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생물암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Review on Microbialites: a Korean Perspective (미생물암에 대하여: 한국적 관점)

  • Lee, Jeong-Hyu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4
    • /
    • pp.291-305
    • /
    • 2015
  • Microbialites are defined as rocks formed by microbial organisms. After their first appearance around 3.5 billion years ago, microbialites occur in various depositional environments throughout geological periods. Microbial organisms form microbialites by trapping and binding detrital sediments and/or precipitating carbonate cements, resulting in formation of various microstructures and mesostructures. Four major types of microbialites are distinguished based on their mesostructures: stromatolite, thrombolite, dendrolite, and leiolite. In the geological records, occurrences of microbialites are influenced by calcium carbonate saturation of seawater and interaction of microbialites with metazoans. Stromatolites mainly flourished during the Precambrian, and diminished as level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 declined. On the other hand, thrombolites, mainly formed by calcified microbes, began to flourish from the Neoproterozoic. As metazoans diversified in the Phanerozoic, proportion of the microbialites within sedimentary record declined. Since then, microbialites only occasionally flourished during the Phanerozoic, such as shortly after mass-extinction events. In the Korean Peninsula, microbialites occur in the Neoproterozoic Sangwon System, the Early Paleozoic Joseon Supergroup, and the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which form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ir ag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By performing detailed studies on these Korean microbialit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microbes affected geological records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as well as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organisms.

이달의 과학자 - 서울대 자연대 미생물학과 강현삼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4 s.335
    • /
    • pp.49-50
    • /
    • 1997
  • 동물복제ㆍ인간복제로 떠들썩한 요즈음 우리나라에서 유전공학 바람을 일으키는 주축으로 활약하고 있는 서울대 자연대 미생물학과 강현삼교수. 강교수는 원숭이에서 암을 유발시키는 SV40 바이러스가 가진 암유발유전자와 형질 변형시킨 사람의 각질세포를 이용한 조직배양 실험을 통해 인슐린 등 생존요소를 투입할 경우 아폽토시스 과정을 촉진시켜 암을 억제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해 관심을 끌고 있다.

  • PDF

유산균의 항암효과

  • 배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15-17
    • /
    • 1997
  • 암 발생의 원인 중 80% 이상이 식사습관과 환경오염에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음식물, 담배, 술, 대기오염, 스트레스, 자외선이 그 대표적인 원인물질로 꼽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매일 섭취하는 음식물이 가장 중요한 발암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에 대한 Wynder 등의 역학조사에서도 식사습관이 암 발생에 중요함을 시사 하고 있다.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다량 섭취가 대장암과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 시키고 섬유질이 풍부한 곡류와 야채의 섭취는 대장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상관관계가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가 늘 섭취하는 음식물 자체는 대장암과 유방암을 유발하는 기능이 거의 없다. 섭취된 음식물이 암을 일으키려면 장내 부패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하여 발암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발암물질들이 장관으로 흡수 자극함으로써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반대로 일부장내 미생물들은 장내 발암물질들을 무독화 하거나 숙주의 면역기능을 증강 시킴으로써 암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itsuoka는 장내 미생물이 암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하였다. Veer 등은 유산균 발효유를 많이 섭취하면 유방암 발생이 억제됨을, 국제암연구위원회는 섬유질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핀란드 쿠피오의 거주자들에게는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대장암 발생율이 1/4에 불과하고 분변내 유산간균수는 100배 높은 사실을 역학조사에서 밝혔다. 이 외에 유산균과 발효유제품의 항암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여기에서는 유산균의 항암효과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련 자료들을 요약, 정리하여 고찰하고자 한다.높은 당 함량을 나타냈으며, T-AS는 70.3%의 당과 7.8%의 단백질로 구성 되었다. GLG 대부분의 분획들은 60~93%의 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으며, 주로 $\beta$-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 이었다. 아미노산은 Asp 및 Glu의 산성 아미노산과 Ala, Leu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칼리 추출물에서 Ser과 Thr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는 평균 분자량이 2,000 kD와 12kD에서 주 peak를 나타냈으며, 수용성 분획의 평균 분자량은 12kD이고 비수용성 분획은 36~2,000 kD의 평균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R과 NMR 분석 결과 890 cm-1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어 $\beta$-(1,3)0glucan과 $\beta$-(1,6)-glucan의 구조를 갖는 다당류로 확인 되었다. T-AS 분획은 C:H:O:N의 함량비가 38.9:5.7:49.6:1.84%이며, 이 물질의 융점은 163 $^{\circ}C$로 연한 갈색을 나타낸다. 분리된 GLG의 항암활성 기전 규명을 위해, in vivo 항암실험, 항보체 활성능, 항체 생성능, serum protein 분비능, 대식세포의 탐식능과 활성능 및 세포간 물질 분비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당류 GLG 분획물들 가운데 항보체의 활성이 높았던 분획은 sarcome 180에 대한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당류 T-AS의 보체 활성화 기작은 classical과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의 양 경로를 통해 활성화 되었다.

  • PDF

농장탐방 - 곤지암농장(육계) - 최적의 환경 조건 고려하는 '곤지암 농장'

  • Choe, In-Hwa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4 no.4
    • /
    • pp.124-127
    • /
    • 2012
  •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곤지암농장'은 닥트환기 관리시스템 도입과 생균제 사용으로 농장 운영에 새 맛을 느끼고 있다. 양압식 닥트 환기시설로 신선한 공기를 농장 내부로 유입시켜 최대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닭이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고 복합 배양 미생물 생균제 사용으로 사료효율개선, 닭고기 품질 향상, 난방비 절감, 악취 감소 효과를 보고 있었다. '곤지암농장'은 5만수 규모의 24일령 된 육계가 사육되고 있었으며 일주일 후 출하를 앞두고 있었다. 이 지원 사장을 만나 농장운영체계와 육계산업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았다.

