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생물다양성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미생물이 생산하는 새로운 대사길항물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ew Antimetabolites Produced by Microorganisms)

  • 박부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87-196
    • /
    • 1978
  • 미생물이 하는 생산하는 대사길항물질을 screening 한 결과 최소검정배지상에서 Gram 양성균과 Gram 음성균에 다같이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L-aspar tic acid와 L-g1utamic acid에 의하여 길항당하는 물질 N-2292를 생산하는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본 생산균을 분류동정한 결과, Streptomyces albulus 로 보거나 혹은 그 유연균으로 동정하였다. N-2292물질의 배양조건을 검토하여 최적조건에서 대량 배양하고 주로 ion 교환수지, Dowex 50을 사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정제하였으며 배양액 약 10ι에서 약 40mg의 백색분말을 얻었다. 본물질은 그 의 이화학적 성질로 보아 indole 화합물을 함유하는 peptide 양 물질임을 추정할 수가 있었다. 생물학적 성질은 최소검정배지상에서 Gram 양성 및 Gram 음성세균에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항균력은 L-Asp. 및 L-Glu.의 첨가에 의해서 조해당하였다.

  • PDF

Quinone profile를 이용한 하천생태계의 미생물군집구조 해석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River Ecosystem Using Quinone Profiles)

  • 임병란;이기세;안규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85-690
    • /
    • 2006
  • The differences in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between planktonic microorganism and biofilm in rivers were investigated using respiratory quinone profiles. The compositions of microbial quinone for 4 tributaries of the Kyongan Stream located in/flowing through Yongin City, Gyeonggi-Do were analyzed. Ubiquinone(UQ)-8, UQ-9, menaquinone(MK)-6 and Plastoquinone(PQ)-9 were observed in all samples of planktonic microorganism and biofilm for the sites investigated, Most planktonic microorganism and biofilm had UQ-8(15 to 30%) and PQ-9(over 30%) as the dominant quinone typ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xygenic phototrophic microbes(cyanobacteria and/or eukaryotic phytoplankton) and UQ-8 containing proteobacteria constituted major microbial populations in the river. The quinone concentration in the river waters tested, which reflects the concentration of planktonic microorganisms, increases with increasing DOC. Further research into this is required. The microbial diversities of planktonic microorganism and biofilm calcula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all quinones were in the range from 4.2 to 7.5, which was lower than those for activated sludge(ranging from 11 to 14.8) and soils(ranging from 13.4 to 16.8). The use of quinone profile appears to be a useful tool for the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river.

간헐포기MBR공정에서의 하수처리성능과 미생물의 군집구조해석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astewater in the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

  • 임병란;안규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79-685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treatment performance of domestic wastewater in lab-scal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operated with anoxic-oxic cycles. Respiratory quinone profiles were applied as tools for identifying different bacterial populations. The cycle time program of bioreactor was control under anoxic/oxic of 60/90 minutes with an hydraulic retention time of 8.4 hrs. The average $COD_{Cr}$ removal efficiency of domestic wastewater was as high as 93%. The results showed complete nitrification of $NH_4^+$-N generated during oxic period and up to 50% of the total nitrogen could be denitrified. The dominant quinone types of suspended microorganisms in bioreactor were ubiquinone (UQ)-8, -10, followed by menaquinone (MK)-6, and MK-7 for anoxic period, but those for oxic period were UQ-8, MK-6, followed by UQ-10 and MK-7. The microbial diversities of bioreactor at anoxic and oxic periods, calcula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all quinones were 10.4 and 12.2-11.8,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treating domestic wastewater was slightly affected by intermittent aeration.

Streptomyces sp. 182-27 균주가 생산하는 아미노산 대사길항물질의 정제와 특성 (Isolation and Properties of Amino Acid Antimetabolite from Streptomyces sp. 182-27)

  • 박부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5-343
    • /
    • 1992
  •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길항물질을 screening한 결과 최소검정배지에서 Gram 양성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내고 L-leucine에 의하여 그 항균활성이 길항당하는 182-27 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을 토양에서 새로이 분리하였다. 본 생산균을 분류 동정한 결과, 유연균을 찾아볼 수가 없고 신 균종으로 동정하기에는 많은 type culture와의 비교분류를 하여야만 하므로 여기서는 다만 기균사의 포자형성과 세포벽 성분의 조성, 형태학적 성상 등으로 보다 Streptomyces sp.로만 동정하였다. 182-27 균주의 배양조건을 검토하고 최적조건에서 대량 배양하여 그 배양여액으로부터 이온교환수지,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등에 의하여 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였으며 배양액 약 20$\ell$에서 약 20mg의 백색분말을 얻었다. 182-27 물질은 그의 이화학적 성질로 보아 아미노산 유연물질로 추정할 수가 있으나 그의 화학구조는 아직 밝히지 못했다. 생물학적 성질은 최소검정배지상에서 Gram 양성균에 항균력을 나타냈고 이러한 항균력은 L-leucine의 첨가에 의해 저해 당했다.

