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기록분류군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미기록 벼과식물: 애기향모(Anthoxanthum glabrum (Trin.) Veldkamp)와 큰개사탕수수(Saccharum arundinaceum Retz.) (Two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Anthoxanthum glabrum (Trin.) Veldkamp and Saccharum arundinaceum Retz. (Poaceae))

  • 정수영;이유미;박수현;양종철;장계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1-86
    • /
    • 2011
  • 한국 미기록 벼과(Poaceae Barnhart) 식물인 애기향모(Anthoxanthum glabrum)와 큰개사탕수수(Saccharum arundinaceum)가 확인되었다. 애기향모는 경기도 안산시, 경북 상주시 그리고 전남 화순군에서 확인 되었고, 근연 분류군인 향모(A. nitens)와 비교하여 소수, 포영 및 호영 길이의 특징으로 구별된다. 큰개사탕수수는 서울 강남구, 마포구와 전남 화순군에서 확인 되었고, 근연 분류군인 개사탕수수(S. spontaneum)와 비교하여 제 1 포영털의 유무와 소수기모의 길이 특징으로 구별된다. 그에 따른 미기록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 특징과 도해 및 생태사진을 제시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 두메괴불이끼(처녀이끼과) (First record of Crepidomanes schmidtianum (Zenker ex Tasch.) K. Iwats. (Hymenophyllaceae) from Korea)

  • 이창숙;이강협;황영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5
    • /
    • 2014
  • 처녀이끼과 미기록 분류군 두메괴불이끼(Crepidomanes schmidtianum)가 지리산(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백무동)에서 발견되었다. 두메괴불이끼는 괴불이끼속의 다른 분류군들에 비해서 위맥이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거의 없으며, 위가 갈라지고 컵모양인 포막을 갖는 점이 뚜렷이 구별된다. 새로운 국명은 높은 산에서 자란다는 의미로 두메괴불이끼로 하였고, 주요형질에 대한 종기재 및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 및 한국산 괴불이끼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Rusc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Polygonatum (Ruscaceae))

  • 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7-447
    • /
    • 2002
  • 한국산 둥굴레속 식물을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으며, 2절, 3계열하에 14종, 2변종의 모두 16분류군으로 재정리하였다. 이 중 한국 특산종은 선둥굴레와 늦둥굴레 2종이었으며, 한국 미기록종인 풍도둥굴레(P. odoratum var. odoratum)와 종둥굴레(P. acuminatifolium)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정확한 종동정을 위해 절, 계열, 종의 검색표와 각 분류군의 기재문을 제시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 애기개올미(사초과) (The First Record of Scleria caricina (R. Br.) Benth. (Cyperaceae) in Korea)

  • 장창석;이유미;박수현;김종환;조양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9-182
    • /
    • 2010
  • 전남 신안군에서 발견된 너도고랭이속(사초과)의 1분류군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동남아시아 및 중국, 일본, 호주 북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기존에 보고된 한국산 너도고랭이속의 다른 분류군과는 화서가 밀집되고, 암꽃 인편은 끝이 3갈래로 갈라지며, 수과는 항상 2개의 인편과 함께 탈락되므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식물체가 소형인 특징을 감안하여 '애기개올미'로 부여하였으며, 형태학적 형질을 근거로 분류군에 대한 기재를 하였고, 주요 형질에 대한 도해도와 한국산 너도고랭이속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Capparis sikkimensis Kurz subsp. masaikai (H. Lév.) Jacobs: 베트남 미기록종 (Capparis sikkimensis Kurz subsp. masaikai (H. Lév.) Jacobs (Capparaceae): a new distributional record for Vietnam)

  • ;;;;이중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05
    • /
    • 2013
  • 베트남에서 발견된 Capparis sikkimensis Kurz subsp. Masaikai (H. L$\acute{e}$v.) Jacobs 를 베트남 미기록 분류군으로 보고하고 분류학적 처리 및 식별을 위한 도해를 첨부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층층지네고사리와 윤쇠고비(관중과) (First record of Cyrtomium laetevirens and Dryopteris simasakii var. paleacea (Dryopteridaceae) from Korea)

