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분탄 연소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ross-section micrography of burning pulverized coal particles (연소중 미분탄의 단면관측)

  • 한재현;최상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4
    • /
    • pp.717-725
    • /
    • 1989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combustion behavior of pulverized coal particles was performed using the cross-section micrography techniques while sample coal particles were collected in-situ from the flow reactor. The coal particles were representative of pulverized bituminous coal undergoing a raped pyrolysis and combustion, however, quenched at the time when the particles were deposited onto a sample pl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coal was observed to change as deposited. Upon injection into a flow reactor, bituminous coal particles showed many holes which represented internal pore formation during the pyrolysis. The relative portion of the remaining matrix of coal was decreasing as the residence time progressed. This direct observation of cross-section of burning particles enabl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al combustion behavior.

3-Dimensional Model for Pulverized Coal Combustion (미분탄 연소로의 난류 유동장 및 반응장 해석을 위한 3차원 모델)

  • 이경옥;서경원;최병선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 no.1
    • /
    • pp.76-86
    • /
    • 1992
  • A three-dimensional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pulverized coal combusters and gasifiers. Coal devolatilization, heterogeneous char oxidation, gas particle interchange, radiation, gas phase oxidation, primary and secondary stream mixing, and heat losses are considered. A finite difference method was used to solve the ordinary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The effects of primary and secondary stream flow ratio and coal particle size are investigated.

  • PDF

Flame Propagation and NO Formation Characteristics in Oxy-fuel Pulverized Coal Combustion (순산소 미분탄 연소에서 화염전파와 NO 생성 특성)

  • Moon, Cheor-Eon;Choi, Gyung-Min;Kim, Duck-Jool;Kim, Tae-Hyung;Seo, Sang-Il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9.06a
    • /
    • pp.365-366
    • /
    • 2009
  • 미분탄 순산소 연소는 기존의 연소 방법과는 달리 산화제로 O2/CO2를 사용함으로써 NOx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농도의 CO2를 쉽게 회수 할 수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NOx의 배출저감을 위한 기술로는 로 내에서의 재연소(reburning), 단계(staging) 연소등이 있으며, 후처리 NOx 저감기술로는 SCR, SNCR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미분탄 순산소 연소조건에서는 화염 안정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염의 안정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화염전파속도에 대해 미분탄 순산소 연소에서 석탄 입자의 물성치와 주위 기체의 특성이 화염전파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 방법을 통하여 해석하였으며, NO 저감의 한 방법인 연소가스 재순환(Flue Gas Recirculation)에 따른 연소특성 및 NO 생성 메커니즘의 영향과 석탄을 가스화 시키는 방법에 따른 연료의 연소특성에 대해 해석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Turbulent Reacting Flow in the Pulverized Coal Combustor (미분탄 연소로내 난류 반응유동장의 수치해석적 연구)

  • 나혜령;이진욱;윤용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05a
    • /
    • pp.57-62
    • /
    • 1998
  • 미분탄 연소로는 산업현장, 특히 화력발전플랜트에서 널리 사용되는 설비로서 국내외의 많은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소로내의 난류유동장과 연소현상 등에 대한 이해 및 이를 설계에 응용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연소로내의 복사열전달 특성의 이해를 통한 연소로 크기 결정 및 수순환 해석, 화로출구온도 계산에 의한 대류전열부 설계 등에 적용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Particle Behavior in Turbulent Pulverized Coal Flame (난류 미분탄화염 내 입자거동에 관한 연구)

