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활성

검색결과 3,242건 처리시간 0.024초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Paenibacillus elgii DS381과 그 항균물질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by Paenibacillus elgii DS381 and its antimicrobial substances against microbial residents on human skin and pathogenic bacteria)

  • 이다솔;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4-253
    • /
    • 2018
  • 이 연구는 분리된 토양 세균에 의해 생성된 항균물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0여개의 세균 분리주 중 Paenibacillus elgii DS381이 여러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381 균주는 agar well diffusion test에서 모든 대상 세균과 효모에 대해 15.3~26.0 mm 직경의 저해대를 형성하였다. DS381이 생성한 항균 펩티드는 모든 대상 미생물에 낮은 최소저해농도 (0.039-5.000 mg/ml)를 나타내었다. DS381 균주는 lipopeptide 같은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나타내었는데, 배양 상등액의 표면장력을 60.0에서 40.3 mN/m으로 낮추었다. DS381은 또한 $1.56{\pm}0.13U/ml$의 chitinase 활성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P. elgii DS381이 일부 중요한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효율적인 생물제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배추 절임 중 반복사용 폐염수의 여과처리 효과 (Effects of Filt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Reused Waste Brine in Kimchi Manufacturing)

  • 윤혜현;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44-448
    • /
    • 2002
  • 김치 공장에서 배추 절임염수의 반복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농도 폐염수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이를 공업용수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모래와 활성탄을 여과장치에 활용하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배추를 5회 반복 절임수 사용 방식으로 절임하면서 발생하는 폐염수의 특성을 염도, 가용성 고형물, pH, 혼탁도, COD 및 미생물 총균수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3회 및 5회 절임에 사용한 폐염수를 모래(1차여과)와 활성탄(2차여과)에 통과시켜 여과한 다음, 여과 전후의 폐염수특성을 측정하여 폐염수에 대한 여과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염도, 가용성 고형물, 혼탁도 및 COD는 절임을 반복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여과처리에 의해 그 수치들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절임이 반복될수록 염수의 pH는 낮아져서 산성을 띠다가, 모래관 처리에 의해 중성의 pH 값을 가지게 되었고, 활성탄 통과 후에는 약알칼리성의 pH 값으로 증가하였다. 미생물 수 측정 결과는, 절임 반복에 의해 미생물 번식이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여과처리에 의해 초기염수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활성탄에 의한 흡착효과도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Aspergilluis oryzae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Aspergillus oryzae)

  • 이수연;이주실;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6-220
    • /
    • 1989
  • Aamylase 활성이 높은 Aspergillus oryzae와 알콜발효능이 있는 Saecharomyccs cerevisiae의 원형질체융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amylase 활성이 있는 A. oryzae의 종내원형질체를 융합시켜 이들융합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 균주의 mycellia로부터 원형질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lytic enzyme으로 Novozyme 234가 효과적이였고 완충용액의 pH는 5.5에서 6.0사이가 최적이었다. F usogen으로 30% PEG4,000를 사용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원형질체의 융합이 이루어졌으며 이들 융합체의 대부부은 heterokaryons이었다. 원형질체의 형태와 PEG처리후 융합되는 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원형질체의 재생율은 재생배지와 균주에 따라 1.46~14%이었고, A. oryzae 종내융합율은 0.12-0.16이었다. 융합체의 DNA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균주보다 약 1.5배정도 증가됨을 보였고 융합체들의 amylase 활성은 융합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냐타내었다. 가장 높은 amylase 활성을 나타낸 융합체들의 amylase 활성은 융합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amylase 활성을 나타낸 융합체 F2-2에 있어서는 야생균주 ATCC 22788의 그것보다 amylase 활성이 약 1.5배 가량 높았다.