Mass Analysis of Isoflavones in Chungkookjang (청국장에 존재하는 Isoflavone의 Mass분석)

  • Yoo, Hyung-Jae;Hwang, Jae-Sung;Kim, Han-Bok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3 no.1
    • /
    • pp.54-58
    • /
    • 2007
  •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contains microorganism, enzyme, and diverse bioactive compounds. Isoflavones in Chungkookjang might suppress breast and prostate cancers. Using HPLC and Mass analyses, it was found that 100% ethanol extract of Chungkookjang contains aglycone forms such as genistein, daidzein, and glycitein. 8-OH-genistein, 8-OH-daidzein were not found. There are two estrogen receptors, $ER{\alpha},ER{\beta}$. $ER{\alpha}$ might stimulate proliferation of breast and prostate cancer cells, and $ER{\beta}$ might suppress their growth. Using yeast transactivation assay under the control of human ER expression, it was demonstrated that isoflavones in Chungkookjang can stimulate $ER{\beta}_{1}$, selectively.

Structural Disorganization of Intestinal Tumor Spheroid by Microbial Ribotoxins (방사선 모사 미생물 유래 리보솜 스트레스에 의한 대장암 스페로이드 구조 결함 유발)

  • Kim, Juil;Kim, Joongkon;Yu, Mira;Moon, Yuseo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47 no.1
    • /
    • pp.164-171
    • /
    • 2019
  • Radiation therapy has many side effects, such as digestive mucosal ulcers, without regard to its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an alternative method to replace the limitation of radiation therapy using radiomimetic microbial ribotoxins. In the evaluation of cancer therapy, we analyzed the formation of colorectal cancer (CRC) cell spheroids, which can take into account the heterogeneous cellular constitution, tumor stem cells, and the surrounding microenvironment. Ribotoxic stress interfered with the spheroid structure composed of relatively small clusters. Spheroids under ribotoxic stress were structurally sparse and their shrinkage was very slow. In the control group, the clusters of strongly aggregated cells were resistant to physical stress, but the ribotoxic stress-exposed spheroids were easily broken up by the physical stress. Moreover, the ribosome-insulted CRC cells slowly migrated to form clusters and the cell-cell junctional points in the ribosome-insulted spheroids were rarer than those in the control CRC spheroid. Moreover, levels of the cell-to-cell junctional protein E-cadherin were suppressed by ribotoxic stress in both allograft and xenograft spheroids. In conclusion, the radiomimetic microbial ribotoxins induced structural defects in CRC cell spheroids via retardation of migration and cell-cell junction in the 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nd provides a basis for the mechanism of pharmacological radiomimetic anticancer actions as an alternate to radiotherapy against cancer.

Resistant Starch (저항전분)

  • 신말식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2 no.2
    • /
    • pp.29-38
    • /
    • 1999
  • 저항전분(RS)은 건강한 사람의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는 전분이나 전분질 식품의 부분이다. 저항전분은 4가지 형태로 구분하는데 RS 1은 물리적으로 효소와 만나지 않는 부분, RS 2는 생전분으로 감자, 바나나와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 RS 3는 노화된 전분 그리고 RS 4는 화학적으로 변성시킨 전분이다. RS 함량은 열에 안정한 $\alpha$ -아밀라아제나 pancreatin, pancreatic $\alpha$ -아밀라아제와 미생물에서 분리된 아밀라아제 등을 이용한 몇 가지 방법에 의해 분석되고 있다. RS는 대장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단쇄지방산을 생성하는데 특히 부티릭산이 생성된다. 아세트산이나 프로피온산은 간의 대사에 영향을 주며 부티릭산은 항 종양(항 대장암) 특성이 있다. RS는 소화가 되지 않아 저열량원이므로 당뇨병 환자나 운동에 의한 혈당 조절이 필요할 때 조절능력을 갖는다. RS가 건강에 중요한 인자임이 알려지면, 건강을 위해 매일 섭취량의 증가를 권장해야 할 것이다.

  • PDF

Impact of Microbiota on Gastrointestinal Cancer and Anticancer Therapy (미생물 균총이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미치는 영향)

  • Kim, Sa-Rang;Lee, Jung Mi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2 no.5
    • /
    • pp.391-410
    • /
    • 2022
  • Human microbiota is a community of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fungi, and viruses, that inhabit various locations of the body, such as the gut, oral, and ski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tabolomic analysis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iques for 16S ribosomal RNA, it has become possible to analyze the population for subtypes of microbiota, and with these techniqu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bacterial microbiota are involved in the metabolic and immunological processes of the hosts. While specific bacteria of microbiota, called commensal bacteria, positively affect hosts by producing essential nutrients and protecting hosts against other pathogenic microorganisms, dysbiosis, an abnormal microbiota composition, disrupts homeostasis and thereby has a detrimental effect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various types of diseases.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oral and gut bacteria of microbiota are involved in the carcinogenesis of gastrointestinal tumors and the therapeutic effects of anticancer therapy, such as radiation, chemotherapy, targeted therapy, and immunotherapy. Studying the complex relationships (bacterial microbiota-cancer-immunity) and microbiota-related carcinogenic mechanisms can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cancer and developing new cancer treatments. This review provides a summary of current studies focused on how bacterial microbiota affect gastrointestinal cancer and anticancer therapy and discusses compelling possibilities for using microbiota as a combinatorial therapy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ects of existing anticancer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