  • Hwang, Seu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12
    • /
    • pp.1111-1118
    • /
    • 2010
  • Combustion measurements based on optical techniques have recently become of major interest as tools not only for clarifying the combustion mechanism but also for validating the computational results for the combustion fields. In this study, the particle behavior in turbulent pulverized coal flame are investigated using advanced optical diagnostics. A laboratory-scale pulverized coal combustion burner is specially fabricated as open type in order to apply various optical measurement techniques. The detailed particle behavior is performed by LDV (laser Doppler velocimetry) and SDPA (shadow Doppler particle analyzer). It is observed that the particle mean diameter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burner increases, and this is found to be caused by the decrease of small particles' diameter and increase of large particles' diameter. This is because of result in the char reaction and the particle swelling due to devolatilization, respectively. The size-classified streamwise velocities of pulverized coal particles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jet show the same magnitude, whereas those in the outer reg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The results show that the velocity and size-classified diameter of the pulverized coal particles in the flame can be measured well by SDPA.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Korean Anthracite and Fabricated Anthracite Fines (국내 무연탄과 미분을 성형한 무연탄의 순환유동층 연소)

  • Shun, Do-Won;Bae, Dal-Hee;Oh, Chang-Sup;Kim, Heon-Cha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1 no.5
    • /
    • pp.553-558
    • /
    • 2010
  •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ow combustion activity of Korean anthracite and the abundant loss of unburned carbon in fly ash, pellet coal was fabricated from coal fines and fly ash, and the mixed combustion of coarse coal with the pellet coal was examined in the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of a 0.1 MW scale test unit. In the combustion of the raw coal only, the significant amount of coal fines was entrained, resulting in overheat at the top of the combustor. With the coarse coal that most fines were eliminated, however, the combustion temperature was maintained stable. The mixed combustion of coarse and raw coals was also feasible even though it often went unstable. The mixed combustion of the coarse coal with the pellet coal was as stable as the coarse coal combustion, showing a promise that the combustion of the Korean anthracite in commerci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s could be further enhanced.

A study on the Fuel Control Algorithm for Coal Fired Boilers of Electric Power Plants (석탄연소발전용 보일러 연료제어 알고리듬 고찰)

  • Kim, Jong-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668_1669
    • /
    • 2009
  • 보일러 연료제어의 근본 목적은 보일러 입력에너지와 출력에너지 간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보일러 출력에너지는 유출증기가 가지고 나가는 총 에너지에 해당하고, 입력에너지는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에너지에 해당한다. 보일러 연료의 공급과 연소제어에는 여러 가지 변수가 상존하고 있으며, 이 변수들의 영향을 잘 반영하여 필요한 연료량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결코 쉬운과제가 아니다. 석탄연소발전소의 주연료는 당연히 석탄이며 석탄을 입자가 매우 적은 미분탄으로 가공해서 연소하는 '미분탄 연소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석탄의 공급과 연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도입 탄종 변화에 따른 발열량, 수분함유량, 기타 성분의 변화가 있으며, 미분기 특성 및 성능변화, 연소용 공기 공급상태 변동에 따른 연소상태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형적인 보일러 연료제어 전략과 알고리듬을 분석하였으며, 여기서 습득한 이론을 바탕으로 내년에는 실제 발전소에 적용할 연료제어로직을 설계할 예정이다.

  • PDF

High Pressur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ilot Scale Entrained-Bed Gasification System Using ABK Coal (ABK탄을 이용한 pilot급 분류층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의 고압 운전특성)