  • 이창숙;이강협;황영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71-180
    • /
    • 2013
  • 관중과의 미기록 분류군 윤쇠고비(Cyrtomium laetevirens)와 층층지네고사리 (Dryopteris simasakii var. paleacea)가 전남, 경남, 제주지역에서 두 종 모두 발견되었다. 또한 층층지네고사리는 서울 관악산에서도 발견되었다. 윤쇠고비는 쇠고비속의 다른 분류군들에 비해서 윤기가 있는 잎몸, 좁은 피침형이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고, 끝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우편, 단색의 회백색 포막이 있는 점이 뚜렷이 구별된다. 층층지네고사리는 다른 분류군들과 비교해 윤기가 나며, 우편은 마주나 배열되고, 소우편은 낫모양이 아니며, 불규칙하고 흑갈색인 비늘조각이 잎자루와 중축에 전체적으로 납작하게 밀집되어 있다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주요형질에 대한 두 분류군의 기재 및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 및 한국산 쇠고비속과 관중속의 홍지네고사리절 (sect. Hirpedes)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조개나물속(꿀풀과)의 미기록 식물: 분홍꽃조개나물 (First record of Ajuga nipponensis Makino (Lamiaceae) from Korea)

  • 김선유;문순화;김진석;김중현;이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5-167
    • /
    • 2013
  • 한국의 조개나물속은 주로 해발 50-1000 m의 낮은 산지 또는 저지대에 분포하며 5분류군이 알려져 있다. 한국산 조개나물속의 미기록 식물로 Ajuga nipponensis Makino를 보고한다. 본 분류군은 충청남도 보령시 녹도의 마을 주변 길가에서 확인하였다. A. nipponensis는 직립하거나 기며, 줄기는 뿌리부터 여러 갈래로 나뉘며, 화통은 길이 10-12 mm, 연한 흰분홍색으로 한국산 조개나물속 다른 분류군들과 구분이 된다. 국명은 화통의 색깔을 고려하여, '분홍꽃조개나물'로 신칭하였다. 한국산 조개나물속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 꿀풀과 미기록 식물: 갈래꿀풀 (The first report Prunella pinnatifida Benth. (Labiatae) in Korea)

  • 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3-168
    • /
    • 2010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꿀풀속 식물은 꿀풀(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두메꿀풀(P. vulgaris var. aleutica Fernald), 흰꿀풀(P. vulgaris for. albiflora Nakai)이 알려져 있는데, 국내 주요 표본관들의 표본조사를 통하여 P. pinnatifida Pers.가 다수 채집된 바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 중 전남 신안군 자은도에서의 분포를 재확인하였다. 꿀풀, 두메꿀풀, 흰꿀풀은 식물체 전체의 잎들이 거치가 없거나 미약한 거치가 있는 장타원형임에 비하여 갈래꿀풀의 잎은 매우 심하게 갈라진 열편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본 분류군의 국명을 갈래꿀풀로 칭하고 국내 미기록 분류군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갈래꿀풀에 대한 기재, 도해와 함께 갈래꿀풀을 포함한 한국산 꿀풀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고, 갈래꿀풀의 분류학적 문제점들을 논의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 깃주름고사리(개고사리과) (First record of Diplazium mettenianum (Miq.) C. Chr. var. metteniamum (Athyriaceae) from Korea)

  • 이창숙;이강협;고순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42-246
    • /
    • 2014
  • 개고사리과 미기록 분류군 깃주름고사리(Diplazium mettenianum var. mettenianum)가 제주도 민오름에서 발견되었다. 깃주름고사리는 주름고사리속의 다른 분류군들에 비해서 우편이 얕게 갈라지고 맨 아래 우편은 자루가 있으며 피침형이고, 우편의 열편은 가장자리가 찢어졌고, 끝이 뭉뚝한 점이 다른 종과 뚜렷이 구별된다. 새로운 국명은 우편이 갈라진다는 의미로 깃주름고사리로 하였고, 주요형질에 대한 종기재 및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 및 한국산 주름고사리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사초과 올챙이골속의 한국 미기록종: 고창고랭이 (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 (First record of Schoenoplectiella ×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 (Cyperaceae) from Korea)

  • 김종환;김민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7-271
    • /
    • 2016
  • 한국 미기록종인 고창고랭이(Schoenoplectiella ${\times}$uzenensis (Ohwi ex T. Koyama) Hayasaka)를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의 저수지에서 발견하였다. 고창고랭이는 짧게 기는 지하경이 있고 소수가 1-3개가 달리는데 반하여, 송이고랭이(S. triangulata)는 지하경이 아주 짧고 줄기가 빽빽이 모여나며 소수가 5-20개가 달리고, 제주올챙이골(S. lineolata)은 지하경이 길게 발달하고 소수가 1개가 달려 뚜렷이 구별된다. 이 미기록종의 국명은 고창군에 자라기 때문에 '고창고랭이'로 하였고, 고창고랭이에 대한 기재, 도해, 칼라도판 및 근연종 사이의 차이점을 검색표와 표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