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나리과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9초

나물의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s of Green Vegetables)

  • 김영섭;김현영;김세나;이지윤;서동원;최용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2-59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름나물, 참취, 민들레, 미나리, 부추, 곰취, 홑잎나물 등 식생활에서 많이 섭취되고 있는 7종 나물의 생시료와 데친 후의 수분, 단백질, 지질, 회분, 무기질, 식이섬유와 비타민 함량 등 영양성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데치기 전후 7종 나물의 수분 함량은 각각 71.28~92.68 g/100 g과 76.90~92.09 g/100 g으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영양성분 비교 분석을 위해 수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의 함량은 건조물 중량 100 g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곰취가 33.38 g/100 g과 4.50 g/100 g으로 분석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회분 함량은 비름나물이 19.89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홑잎나물에서 5.21 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 중 칼슘 함량은 비름나물이 1,534.4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다음으로 곰취, 민들레, 홑잎나물, 참취, 부추, 미나리 순으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철 함량은 민들레가 55.23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나트륨 함량은 비름나물이 743.18 mg/100 g으로 기타 채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칼륨과 마그네슘 함량은 비름나물에서 각각 7,710.63 mg/100 g과 1,786.67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식이섬유는 홑잎나물, 부추, 미나리, 비름나물, 곰취, 참취, 민들레 순으로 홑잎나물에서 59.75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리보플래빈 함량은 곰취와 참취가 각각 3.10 mg/100 g, 3.08 mg/100 g으로 기타 채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비타민 C 함량은 홑잎나물에서 468.28 mg/100 g으로 기타 나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민들레 시료는 22.48 m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영양소 권장섭취량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단백질,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 등 성분에 대해서는 홑잎나물이 기여도가 높았다. 철 성분은 민들레가 기여도가 컸으며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등 성분은 비름나물이 성인 권장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나물은 종류에 따라 영양성분 함량의 차이가 있으며, 어느 한 종류의 나물을 섭취하기보다 여러 가지 나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돌미나리씨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Methanol Extracts of Oenanthe javanica Seed in 3T3-L1 Preadipocytes)

  • 지향화;정현영;진수정;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88-1696
    • /
    • 2012
  •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뛰어난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으로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돌미나리씨의 활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여 돌미나리씨 메탄올 추출물(OJSE)의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1{\sim}200{\mu}g/ml$)의 OJSE를 지방세포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여 분화시킨 후 Oil Red O 염색을 한 결과 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OJSE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방세포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세포특이적 마커인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 ${\beta}$ ($C/EBP{\alpha}$, $C/EBP{\beta}$)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는 OJSE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저해되고 결과적으로 지방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억제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OJSE처리에 의해 mitotic clonal expanstion 단계에서의 세포증식이 저해되었으며, 세포주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OJSE처리에 의해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가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OJSE 농도의존적으로 Cdk inhibitor인 p2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반면 cyclin E, Cdk2, E2F-1 및 phospho-Rb의 발현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의해 OJSE는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를 유도하고 지방세포분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항비만 효능을 갖는 천연 소재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논 잡초방제용 Pomacea canaliculata의 환경 적응성과 월동 왕우렁이에 의한 작물 피해 (The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Pomacea canaliculata used for Weed Control in Wet Rice Paddies and Crop Damage Caused by Overwintered Golden Apple Snails)

  • 이상범;이상민;박충배;이초롱;고병구;박광래;홍승길;김진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3-33
    • /
    • 2019
  •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월동실태 및 작물의 피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왕우렁이의 도입 후 처음 월동이 확인된 지역은 2000년 해남이었다. 그 후 왕우렁이의 국내 월동 지역이 중남부지역으로 확대되었다.2017년도에 왕우렁이 개체들의 월동 지역은 전남의 강진, 고흥, 신안, 해남과 경남의 김해, 함안을 비롯한 부산과 제주, 서귀포였으며, 예외적으로 왕우렁이 월동조건이 양호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성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왕우렁는 알로서 월동하지는 않았다. 왕우렁이가 저온에서 견디는 생존기간은 $-5^{\circ}C$에서 12시간, $-3^{\circ}C$에서 1일, $-1^{\circ}C$에서 2일, $0^{\circ}C$에서 10일 및 $3^{\circ}C$에서 30일 이상이었다. 왕우렁이들의 월동 환경조건은 10~20 cm의 물이 고여 있고, 추위에 숨을 수 있는 뻘이 잘 형성되어 있는 남향의 수로나 물 웅덩이였다. 월동 왕우렁이에 의한 피해는 벼와 미나리에서 발생하였으며 벼에서는 아직 우려할 수준은 아니었다. 다만, 미나리에서의 피해율은 4.26%로 벼에 비하여 높았고, 피해 면적도 많았다. 앞으로 왕우렁이의 국내 월동과 더불어 논 잡초방제용 왕우렁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가 요구된다.

