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래전

Search Result 1,09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보호 추진동향;국방 분야를 중심으로

  • Choe, In-S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985-990
    • /
    • 2007
  • 정보기술 발전과 활용 확대에 따라 정보보호의 개념과 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하여 왔다. 최근 우리나라 및 주요 선진국은 유비쿼터스 사회 건설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의 일환으로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도 병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국방 분야 또한 마찬가지이다. 현재 미국방부 등 주요 군사선진국들은 미래전 환경을 대비하여 네트워크중심전 개념의 전략변환을 추진 중인데, 이에 따른 정보보호 문제 대비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정보화 환경 변화와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전 환경을 대비한 주요 군사선진국등의 정보보호 추진 동향을 살펴 보았는데, 주요 시사점으로는 공통 정보보호 추진 전략 정립 및 세부 기준/지침 강화, 미래전 환경에 부합하는 정보보호체계 개발 및 성능개량, 정보시스템의 보안성 평가/검증 및 관리체제 강화 들과 같이 실질적인 정보보호 추진을 위해 기반을 강화하고, 기존 정보보호 대응수단을 더욱 체계화,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 PDF

미래전 양상과 정보화 군 방향

  • Lee, Ho-Se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227
    • /
    • pp.24-35
    • /
    • 1998
  • 21세기 미래전 양상은 기존의 전투 행태에서 디지탈 전투 가 추가된 양상으로 수행하고 선견.선결.선행 개념으로 수행될 것이다. 우리 한반도는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은 이스라엘이나 일본처럼 기술집약적 정보군 개념의 군사력 건설만이 이를 가능케 할 것이다.

  • PDF

현대전과 전자기술

  • Lee, Deok-H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228
    • /
    • pp.38-47
    • /
    • 1998
  • 현대전 및 미래전에서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이 첨단 무기체계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가 방위력의 개선 방향은 국방력의 양적 증가보다, 군을 과학 기술군으로 전환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첨단 기술 확보 위주의 국방 전략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 PDF

현대전과 통신전자 시험평가의 중요성(2)

  • Lee, Won-Gi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1 s.225
    • /
    • pp.52-65
    • /
    • 1997
  • 선진국은 현대전 및 미래전에서 통신/전자장비의 생존성이 전쟁승패의 주요 요소임을 인식하고 장비 획득규정 및 관련 군사규격을 보완하며, 취약성 시험과 EMP, EMR을 비롯한 각종 전자환경시험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첨단무기체계 개발에 따른 전자시험평가 능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 현대전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취약성시험과 전자환경 시험평가 능력은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 PDF

기획특집 2: 군사용 전자광학 기술의 현재와 미래 -국방 레이저 기술 발전 방향

  • Gang, Eung-Cheol
    • The Optical Journal
    • /
    • s.130
    • /
    • pp.25-28
    • /
    • 2010
  • 1960년대 초부터 레이저 기술은 새로운 무기나 군사용 레이저 센서를 개발하는데 응용되어 왔으며, 현대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밀유도탄이나 대부분의 사격통제장치에 활용되고 있다. 레이저 기술은 재 운용 중인 무기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것이며, 미래전에 필요한 새로운 장비나 무기를 개발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기술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과학기술과 군사력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6 s.397
    • /
    • pp.47-76
    • /
    • 2002
  • [과학기술과 전쟁사] "과학기술력 있는 국가가 역사의 주인공"/ [로봇- 무인병기] 첨단로봇이 전략전술도 바꾼다/[항공우주전] 민간 피해 안주는 우주전 실현/[원자력-핵무기]핵무기 보유는 국가안보의 잣대/[정보화전] 빛의 속도로 전개되는 사이버테러/[해양전] '바다의 안보' 장악하는 이지스함/[생화학 무기] 생화학은 가난한 나라의 핵무기/[과학기술과 미래전쟁] 미래전쟁은 기계들의 전투

  • PDF

An Analysis of Anti-Jamming of GPS Guided Weapon (GPS 유도무기 재밍대응 분석)

  • Choi, Cha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962-963
    • /
    • 2015
  •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미래전은 정밀타격이 보편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며, 이때 정밀유도무기가 적의 핵심표적만을 선별 공격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적 전력의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정밀유도무기에 적용되고 있는 GPS 유도방식은 재밍상황에 그 취약성을 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PS 유도방식인 정밀유도무기를 사용하여 공격할 경우 재밍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방위각을 제어함으로써 재밍 대응이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방위각 140도까지는 제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Optimized Plan for Mass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Battlefield Information (전장 정보의 대량 획득과 처리를 위한 최적화 방안 연구)

  • Cha, Hyun-Jong;Yang, Ho-Kyung;Shin, Hyo-Young;Park, Ho-Kyun;Ryou, Hwang-Bi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1
    • /
    • pp.45-50
    • /
    • 2013
  • The future warfare will universalize the operation of a combined weapon system that utilizes this technology and create an operational environment that is centered on a network requiring a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between combat elements as well as a high level of operation speed. In this kind of operational environment, future combat will take on the aspects of network centric warfare, which is capable of realizing a real-time sensor to shooter cycle by horizontally connecting operation elements. Therefore, the study attempts to draw out a Korean measurement plan concerning battlefield environment changes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ll problems occurring during the mass acquisition and processing of battlefield information in battlefield situations of network centric warfare currently conducted by the US military in Afghanistan and Iraq.

전술데이터링크 기술 표준화 동향

  • Kim, Han-Dong;Choe, Tae-B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0
    • /
    • pp.7-14
    • /
    • 2007
  • 미래의 전장환경은 기존의 플랫폼 중심전(PCW: Platform Centric Warfare)에서 센서로부터 들어온 디지털 정보를 타격체계에 곧바로 전달하는 Sensor-to-Shooter 개념의 네트워크 중심전 (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기본 패러다임이 급속히 바뀌고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 능력의 기반이 되는 전술데이터링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전술데이터링크는 196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정보통신의 발전과 함께 무기체계의 디지털화 및 작전개념의 발전 등으로 다양한 전술데이터링크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미군은 최신의 전술데이터 링크인 LINK-16을 다양한 무기체계에 탑재하고 있으며 연합작전 및 합동작전을 위한 전술데이터링크를 구축하고 있는 반면 아직 우리군은 각 무기체계별로 일부 선진국의 전술데이터링크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을 뿐 모든 무기체계에 적용 할 수 있는 표준 전술데이터링크 및 한국군 단독으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데이터링크가 학보 되지 않아 미래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전의 핵심인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선진국의 주요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한국군의 전술데이터링크 구축 현황 및 미래 한국군 전장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한국형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해서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