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백활성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35초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Persicaria hydropiper L. Extracts)

  • 김은희;김정은;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3-3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과를 통한 항노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에서 $5.23\;{\mu}g/mL$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여뀌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0.40\;{\mu}g/mL$)이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뀌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경우 $1\;{\sim}\;10\;{\mu}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aglycone 분획($8.90\;{\mu}g/mL$) 에서,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도 aglycone 분획($2.37\;{\mu}g/mL$)에서 가장 큰 저해활성을 나타났다. 여뀌 추출물중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에 대한 실험 결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제주도 자생 노루참나물 (Pimpinella komarovii)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억제 효과 (Antioxidant Effects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Pimpinella komarovii Extracts in Jeju Island)

  • 강민철;이주엽;이정아;한종헌;김봉석;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77-82
    • /
    • 2008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자생식물인 노루참나물 (Pimpinella komarovii)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용매분획물을 얻어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으며, 마우스 유래의 melan-a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 및 tyrosinas 억제활성을 통하여 유용자원으로서 미백 및 기능성 화장료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노루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 (DPPH 소거활성 $IC_{50}$ 값, $231.8{\mu}g/m{\ell}$ ; superoxide 소거 활성 및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IC_{50}$ 값, 각각 $23.6{\mu}g/m{\ell},\;587.8{\mu}g/m{\ell}$)을 나타내었으며, 순차적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멜라닌 생성 세포인 melan-a 세포에서 노루참나물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tyrosinase와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노루참나물의 헥산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NO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루참나물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미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Fucoidan의 멜라닌 합성과 tyrosinase 활성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ucoidan on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 정숙희;구미정;문희정;유병철;전만중;이용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0
    • /
    • 2009
  • 미역, 다시마 등 갈조류의 추출물로서 생리활성성분으로 각광 받고 있는 fucoidan이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양을 알아봄으로써 미백제로서의 개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지 위하여 B16F10 melnoma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과 tyrosmase 활성도에 대한 실험의 결과 B16F10 melnoma 세포의 멜라닌 생성과 tyrosinase 활성도는 fucoida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B16F10 melnoma 세포에 ${\alpha}$-MSH를 투여 후 멜라닌 생성과 tyrosinase의 활성도 역시 fucoida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 생성과 tyrosmase 활성도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DOPA 염색의 결과 fucoidan은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 해조 추출 다당류인 furosinase은 B16F10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합성과 tyrosinase 활성도 억제 작용을 나타내므로 미백 활성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tems)

  • 주은영;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13-818
    • /
    • 2007
  •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의 줄기를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나 생리활성 재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한류 물 추출물(WE)과 에탄을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122.01 mg/g${\sim}$176.34 mg/g으로 EE에서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93.46${\sim}$96.92%로 EE가 가장 높았으며 0.1 mg/mL에서도 90% 이상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WE가 47.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세가지 추출물이 84.61${\sim}$88.36%였으며 pH 3.0에서는 25.83${\sim}$30.24%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0.5 mg/mL의 농도에서 세 가지 추출물 모두 90% 이상이었으며, 1.0 mg/mL에서도 91.02${\sim}$97.51%로 EE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와 관련이 있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HWE와 WE는 57.84%와 53.47%를 나타내어 EE(28.79%)보다 높은 저해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순비기나무 줄기 추출물은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며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천연 항산화제나 미백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백단향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ntalum album Extracts by Extracting Methods)

  • 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56-4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백단향의 다양한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 미백 효과 및 세포 독성을 평가 하였다. DPPH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은 n-Hexane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에서 양성대조군인 L-ascorbic acid ($IC_{50}$, $28.7\;{\mu}g/mL$)보다 강하거나 동등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도 70% acetone추출물에는 강한 라디칼 소거능($IC_{50}$, $18.6\;{\mu}g/mL$)을 나타내었다. 또한 LDL 산화억제 실험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었고 총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난 70% acetone 추출물에 가장 강한 활성($IC_{50}$, $58.3\;{\mu}g/mL$)이 확인되었으며, 다음으로 MeOH, EtOH, Hot water, n-Hexane추출물 순의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양성 대조군인 arbutin ($IC_{50}$, $13.7\;{\mu}g/mL$) 및 kojic acid ($IC_{50}$, $8.3\;{\mu}g/mL$)보다 다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0% Acetone을 이용하여 백단향을 추출할 경우 미백 활성이 가장 강한 결과를 얻었다. 백단향의 열수 추출물은 마우스멜라노마세포(B16F10)에 대해서 1.0 mg/mL의 농도에서 24.7%의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현지초(Geranium thunbergii)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Raw 264.7 cells에서의 항염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Geranium thunbergii Extrac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w 264.7 Cells)

