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생물학적 위해

Search Result 64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계면활성제에 따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생물학적 분해 양상

  • Kim Yeong-Mi;An Chi-Gyu;U Seung-Han;Park Jong-M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153-156
    • /
    • 2006
  • 유류오염토양의 자연복원 시 생물이용도(bioavailability)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제지 폐수로부터 분리한 미생물과 5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Brij 35, Brij 30, Triton X-100, Tween 40, Tween 80을 사용하였으며 유류오염물질로는 PAHs를 사용하여 계면활성제 별 미생물의 성장률 및 PAHs 분해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따라 서로 다른 미생물 성장 및 PAHs 분해능을 보였다. 계면활성제에 따른 미생물 성장은 Tween 계열에서 뚜렷했으며 이들 중 Tween 40에서는 PAHs의 분해능 또한 가장 활발하였다.

  • PDF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mmercial Side Dishes Purchased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Supermarkets in Daejeon (대전지역 일부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시판되는 반찬류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분석)

  • Kim, Mi-Sun;Kim, Min-Hee;Kim, Mi-Yeon;Son, Chan-Wok;Lim, Sung-Kee;Kim, Mee-Ree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5 no.1
    • /
    • pp.84-89
    • /
    • 2009
  • We evaluated the potential microbial hazard in approximately 19 kinds of side dishes purchased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supermarkets in the Daejeon area of Korea. The total microbial count in most of the side dishes except Kongjaban, Jwipo jorim, Anchovy bokkeum, Maneuljjong muchim, soy sauce red pepper jangachies, and Mumalraengyi purchased in traditional mark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side dishes purchased in supermarkets. By contrast, Escherichia coli was detected at a level of 4.82 log CFU/g in Jinmichae purchased from traditional markets.

Report of Eight Unrecorded Fungi from the Fire Blight Burial Control Soil in Korea (과수화상병 매몰방재지 토양에서 분리된 8종의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 Hyeongjin Noh;Huiju Seo;Seong Hwan Kim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51 no.4
    • /
    • pp.447-460
    • /
    • 2023
  • Fire blight, a plant disease caused by Erwinia amylovora, continues to cause considerable damage to fruit-bearing trees belonging to the Rosaceae family, such as apples and pears. In Korea, to hinder its rapid spread diseased apple and pear trees have been buried since its first occurrence. To determine the safety of this control method, the buried plant materials and adjacent soil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microbiota of the buried soil, Bisifusarium allantoides, Botryotrichum domesticum, Microascus verrucosus, Paraphoma pye, Phaeosphaeria culmorum, Ramophialophora globispora, Sordaria tomentoalba, and Striaticonidium brachysporum were identified a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o report the above eight species as Korean unrecorded species, we report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features in this study.

사상균이 생산하는 Xylanase에 관한 연구 제1보 Xylanase 생성과 그 성질

  • Bae, Moo;Kim, Byung-Hong;Lee, Gye-Jun;Kang, K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8.04a
    • /
    • pp.97.2-97
    • /
    • 1978
  • 숙성한 퇴비에서 16종의 사상균을 분리하고 이들의 xylanase 및 cellul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효소활성이 강한 6 균주를 선별하고 이들의 형태학적 특성을 속까지 동정하고 선별된 균주가 생산하는 xylanase와 cellulase의 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배양기질에 따른 효소생산량 산량을 비교하기 위해 cellulose와 xylan으로 배양한 후 이들을 분해하는 효소활성의 비 즉 xylanase/cellulase 비를 계산하고 이들 효소의 일반 성질을 검토하였다. 차후 연구에서 이들 효소를 분리, 정제하기 위해 acetone에 의한 침전성을 아울러 실험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 Probiotic Candidate Isolated from the Gastrointestinal(GI) track of flounder

  • 정현미;박기돈;구본탁;김진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44-445
    • /
    • 2000
  • 계절, 서식 환경의 구분없이 발병하는 병원성 미생물로 인하여 어류의 감염피해 및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며 병원성 미생물을 저해하기 위해 투여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내성을 갖는 세균들의 출현 위험성이 상재하고 있다. 따라서 항생제 사용에 대한 효과 감소는 물론 과량 투여에 따른 양식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환경 친화적이며 어병의 효율적인 생물학적 제어를 시도하기 위해 어류의 gastrointestinal(GI) track으로부터 수산용 probiotic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여 앞으로 수산용 probiotic으로서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Microbial Population in the Gangjin Bay Ecosystem (강진만 생태계에서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군집의 계절적 분포)

  • 김기성;이우범;주현수;이제철;조재위;전순배;이성우;바공천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6 no.4
    • /
    • pp.285-291
    • /
    • 2000
  •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seven stations at water region of Gangjin bay, nutritive salts,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uspended solid, salinity, COD, DO, pH, heterotrophic bacteria, fungi and fecal coliform were analysed four times from February to October, 1999. Total fecal coliform and heterotrophic bacterial population during investigation periods ranged 16.1~166.0 CFU/ml and $5.0{\times}10^3$~$13.1{\times}10^3$CFU/ml, respectively. Stational mean values of these bacterial population showed higher densities at the inlet of fresh water inflow than those of other stations. When the aspects of abiotic and biotic parameters measured were analyzed, ecosystem of Gangjin bay was regulated by factors such as inflow of fresh water, nutrient salts, salinity and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during four seasons.