구조용(構造用) 내화처리(耐火處理) 합판(合板)의 재건조(再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Redrying Fire - Retardant - Treated Structural Plywood)

  • 이필우;이.엘,샤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21
    • /
    • 1981
  • 미송(美松) 및 포푸라 내수합판(耐水合板)을 내장용내화제(內裝用耐火劑)로 가압처리한 다음 저온(低溫), 중온(中溫) 및 고온건조상태(高溫乾燥狀態)에서 재건조(再乾燥)를 실시(實施)하였다. 붕사(硼砂)-붕산(硼酸), 크롬화(化) 염화아연, 미나리스, 파이레소오트 및 일종(一種)의 상업용(商業用) 내화제(耐火劑)로 내화처리(耐火處理)를 실시(實施)하였다. 건조방법(乾燥方法)은 키른건조(乾燥)와 열판건조(熱板乾燥)를 적용(適用)하였으며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건조결함(乾燥缺陷)에 관하여 검토(檢討)하였다. 붕사(硼砂)-붕산(硼酸)은 수분처리합판(水分處理合板)과 유사(類似)한 건조속도(乾燥速度)를 나타내었으나 기타(其他)의 내화제(耐火劑)는 일층(一層) 늦은 건조속도(乾燥速度)를 나타내었고 더 많은 건조결함(乾燥缺陷)을 일으키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특(特)히 크롬화(化) 염화아연은 가장 건조속도(乾燥速度)가 느렸으며 가장 많은 건조결함(乾燥缺陷)을 일으키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열판건조(熱板乾燥)는 키른 건조(乾燥)와 비교(比較)하여 같은 온도수준(溫度水準)에서 삼배(三倍)나 더 빨리 건조(乾燥)하였으나 열판압력을 50 $1b/in^2$(3.52$kg/cm^2$)를 적용(適用)하였기 때문에 두께 수축율(收縮率)은 이배(二倍)를 나타내었다.

  • PDF

미나리의 단백질의 및 아미노산 조성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ater Cress Oenanthe stolonifera DC)

  • 문숙임;조용계;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3-142
    • /
    • 199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mpare the nutritive value of leaf with stem of the water cress Oenanthe stolonifera DC. in order to improve the eating habits and as a part of studying on the effective curing nutrients for the damaged liver.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on the effective curing nutrients for the damaged liver.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90.40% 2.85%, 0.42% and 0.74% in leaf while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95.15% 0.77% 0.09%, and 0.64%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95.15% 0.77% 0.09% and 0.64% in stem respectively. The quantitative fractionation of proteini of both leaf and stem ranked albumin the highest content followed globulin prolamin and glutelin in order. It has been sh-own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at water extractable protein of leaf 11 bands but those of stem were not detected. The scope of molecular weight for the main protein of water extractable protein of leaf was between 34.700 and 45,000. The amounts of extractive-nitrogen from leaf and stem of the water cress were 241.02mg% and 271.67mg% respec-tively. The amounts of free amino acid-nitrogen from the leaf and stem were 89.02mg% and 32.02mg% respectively. In free amino acid-nitrogen from the leaf and stem were 89.02mg% and 32.02mg% respectively. I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both leaf and stem the major components wer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In total amino acid composition of water cress leaf aspartic and glutamic acid were the major components. Whereas alanine and thr-eonine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stem The assessment of water cress leaf and stem with chemical score. EAAl Rl showed that the values of stem were lower tendancy than those of leaf. Limiting amino acid of leaf was tryptophan while that of stem was lysine.