  • PDF

자색고구마를 사용한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동치미 냉면육수 제조 (Making of Dongchimi Naengmyeun Broth Which Has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Purple Sweet Potato)

  • 서원택;김한곤;이진성;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3-150
    • /
    • 2011
  • 기능성이 밝혀져 있는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여 기호성과 영양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동치미 냉면육수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동치미 냉면육수 발효 과정에서 젖산균, pH, 산도, 유기산, 수용성 phenolics, anthocyanin,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특히,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경우 발효종기(72시간)에 수용성 phenolics 및 anthocyanins 함량은 각각 1.26 g/L 및 8.59 g/L로 대조실험과 비교하여 각각 5배 및 34배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96.80%, $ABTs^{+{\cdot}}$ 라디칼 소거활성 100.82%, 환원력 7.77 ($OD_{700}$), FRAP 6.89 ($OD_{593}$)로 대조실험과 비교하여 각각 4배, 1.2배, 2배 및 3.6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동치미 냉면육수의 항산화 활성은 자색고구마의 수용성 phenolics와 anthocyanins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기능성 동치미 냉면육수 제조가 가능하였다.

Aspergillus niger와 이종의 Yeast에 의한 Pectin Transeliminase의 생성 및 그 특성 (Pectin Transeminase produced by Aspergillus niger and two yeast species.)

  • 민경희;이영자;김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9-235
    • /
    • 1980
  • 1.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pombe 4683, Aspergillus niger의 세 종류의 균류를 2% 펙틴이 함유된 액체 배지를 사용하여 3$0^{\circ}C$에서 진탕 배양하여 pectin Transeliminase (PTE)를 생성 시켰다. 2. Asp. niger의 PTE의 생성은 두 종류의 효모균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들 효소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Asp. niger의 PTE는 효모의 그것에 비하여 대단히 높았다. 즉 환원력은 PTE 활성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3. PTE 효소에 의한 펙틴의 분해 산물은 4,5-unsaturate galacturonic acid임이 확인되었다. 4. 세가지 균류의 효소 환성의 최적 PH는 6.0이었고 최적 온도는 $50^{\circ}C$이었으며 온도에 의한 효소의 불활성도는 1$0^{\circ}C$에서 $50^{\circ}C$까지는 거의 없었으나 6$0^{\circ}C$ 이상에서는 점차 증가하였다. 5. 기질에 의한 PTE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Asp. niger의 경우 0.125%의 펙틴을 포함한 용액속에서는 그 활성이 촉진되었으나 그 이상의 기질 농도에서는 효소 활성이 오히려 억제 현상을 나타내었다. 두 종류의 효모균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6. 효소 황성에 미치는 KCI, NaCl, MgC $l_2$의 염의 최적 농도를 규명한 결과 KCI과 NaCl은 최저 2$\times$$10^{-4}$M에서 6$\times$$10^{-l}$ M까지의 농도에서는 Asp. niger와 Sac. cerevisiae 유래의 PTE의 활성은 계속 증가하였다. 반면 MgC $l_2$의 경우는 0.2M에서 효소활성이 최적이었다.

  • PDF

화학수식제에 의한 Bacillus alcalophilus AX2000 유래 Xylanase의 활성에 관여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확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Residues Involved in Xylanase Activity from Bacillus alcalophilus AX2000 by Chemical Modifiers)

  • 박영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1-128
    • /
    • 2006
  • Bacillus alcalophilus AX2000으로부터 xylanase를 정제한 후 효소의 활성부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화학수식제를 사용하여 효소활성의 저해도를 측정하였다. 여러 가지 화학 수식제 중에서 carbodiimide와 N-bromosuccinimide가 효소 활성을 완전히 저해시켜 glutamic acid또는 aspartic acid 잔기와 tryptophan 잔기가 효소의 활성부위에 관여하리라 추측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효소 실활은 수식제의 첨가농도에 따라 pseudo first-order kinetics 양식을 보여주었으며, carbodiimide와 N-bromosuccinimide는 각각 비경쟁적 저해와 경쟁적 저해방식을 나타내었다. 기질첨가에 의한 효소활성 보호실험을 통하여 tryptophan 잔기가 기질결합부위라 판단 되었다. 효소 실활속도의 분석에 의해 효소활성에는 2개의 glutamic acid 또는 aspartic acid 잔기와 1개의 tryptophan 잔기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의 생육억제에 대한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Petal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Microorganisms)