  • 박승미;오민정;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8-3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화장품 소재로써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현지초 추출물의 효능평가 및 항염 관련 활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지초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여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50 ㎍/ml의 농도에서 91%, 94%를 나타내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백활성 측정을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24.8%의 저해능이 나타났다. 현지초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각각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30.6%, 90%의 저해능이 나타났고 collagenase 저해활성에서 우수한 저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실험 진행을 위해 현지초 추출물 처리에 따른 대식세포 Raw 264.7의 생존율을 MTT assay에 의거하여 진행하였으며 100 ㎍/ml의 농도에서 83.6%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이하의 세포 관련 실험 진행은 100 ㎍/ml 이하의 농도의 현지초 추출물을 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NO assay에 의하여 현지초 추출물 처리에 따른 NO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 ㎍/ml의 농도에서 74.9%의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발현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을 진행하였으며 현지초 추출물은 COX-2 및 iNOS 두 인자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단백질 발현량이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해 현지초 추출물은 항염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천연물에 포함된 미백성분의 추출 및 미백효과 (Extraction of Whitening Agents from Natural Plants and Whitening Effect)

  • 김은철;안소영;홍은숙;이광화;김은기;노경호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48-353
    • /
    • 2005
  • 천연물 중에서 사자발쑥과 인진쑥, 홍경천, 청국장, 된장 추출물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쑥 10 g에 300 mL의 에탄올로 상온에서 3 h의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을 차례로 같은 양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트로 분배과정을 거쳤다. 홍경천 5 g에 150 mL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 h을 냉침하여 얻은 추출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하였다. 제조용 컬럼($3.9{\times}250mm$, $C_{18}$, $15{\mu}m$)을 통하여 두개 부분의 분획물을 획득할 수 있었다. 청국장과 된장은 6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억제활성과 멜라닌 억제효과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쑥의 경우 항산화효과에서는 인진쑥의 물층, 멜라닌 억제 효과에서는 사자발쑥의 헥산층, 인진쑥의 클로로포름층이 우수하였다. 홍경천 추출물은 in-vivo melanin production ratio assay에서 melanin-a 세포를 사용한 결과 미백효과는 알부틴보다 우수하였다. 청국장과 된장의 60% 에탄올 추출물은 미백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 효능 연구 (Whitening Effect of Androsace umbellata Extract)

  • 김보윤;박성하;박병준;김진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2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밝히는 것에 있다. 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tyrosinase 활성 및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양 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봄맞이 추출물은 우수한 tyrosinase 억제 효능을 가지며 특히,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25{\mu}g/mL$ 농도에서 그 생성 억제율이 32%로 나타났고,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 양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내에서의 미백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5{\mu}g/mL$ 농도의 봄맞이 추출물이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RP-1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통해, 봄맞이 추출물의 우수한 미백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발견을 바탕으로,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효능에 대한 유전자 수준 또는 추가적인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뿐 아니라, 의약제품, 건강기능식품으로의 활용을 기대한다.

Melanin 생성 인자 억제 효과를 통한 Mangifera indica L. Peel의 미백효과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Mangifera indica L. Peel Extracts through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Factor)

  • 김효민;유단희;이인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1-3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애플망고 껍질의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애플망고 껍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최종 농도인 1,000 ㎍/ml에서 열수 추출물은 9%, 에탄올 추출물은 35%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세포를 통해 미백효과를 측정하고자 멜라노마세포인 B16-F10을 이용해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100 ㎍/ml 농도에서 각각 95.64%, 103.36%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후 실험은 세포 생존율이 95% 이상 나타난 농도인 100 ㎍/ml 이하의 농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백 효과는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인자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MITF, tyrosinase, TRP-1 및 TRP-2에 대한 단백질 발현은 100 ㎍/ml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에 의해 59%, 65%, 26%, 18% 감소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64%, 40%, 18%, 52% 감소하였다. MITF, Tyrosinase, TRP-1 및 TRP-2의 mRNA 발현은 RT-PCR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100 ㎍/ml에서 열수 추출물에 의해 27%, 44%, 40%, 22% 감소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9%, 51%, 11%, 52% 감소하였다. 따라서 애플망고 껍질 추출물이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인삼과 당귀 재배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들의 분리 및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 (Isolation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Wild Yeasts Obtained from Soil in the Fields of Medicinal Plants, Ginseng and Korean Angelica)

  • 김지윤;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5-323
    • /
    • 2018
  • 약용식물 재배지 토양의 야생효모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야생효모들의 산업적 응용성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먼저 약용식물 집단 재배지인 충남 금산의 인삼과 당귀 재배지의 토양들을 2018년 3월에 50점을 채취하여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시료들로부터 21종 43균주의 야생효모들이 분리되었고 인삼재배 논 토양에서는 Rhodotorula glutinis 균주가 6주, 당귀 재배 밭 토양에서는 Cyberlindnera saturnus 균주가 역시 6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이들 야생효모들을 이용하여 미백성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이들의 무세포추출물을 제조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온성 야생효모인 Naganishia globosa G1-7가 28%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 우수효모로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