  • PDF

훼손된 산불토양의 미생물다양성 (Microbial Diversity in the Soil Damaged by a Forest Fire)

  • 정영률;송인근;김진용;이신근;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2호
    • /
    • pp.85-90
    • /
    • 2005
  • 산불로 훼손된 토양 미생물군집의 생화학적,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0년에 산불이 일어났던 강릉지역에서 자연복원지 토양(NS), 인공복원지 토양(AS), 정상토양(NS)을 표토층과 심토층에서 채집하였다. 생화학적 다양성 분석을 위해 각 시료를 BIOLOG system에 직접 적용하였으며 통계처리(SPSS)를 통해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군집의 유전적 다양성은 토양 미생물의 16S-rDNA를 증폭하여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연복원지의 심토와 표토, 정상토양의 표토에서만 70% 이상의 생화학적 다양성이 나타났으나, 유전적 다양성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53%에서 68%의 범위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미생물 군집의 생화학적 다양성이 반드시 유전적 다양성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Bacillus stearothermophilus로 부터 Endo-xylan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n Endo-xylanase Gene from Bacillus stearothermuphilus into Escherichia coli)

  • 조상구;박성수;박영인;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1-279
    • /
    • 1992
  • 내알카리성 및 내열성 xylanase를 생산하는 토양분리균인 Bacillus stearothermophilus의 chromosomal DNA와 pBR322 plasmid DNA의 HindIII 절단 DNA 단편을 ligation 시켜 E.coli HB101들 형질전환, 약 5천개의 형질전환체를 얻었으며 이들 중에서 세개의 xylanase 양성 형질전환체를 분리하였다. 상기 세 xylanase 양성 형질전환체들로부터 분리한 제조합 plasmid(pMG11, pMG12 및 pMG13)는 다 같이 xylanase 활성과 관계되는 B.stearothermophilus 유래의 동일 4kb 외래 DNA를 가지고 있었으나, pMG13은 외래 DNA의 삽입 방향만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 PDF

토양 및 퇴적토 환경 시료로부터 DNA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Current Methods for Extracting DNA from Soil and Sediment Environmental Samples)

  • 유근제;이재진;박준홍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3호
    • /
    • pp.57-67
    • /
    • 2009
  • 토양미생물은 토양 및 퇴적토 환경에서 생물학적 물질순환의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토양미생물 생태 다양성과 군집구성이 토양 및 퇴적토 생태환경과 자연저감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한 다양성과 군집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토양 및 퇴적토 시료로부터 분석에 필요한 DNA수율과 순도를 확보해야 한다. 지금까지 토양 및 퇴적토에서 DNA추출하는 방법들에 대한 다양한 기초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실제 환경생태영향평가와 분해기능평가에 사용시 DNA추출방법 선정에 대한 지침 및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서 다양한 방법들의 토양 및 퇴적토 내 미생물 DNA 추출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DNA추출방법을 토양 및 퇴적토 환경평가나 오염지하수토양 자연저감능평가에 활용 할 경우 고려해야 할 기술적 사항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하나의 특정 추출 방법으로는 미생물다양성, 군집구성 및 개체간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얻기에는DNA양과 순도 차원에서 충분하지 않으며, 토양 및 퇴적토 미생물 군집분석의 목적에 따라 적합한 방법의 선택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가야시대 고분 및 부장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다양성 조사 (Microbial Diversity inside Ancient Tombs and Burial Accessories from Gaya Age)