  • PDF

미나리분말 첨가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added with Dropwort Powder)

  • 안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9-24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prepared with various amounts of dropwort powde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pecific gravity of batter prepared with dropwort powder was increased, whereas the pH of batter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dropwort powder. Furthermore, the weight of the pound cake prepared by adding 8% dropwort powder had the lowest among all samples. The volume and specific loaf volume of pound cakes prepared by adding dropwort powder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baking loss rate of the control was 5.45% and that of pound cakes prepared by adding dropwort powder was 5.08~7.08%.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pound cakes was found to increase with an increased in the amount of dropwort powder, whereas the pH of pound cakes was found to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dropwort powder conten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23.58%, whereas that of pound cakes prepared by adding dropwort powder ranged from 38.77~77.60%. However, the L, a and b valu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dropwort powder. The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of pound cak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dropwort powder. Overall, the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for pound cakes were conveyed to be higher in 4~6% of substituted sample groups than those of others. H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dition of 4~6% dropwort powder is the best substitution ratio for pound cakes.

수경미나리의 영양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tion Composi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 Park, Yaung-Ja;Kim, Young-O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16-1019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ent composi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and the effect of blanching condition on ascorbic acid content. Nutrient composi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of mid harvest on the 30th day was measured in three portions of leaves, petioles and stems, and was compared with that of late harvest on the 40th day. Hydroponic water dropwort was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nutrients content of lea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sh and ascorbic acid and lower in moisture, crude fat and crude fiber than those of stems and petio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vitamin A and thiamin contents between three portions. Ascorbic acid content of leaves harvested on the 30th day was the highest, 57mg/100g, and decreased to 18mg/100g in the leaves harvested on the 40th day. Marked increase in crude fiber and vitamin A content of leaves was observed in late harvest may be due to the maturation. The results of nutrient composition analysis suggest that the leaves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is important in ascorbic acid and ash. It is recommended that shorter blanching time and addition of 0.5% NaCl to the blanching water are better for higher ascorbic acid retention of hydroponic water dropwort. In conclusion, as hydroponic water dropwort has high content in ash, calcium, vitamin and free sugar with alkalinity, leaves as well as stems and petioles can be recommonded as a vegetable of high nutritional quality.

  • PDF

당귀의 수경재배에서 LED 광원에 의한 생장 증가와 형광등에 의한 기능성물질 축적 (Increased Growth by LED and Accumul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by Florescence Lamps in a Hydroponics Culture System for Angelica gigas)

  • 이공인;김홍주;김성진;이종원;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2-48
    • /
    • 2016
  •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약용식물로서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재배된다. 본 실험의 목적은 형광등과 LED 광조사가 당귀 생육의 발달과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Decursinol angelate와 Decursin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당귀 '만추' 종자를 우레탄 스폰지에 파종 후 4주간 유리온실에서 육묘하였다. 본엽이 3매 전개된 120주를 저면관수 시스템에 이식하였다. LED [적색: peak wavelength 660nm, 청색: peak wavelength 455nm, white = 3:2:4 비율]와 형광등 조건에서 최상부 군락에서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은 $180{\pm}7{\mu}mol{\cdot}m^{-2}{\cdot}s^{-1}$로 동일하였으며 16:8의 일장조건에서 5주간 재배하였다. LED 처리에서 당귀의 엽수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형광등 처리와 비교하여 13.5% 증가하였으며, 형광등 처리에서 당귀의 엽장과 엽폭의 비율과 초장은 각각 24, 13% 증가하였으며 최대 근장은 두 그룹이 유사하였다. LED 처리한 당귀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50, 42%씩 증가하였으며, 지하부는 125, 45%씩 증가하였다. 형광등에서 재배된 당귀의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는 LED처리한 당귀보다 지상부에서 단위 건물중당 188, 27% 증가하였으며, 지하부에서 78, 8% 각각 증가하였다. LED와 형광등 처리에서 재배된 당귀의 한 개체당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함량은 132과 122mg 이었다. 결론적으로 기능성 물질은 형광등에서 증가되고 생장은 LED 조건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플라톡신 $B_1$과 4-NQO에 대한 녹황색 채소류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toward Aflatoxin $B_1$, and 4-Nitroquinoline-1-oxide)

  • 이경임;박건영;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3-148
    • /
    • 1992
  • 아플라톡신 B$_1$과 4-NQO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미치는 녹황색 채소류의 메탄올 추출물과 쥬스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실험계를 사용하였는데 아플라톡신 B$_1$에 대해 채소류의 메탄올 추출물 중에는 들깻잎, 상치, 브로콜리, 쑥갓, 미나리, 들미나리, 붉은고추, 고추잎, 비름, 시금치, 무 등이 큰 항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p< 0.01). 이 경우 시험시료 중 약 50% 정도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direct mutagen인 4-NQO에서는 실험 시료 27종중 25종류(93%)에서 항돌연변이성이 관찰되었다 (p<0.01, 0.05). 이중 60%이상 저해효과를 나타낸 시료는 양배추, 케일, 상치, 브로콜리, 갓, 풋고추, 피망, 시금치, 비름, 콩나물, 애호박이었다. 한편 쥬스로 부터 아플라톡신 B$_1$에 대해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낸 채소류는 들깻잎, 들미나리, 시금치, 양배추로써 각각 용량 의존적으로 (50~500${\mu}\ell$/plate)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저해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오이와 당근은 농도를 높여도 큰 저해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내화처리(耐火處理)가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기계적성질(機械的性質) 및 내화도(耐火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Fire Retardant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Fire Retardancy of Particleboard and Complyboard)