  • 정용진;이명희;이기동;박난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9-304
    • /
    • 1998
  • 전통민속주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온 국화꽃잎에서 에탄올 추출하여 식품부패에 관련된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활성과 최저 생육저해 농도를 조사하였다.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B.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소국은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산국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8종의 부패균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소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산국 에탄올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60-70${\mu}\ell$/ml로 나타났다. 산국 에탄올추출물은 그람양성세균에서 보다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다소 높았으나, 100${\mu}\ell$ 농도에서는 그람음성 및 양성 세균 모두 생육이 크게 저해되었다. 따라서 전통민속주의 보존효과 측면에서 산국 에탄올추출물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everal Native and Exotic Plants in Korea)

  • 김용옥;이은주;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53-357
    • /
    • 2000
  •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서식지 토양 pH를 측정한 결과 자생식물의 토양 pH범위는 5.33∼7.20인 반면 귀화식물의 토양 pH는 3.95∼6.10으로 자생종에 비하여 귀화종의 토양 pH가 낮았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에탄올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 Actinomycetes에 미치는 항균활성 은 자생식물보다 귀화식물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돼지풀의 추출액은 4개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특히 방선균에서 clear zone 이 48mm로 가장 크게 형성되었다. 8종류의 phenolic compound와 benzoic acid의 항균활성은 caffeic acid가 각 균주 에서 clear zone을 가장 크게 형성하였고 다음은 benzoic acid, ρ-coumaric acid의 순이였다. 즉 방선균에 대한 돼지풀의 항균활성은 phenolic compound들 간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촉매를 이용한 광학활성 에폭사이드 생산 (Biocatalytic Production of Chiral Epoxides)

  • 이은열;최원재;윤성준;김희숙;최차용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91-296
    • /
    • 1999
  • 광학활성 에폭사이드는 광학활성 의약품, 농약, 기능성 식품 제조용 핵심 유기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다. 광학활성 에폭사이드의 생물공학적 생산 사례로는 diltiazem 합성용 중간체인 methyl trans-3-(4-methoxyphenyl)glycidate를 lipase를 고정화한 중공사막 반응기를 이용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미생물 탈할로겐화반응을 이용하여 광학활성 epichlorohydrin 및 glycidol도 생산되고 있다. 생물공학적으로 광학활성 에폭사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알켄 등을 기질로 하여 monooxygenase나 perocidase 등을 이용하여 직접 에폭시화반응을 시키는 방법과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유래의 미생물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라세믹 에폭사이드를 광학분할시켜 얻는 방법이 있다. 특히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한 광학활성 에폭사이드 생산은 높은 광학순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라세믹 에폭사이드를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어 상업화 가능성이 우수하므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PDF

Penicillium oxalicum(HCLF-34)으로부터 분비되는 Anabaena cylindrica 세포벽 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Cell Wall Lytic Enzyme of Anabaena cylindrica from Penicillium oxalicum(HCLF-34))

  • 현성희;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6
    • /
    • 1999
  • Penicillium oxalicum 으로부터 세포외로 분비되는 Anabaena cylindrica 분해효소의 분자량은 renaturation SDS-PAGE에서 약 22kDa 으로 확인되었으며, 분해 효소의 농축은 ultrafiltration cut off fraction 중 30-10 kDa 구간에서 수획하였다. 최적 활성조건의 측정 결과 적정 pH는 3.5-4.0, 적정반응 온도는 $20^{\circ}C$, 그리고 온도 안정성은 $4^{\circ}C$ 이하에서 100% 이상, 20-$90^{\circ}C$ 범위에서는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금속이온 및 효소안정제의 영향에서는 $Na^+$,$K^+$, $Ba^(2+)$, $Mg^(2+)$, $Mn^(2+)$의 양이온과 BSA는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반면, $Ca^(2+)$, $Cu^(2+)$의 양이온과 EDTA, PMSF 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금속이온과 안정제의 영향에서 1가, 2가 양이온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고, $Fe^(3+)$, $Ca^(2+)$, $Cu^(2+)$의 양이온에 의해서는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는 대부분의 세포벽 분해효소가 갖는 특성과 유사한 결과였다. 분해효소는 A. cylindrica 과 Micrococcus. luteus 의 세포벽을 기질로 사용한 효소의 활성 반응에서 반응 시작 후 1시간에서 5시간 사이에 반응 산물로 환원당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