  • 하병석;고선철;조아름;김승락;김상우;노현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7-73
    • /
    • 2013
  • 가야시대(경남 의령, 아라가야) 돌덧널무덤 5호와 6호의 부장품 속에서 채취한 12개의 토양시료에서 곰팡이균 9종과 세균 70종을 순수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의 16S 및 18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5호 고분에서 곰팡이 5 균주, 세균 10 속, 22 균주가 발견되었으며, 6호 고분에서는 곰팡이 1 균주, 세균 6 속, 28 균주가 발견되었다. 5호 고분의 높은 미생물다양성으로 미루어 5호 고분이 6호 고분보다는 좀 더 미생물 성장에 좋은 기후조건(여름이나 초가을)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5호 고분에 부장된 대도의 표면에서 동물의 피부에 서식하는 Staphylococcus warneri와 갯벌에서 서식하는 해양성세균 인 Bacillus aquimaris와 같은 독특한 세균이 발견됨에 따라, 매장당시의 의식에 육류와 해산물이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생물학적 연구가 역사학 연구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Staphylococcus aureus 유래 비금속성 이성화효소인 Tagatose-6-phosphate Isomerase의 기질다양성 (Substrate Variety of a Non-metal Dependent Tagatose-6-phosphate Isomerase from Staphylococcus aureus)

  • 오덕근;지은수;권영덕;김혜정;김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6-111
    • /
    • 2005
  • 비금속성 이성화효소로 추정되는 Staphylococcus aureus의 tagatose-6-phosphate isomerase(E.C. 5.3.1.26)의 기질다 양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그 구조유전자(lacB;510bp와 lacA;430bp)를 대장균에서 동시발현하였다. 알려진 기질 이외에 D-ribose와 D-allose에 대해 이성화활성이 새롭게 관찰되었다. EDTA 1 mM 존재하에서도 D-ribose와 D-allose에 대하여 각각 EDTA 비존재 조건에 대비하여 $95\%,\;75\%$의 이성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미루어 tagatose-6-phosphate isomerase가 비금속성 이성화효소임을 밝혔다. 이때 lacA 또는 lacB의 단독발현시에는 이성화활성이 전혀 밝견되지 않았다. D-Ribose와 D-allose에 대한 기질친화상수 ($K_m$)은 각각 26 mM와 142 mM였다.

2003년 태안지역에서 황사 부유분진의 미생물학적 동정과 금속 성분 및 농도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tal Components i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during Yellow Sand Phenomena at TaeAn Region in 2003)

  • 배강우;김윤섭;김종호;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2호
    • /
    • pp.167-173
    • /
    • 2005
  • 연구배경 : 황사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3월에서 5월까지 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사람에게 만성 기관지염을 악화시키고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사기간 중 부유분진 중의 무기이온 성분과 금속성분의 분석에 대한 연구와 천식 등 호흡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아직까지 황사의 부유분진중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황사 현상시 부유분진 중에 박테리아,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의 검출유무와 종류를 알아보고 금속 성분 및 농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시료의 채취는 충남 태안군 파도리에서 cascade impactor(AN-200, USA)를 설치하여 1시간 동안 얻었으며 채취는 황사현상 기간과 비황사기간중 각각 한번씩 시행하였다. Cascade impactor에 의해 채취된 부유분진중의 미생물 검사는 cascade impactor내에 있는 여과지를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의 배지(4종, influenza, parainfluenza, adenovirus, RSV)에 옮긴 후에 배양하여 분석하였다. 금속 성분의 분석은 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조사 대상 지역의 황사기간과 비황사 기간 중 부유분진의 농도는 각각 80.2, $40.3g/m^3$ 이었다. 부유분진 중 XRF로 분석한 금속성분은 알루미늄과 규소, 황, 칼륨과 칼슘, 철 등 대부분의 금속이 비 황사 기간에 비해 황사 기간에서 농도가 높았다. 미생물 검사 결과상 그람 양성균은 Bacillus specie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자랐으며 황사기간보다 비 황사 기간동안 채취한 시료에서 오히려 더 많은 단계의 여과지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나 두 기 간에서 자라는 균주의 종류에는 차이가 없었다. 진균 배양은 비 황사 기간동안 Mucor species, Cladosporum, Alternaria, Aspergillus, Penicillium, Alternaria등의 진균들이 자랐으며, 황사 기간동안은 Penicillium과 Alternaria, 그리고 다른 mold form fungus들이 자랐다. 바이러스와 그람 음성균은 두 기간 다 자라는 균주는 없었다. 결 론 : 이 연구는 황사 기간동안 대기분진 중에 포함된 미생물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황사 현상시 미생물의 검출 종류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개체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금속 성분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농도는 황사 현상시에 더 높은 수치를 보여 황사현상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의 주의와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