  • PDF

Combined Effects of Sanitizer Mixture and Antimicrobial Ice for Improving Microbial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저온 저장 중 절임배추의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을 위한 혼합 살균제재와 항균성 얼음 병합처리 효과)

  • Choi, Eun Ji;Chung, Young Bae;Han, Ae Ri;Chun, Ho 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11
    • /
    • pp.1715-1724
    • /
    • 2015
  • The combined effects of a sanitizer mixture solution and antimicrobial ice on the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s were examined. Salted Chinese cabbages were treated with a sanitizer mixture (comprised 50 ppm aqueous $ClO_2$ and 0.5% citric acid), packed in 2% brine and antimicrobial ice, and stored for 12 days at 4 and $10^{\circ}C$. Microbiological data on the salted Chinese cabbages after washing with the sanitizer mixture indicated that the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yeast and molds decreased by 2.20 and 1.28 log CFU/g after treatment with the sanitizer mixture. In addition, coliforms popul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 after 12 days storage at $4^{\circ}C$ in the combined mixture of the sanitizer and antimicrobial ice was 3.22 log CFU/g, which was a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5.46 log CFU/g). The combined treatment of sanitizer mixture, antimicrobial ice, and low temperature at $4^{\circ}C$ suppressed reduction of pH and elevation of titratable acidity, resulting in delaying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Differences in salinity, hardness, and Hunter's $L^*$, $a^*$, and $b^*$ values among treatments were negligible during storage at $4^{\circ}C$.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mbination of sanitizer mixture, antimicrobial ice treatment, and low temperature storage could improve the microbial safety and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s during storag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rm-made organic liquid fertilizers (농가자가제조 유기농액비의 미생물학적 특성 구명)

  • An, Nan-Hee;Suh, Jang-Sun;Yoo,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09-309
    • /
    • 2009
  • 국내외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농업환경보전 및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면서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이지고 있다. 친환경농업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양분종합관리 및 병해충종합관리등을 통해 저투입하는 농법과 화학비료와 농약의 대체 농자재를 사용하는 유기농법으로 나누어져 있다. 대체 농자재는 목초액, 키토산 등 시판되는 자재를 비롯하여 천혜녹즙, 한방영양제, 아미노산액비 등과 같이 농가를 중심으로 자가 제조되어 활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대부분 효능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고 임의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농가 자가제조 유기농액비의 미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여 유기농 액비의 농업적 활용 제고를 위한 표준화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농가자가 제조 유기농액비는 성환과 제주에서 5점을 수집하여 액비의 화학성과 미생물상을 비교하였다. 액비 제조시 종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엽토를 5지역에서 채취하여 세균군집의 차이를 보기위해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수집된 액비의 화학성 분석결과, pH는 3.3~4.3로 강한 산성을 나타났으며 EC는 $32.8dS{\cdot}m^{-1}{\sim}552.33dS{\cdot}m^{-1}$ 이었다. 수집된 액비내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 세균과 방선균은 존재하였지만 사상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성환에서 수집된 액비로부터 세균을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Bacillus속으로 95%이상의 높은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비 발효 시 종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엽토의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 지역에 따라 세균은 0.8~$110{\times}10^5cfu{\cdot}g^{-1}$, 방선균은 1.0~$10.9{\times}10^4cfu{\cdot}g^{-1}$, 그리고 사상균은 2.6~$64{\times}10^3cfu{\cdot}g^{-1}$의 균수를 보였다. 부엽토간의 세균군집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DGGE를 수행한 결과, gel 상에서 다양한 위치의 밴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엽토별로 공통적 및 특이적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Device for Biomedical Applications

  • Kim, Yun-Jung;Kim, Jung-Gil;Jeong, Jong-Yun;Han, Guk-Hui;Lee, Min-Gyeong;Cha, Deok-Bong;Han, Sang-Ho;Park, Gyeong-Su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61-461
    • /
    • 2012
  • 미생물 처리에 적용하기 위한 저주파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Device를 고안하였다. 현재 생의학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Plasma Jet Device는 가스를 주입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Plasma Jet Device의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Media의 흔들림과 증발 유발시키며 미생물에게 영향을 미친다. 가스 배출에 의한 영향을 없애기 위해 가스 주입이 없는 Plasma 발생 장치를 제작 하고, 미생물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Plasma 발생 장치는 대기 중에서 방전된다. 가스의 주입 없이 낮은 방전 전압과 균일한 플라즈마의 발생을 위해 Plasma 발생 장치의 접지 전극으로 Mesh를 사용 하였다. 본 Plasma 발생 장치로 발생된 Plasma를 곰팡이(Fusariumgraminearum)에 조사한 결과, 조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배양된 곰팡이의 Colony 수가 Plasma를 조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곰팡이 Colony의 크기도 줄어들었다.

  • PD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in the Processing of Korea Rice Cakes (떡류의 제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 Jeong, Se-Hee;Choi, Song-Yi;Cho, Joon-Il;Lee, Soon-Ho;Hwang, In-Gyun;Na, Hye-Jin;Oh, Deog-Hwan;Bahk, Gyung-Jin;Ha, Sang-Do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7 no.2
    • /
    • pp.161-16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Korea traditional rice cakes such as Sirutteok, Garaetteok and Gyeongda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environment.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such as total aerobic bacteria, fungi,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of rice cake products were analyz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fungi and B. cereus in raw materials were in the range of 2.4~4.5, ND~1.9, 1.2~2.1 and 1.0~2.1 log CFU/g, respectively.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fungi and B. cereus in manufacturing process of rice cakes were increased in the soaking and grinding steps and were decreased in steaming step. E. coli, S. aureus and C. perfringens were not detected in any manufacturing process and environment.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raw materials and final products of rice cake were suitable for microbial safety standard in Korea. However,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such as equipments and employee's sanitation were in trouble for microbial saf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afety educatio n for personal hygiene and safetymanagement in processing environment are continuously required to assure safety in working environment and employee's individual hygi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