  • Chung, Seokwoo;Yoo, Sangoh;Jung, Woohyun;Lee, Seungjong;Yun, Yongse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05.2-105.2
    • /
    • 2010
  • 석탄의 직접 연소 대신 고온/고압의 조건에서 불완전연소 및 가스화 반응을 통하여 일산화탄소(CO)와 수소($H_2$)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를 제조하여 이용하는 석탄 가스화 기술은 현실적인 에너지원의 확보를 위한 방법인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n-slagging 방식의 pilot급 분류층 석탄가스화기를 대상으로 고압 미분탄공급장치, 합성가스 냉각장치, 고온 집진장치 등을 연계하여 상용급 석탄가스기와 유사한 $1,300^{\circ}C$, 20 kg/$cm^2$의 운전조건에서 미분탄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한 양질의 합성가스 제조 및 제조된 합성가스의 분기 공급특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고압 미분탄공급장치는 공급호퍼에 저장된 미분탄을 고온/고압 조건으로 운전되는 석탄가스화기에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이러한 고압 미분탄공급장치를 이용한 기류수송 방식의 미분탄 공급 기술은 가스화기 설계 및 운전제어 기술과 더불어 석탄가스화기 시스템의 안정적 연속운전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역청탄인 인도네시아 ABK탄을 대상으로 향후 dense phase 고압 기류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고압 미분탄공급장치의 성능특성을 시험을 진행하였는데, 시험 결과 73 kg/h 조건에서 20 kg/$cm^2$의 가스화기에 대한 안정적인 미분탄 공급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미분탄 공급 조건에서 CO 40~45%, $H_2$ 16~20%, $CO_2$ 5~8% 조성의 양질의 합성가스를 평균적으로 $230{\sim}50Nm^3/h$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 PDF

Simulation of Natural Gas and Pulverized Coal Combustion using 93-PCGC-2 (93-PCGC-2을 이용한 천연가스 연소와 미분탄 연소 모사)

  • 조석연;서경원;이진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11a
    • /
    • pp.50-55
    • /
    • 1995
  • 향상되어진 93-PCGC-2는 기존의 PCGC-2와 같이 미분탄 연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반응성흐름과 비반응성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2차원 정상상태 모델로 제시되어 졌다. 93-PCGC-2는 실린더형의 축 대칭계에 응용되어질 수 있고, 난류(Turbulence)는 유체역학식과 연소기구 양쪽을 위해 고려되어졌으며, 불연속 세로좌표 방법(Discrete Ordinates Method)을 이용하여 기체, 벽 및 입자들로부터의 복사열(Radiation)을 모사하였다. 입자상은 입자 무리들의 평균 경로들을 따라 해석하는 Lagrangian계의 해석법으로 모델화되어졌다. 석탄의 팽윤(Swelling)과 촤의 반응성에 관한 부모델과 더불어 새롭게 일반화된 석탄 탈휘발화 부모델 (FG-DVC)도 첨가되어졌다. 비균일 반응기구는 확산과 화학반응 둘 모두를 고려하였다. 주요 기상반응은 국부 순간 평형을 가정하여 모델화하였다. 그래서 반응속도는 혼합의 난류속도에 의해 제한되어진다. Thermal NOx과 Fuel NOx의 유한속도 화학론(Finite Rate Chemstry)에 대한 부모델은 화학반응속도론와 난류성의 통계치를 통합하여 만들어져 있다. 기상은 반복적인 line-by-line기교에 의해 풀려지는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으로 묘사되어진다. 수치적인 안정을 고려하기 위해 under-relaxation이 이용되어졌다. 이렇게 코드화된 93-PCGC-2는 연소를 위해 모사되어졌다. 또한 더 나아가 이 수치모델의 활용범위는 미분탄의 가스화에도 활용되어질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유동층 연소

  • 채재우
    • Journal of the KSME
    • /
    • v.21 no.3
    • /
    • pp.166-174
    • /
    • 1981
  • 광물질(회분, 석회석 또는 모래) 입자의 "유동층" (fuidised bed)에 연료를 유입하여 연소시키는 소위 "유동층 연소" 기술은 최근 몇년동안 상당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왜냐하면 유동층 연소는 특히 저발열량 연료 (저질탄, 쓰레기등)의 연소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저질탄의 연소에 있어서 이 유동층 연소 기술이 갖는 장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a) 회분성분이나 비활성(inert) 성분의 조성이 균일하지 않은 저질탄의 연소능력 b) 열전달 면에서 부식문제의 저하 c) 보통 미분연소때보다 입도가 커도 완전연소가 가능하므로 분탄제조비가 저렴 여기서는 이러한 장점을 가진 저질탄의 유동층 연소에 대해서,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서 1978년 발행된 Combustion of low grade coal 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