  • 권진헌;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3-57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에 있어서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용(用)의 칩은 공(共)히 메란티 수종(樹種)(Shorea spp.)을 팔만칩퍼로 제조(製造)하였으며 콤플라이보오드의 표층단판(表層單板)의 수종(樹種)은 아피통(Dipterocarpus spp.)을 사용(使用)하였다. 칩의 크기는 6메쉬를 통과(通過)하고 25 메쉬위에 남는 것을 이용(利用)하였으며 콤플라이보오드의 단판(單板)두께는 0.9mm, 1.6mm 및 2.3mm의 것을 사용(使用)하였고 접착제(接着劑)로는 요소수지(尿素樹脂)를 파아티클의 전건조량(全乾燥量)에 대(對)해 10%첨가(添加)한 후 성형(成型)하여 파아티클보오드를 만들었고 표층용단판(表層用單板)의 접착(接着)에는 36g/(30.48cm)$^2$을 도포(塗布)하였다. 내화약제(耐火藥劑)로는 제2인산(第二燐酸)암모늄, 황산(黃酸)암모늄, 제1인산(第一燐酸)암모늄, 파이래소트, 미나리스의 5종(種)에 대(對)해 단판(單板)에는 20% 농도(濃度)로 파아티클에는 5, 10, 15, 20%의 농도(濃度)로 침지법(浸漬法)을 적용(適用)하여 처리(處理)하였다. 이런 조건(條件)으로 만든 내화(耐火)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물성(物性)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 및 내화도(耐火度)를 조사(調査)하여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 및 콤플라이보오드 제조가능성(製造可能性)을 구명(究明)하고져 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5종(種)의 약제보유량중(藥劑保有量中) 5% 황산(黃酸)암모늄처리(處理)가 1.34kg/(30.48cm)$^3$로 가장 적었으나 모두가 최저보유량(最低保有量) 1,125kg/(30.48cm)$^3$ 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었다. 2.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파괴계수(破壞係數), 탄성계수(彈性係數), 박리강도(剝離强度) 및 나사못 유지력(維持力)은 제2인산(第二燐酸)암모늄처리(處理)가 다른 약제처리(藥劑處理)보다 우수(優秀)하였다. 3.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의 파괴계수(破壞係數) 및 탄성계수(彈性係數)는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보다 더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4.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의 두께 팽창율(膨脹率)은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의 것보다 훨씬 적었다. 5. 파이레소트와 미나리스처리(處理)는 파아티클보오드와 콤플라이보오드의 함수율(含水率)을 증가(增加)시켰으나 제1인산(第一燐酸)암모늄처리(處理)는 오히려 함수율(含水率)을 감소(減少)시켰다. 6.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가 되지 않았고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는 되었지만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착화시간(着火時間)이 훨씬 지연(遲延)되었다. 또한 단판(單板)만 내화처리(耐火處理)한 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되어 잔염(殘炎)은 있으나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그 잔염시간(殘炎時間)이 훨씬 짧았다. 단판(單板)과 중층(中層)파아티클보오드에 처리(處理)한 콤플라이보오드는 착화(着火)는 되었으나 잔염(殘炎)은 없었다. 7. 불꽃의 길이, 탄화면적(炭化面積) 및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서 훨씬 적었으나 약제간(藥劑間)에 차이(差異)는 없었다. 8. 시험(試驗)한 5종(種)의 약제(藥劑)에서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의 이면온도(裏面溫度)는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9. 내화처리(耐火處理)파아티클보오드의 이면온도(裏面溫度)가 가장 높은 약제(藥劑)는 파이레소트처리(處理)이고 가장 낮은 약제(藥劑)는 미나리스처리(處理)였다. 10. 내화처리(耐火處理)콤플라이보오드의 이면온도(裏面溫度)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서 현저히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