylated hydroxyanisole(BHA)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HT)의 미생물 성장 억제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Butylated Hydroxyanisole(BHA)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 임춘미;경규항;유양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0
    • /
    • 1987
  • Butylated hydroxyanisole (BHA)과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의 각 농도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한 미생물 중 3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loeckera apiculata, Cryptococcus hungaricus), 3종의세균 (Bacillus subtilis, Lactobacillus casei, Escherichia coli), 2종의 곰팡이 (Aspergillus oryzae, Penicillium sp.) 가 BH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성장이 점차적으로 억제되어 BHA 500ppm에서는 성장속도가 약간 느려졌고 BHA 100ppm 에서는 더욱 느려졌으며 (A. oryzae 는 완전 억제) BHA 150ppm에서는 대부분의 미생물 (S.cerevisiae, K.apiculata, C.hungaricus, B.subtilis, A.oryzae) 의 성장이 완전하게 억제되었으나 3종의 미생물 (L.casie, E.coli, Penicillium sp.)의 성장은 약간 억제되었을 뿐이다. BHT에는 2종의 미생물 (C.hungaricus, L.casei)만이 성장이 약간 억제되었고 시험 농도 범위에서는 기타 미생물에 대한 성장 억제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