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리보기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4초

우리 글 읽기에서 중심와주위 단어 첫 음절 음운정보의 미리보기 효과

  • 김정태;고성룡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36
    • /
    • 2010
  • 우리글 읽기에서 중심와주위에 위치한 단어의 음운정보가 중심와주위 미리보기이득에 영향이 있음을 2음절의 표적단어를 사용하여 확인한 앞선 연구에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중심와주위에 제시된 2음절 단어의 음운정보 중 첫째 음절의 음운정보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표적단어(예: '손목')에 대한 미리보기 자극으로 첫음절_동일비단어(예: '손욘'), 첫음절_음운유사비단어(예: '솜욘'), 첫음절_표기유사비단어(예: '��욘'), 첫음절_무관비단어(예: '�F�E')가 제시되었고 경계선기법을 사용하여 눈이 도약하는 동안에 미리보기 자극들은 표적자극으로 바뀌도록 하였다. 표적단어의 주시시간을 측정한 결과, 첫음절_음운유사비단어가 중심와주위에 먼저 제시되었을 때가 첫음절_표기유사비단어나 첫음절_무관비단어가 제시되었을 때보다 짧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심와주위 단어 첫 음절의 음운정보만으로도 고정 간 정보통합에 영향을 주어 중심와주위 미리보기이득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개인 맞춤형 OTT 콘텐츠 미리보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Design of Personalized OTT Content Preview)

  • 김현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83-287
    • /
    • 2021
  • 본 연구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개인 맞춤형 콘텐츠와 미리보기를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리보기 시청 경험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국내 운영 중인 OTT 서비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콘텐츠 제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주 사용자인 20-30대를 모집하여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의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 모형을 토대로 작성한 질문을 통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미리보기는 콘텐츠 선택에 도움이 되지만 취향에 맞지 않았으며, 원하는 대로 시청하기 어려워 불편해하였다. 따라서 개선 방향으로는 미리보기 시청의 효율성, 취향성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OTT 콘텐츠의 사용자 경험이나 미리보기 시청 경험에 관한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글읽기에서 나타난 성인과 청소년의 중심와주변 정보처리: 고정시간 분포에 대한 확산모형 분석 (Parafovea Information Processing of Adults and Adolescents in Reading: Diffusion Model Analysis on Distributions of Eye Fixation Durations)

  • 주혜리;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31권4호
    • /
    • pp.103-13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글읽기의 주요한 현상인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효과(parafovea preview effect)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성인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안구운동추적 실험을 통해 연령이 다른 두 집단의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안구운동 추적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자료를 단일경계 확산모형(diffusion model)의 시작점(starting point) 파라미터로 설명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실험은 경계선 기법(boundary technique)을 이용하여 중심와주변 정보처리를 관찰하였다. 실험 1에서는 중심와주변에 미리보기 정보로 고빈도 단어를 제시하는 것과 미리보기 정보를 차폐하는 것을 비교하였다. 실험 2에서는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정보로 저빈도 단어를 제공하였고, 중심와주변 미리보기를 차폐한 것과 비교하였다. 두 실험 결과, 청소년 집단과 성인 집단에서 중심와주변에 정보가 주어졌을 때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이득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심와주변에 높인 정보 성질, 즉 단어의 빈도에 따라 두 집단의 첫고정시간, 단일고정시간, 주시시간에서 고정시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실험에서 얻은 첫고정시간 데이터를 분위수로 나누고 단일경계 확산모형에 fitting한 결과, 중심와주변 정보처리가 시작점 파라미터로 설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각-언어 이동 작업을 위한 장소 미리보기 메모리 (Lookahead Place Memory for Vision-Language Navigation Tasks)

  • 오선택;김인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92-995
    • /
    • 2020
  • 시각-언어 이동 작업은 에이전트가 주어진 지시를 따라 특정 실내 공간 내에서 목적 위치로 이동하는 작업이다. 시각-언어 이동 작업의 특성상 자연어 지시 속에 등장하는 랜드마크인 장소 정보를 인지하는 것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을 구성하는 주요 장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장소 미리보기 메모리를 제안한다. 에이전트는 장소 미리보기 메모리에 저장된 장소 정보를 고려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Matterport3D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R2R 벤치마크 데이터 집합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계층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성 평가

  • 국정훈;박희석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0-326
    • /
    • 1996
  • 컴퓨터를 애용한 편집엽무가 더욱 보편화되면서 워드프로세서의 역할은 한층 강조되어지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와 외국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들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에 우후죽순 처럼 출현하여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시점에서,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성 관점에서의 평가가 한층 더 중요 해 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워드프로세서의 주요 기능 및 세부 기능들을 정리 하고, 사용자가 중요하다고 느끼는 기능을 가장 적절히 제공해주는 워드프로세서가 어떤 것인지를 계층 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사용자들은 주기능에서는 '파일 기능'과 '편집 기능'이 중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파일 기능'의 하부 기능에서는 '저장 기능'과 '미리 보기 기능' 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나, 앞으로 연구해야 할 워드 프로세서의 중요 기능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 대상이 된 세개의 워드프로세서 중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파일찾기, 미리보기, 그림편집, 보기배율, 그림, 기호 등의 기능)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 가장 우수한 워드프로세서로 평가되었다.

  • PDF

POD를 위한 화면 스크린 샷 메커니즘 (Mechanism of Screen Shot for POD)

  • 주곤봉;강민재;유소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99-601
    • /
    • 2011
  • POD (Print On Demand) 시스템은 출력 요청 시 즉시 출력할 수 있는 환경을 갖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HTML 데이터를 이미지화하기 위해서는 COM 포트를 이용하여 수초의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감내할 만한 수준의 시간 지연을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화면 스크린 샷 메커니즘에 대해 기술하고, 이를 활용해 웹 사이트 미리보기 이미지 확보 방법과 POD시스템에서의 활용에 대해 기술한다.

  • PDF

2인 테트리스 코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2P Tetris game)

  • 김동섭;김성민;김태홍;이상진;유진수;한석환;강윤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307-30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Facebook 테트리스 게임에서 착안하여 모바일로도 실행시키고자 하였다. Facebook 테트리스와 같이 Hold, 미리보기, 줄 넘기기공격 등 세부 기능을 모두 구현하였다.Hold를 하면 다음에 나올 블록을 저장하여 필요할때 꺼내쓸수 있도록 한다. 미리보기를 하여 블록이 바닥에 도달했을시 예상위치를 나타내준다. 한 줄을 clear하였을 시 상대방바닥에 한줄이 올라오도록 한다.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으로 응용시 모바일 앱환경에서도 활용할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