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국지질조사국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Validation on the Bodywave Magnitude Estimation of the 2017 DPRK's Nuclear Test by Source Scaling (지진원 상대비율 측정법을 이용한 2017년 북한 핵실험의 실체파 규모 검증)

  • Kim, Tae S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1 no.6
    • /
    • pp.589-593
    • /
    • 2018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conducted the $6^{th}$ underground nuclear test at the Punggye-ri underground nuclear test site on September 27, 2017 12 hours 30 minutes of Korean local time. Comprehensive Nuclear-Test Ban Treaty Organization (CTBTO) under U.N. announced the body wave magnitude of the event was mb 6.1 while U.S. Geological Survey (USGS)'s calculation was mb 6.3.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of the magnitude estimates were investigated and verified. For this purpose, a source scaling between the $5^{th}$ and $6^{th}$ event, which's epicenters are 200 meters apart, was performed using seismic data sets from 30 broadband stations. The relative amplitude variations of the $6^{th}$ event compared to the $5^{th}$ event in the frequency domain was analyzed through the scaling. The increased amount of the bodywave magnitude $m_b$ for the $6^{th}$ event was calculated at 1 Hz, which was compared to those from USGS and CTBTO's calculations.

A Study on Rima Hadley Region of the Moon Using Moon Mineralogy Mapper(M3) Spectra (M3 스펙트럼 데이터를 이용한 달 Rima Hadley 지역 연구)

  • Oh, Youngseok;Jin, Ho;Kim, Khan-Hyuk;Kim, Sungsoo S.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51.1-51.1
    • /
    • 2015
  • 달의 지형 중 계곡과 같아 보이는 곳을 Rima 또는 Rille 지형이라고 부르며 국제천문연맹(IAU : 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과 미국지질조사국(USGS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 관리하는 행성 지명 사전(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에 명명된 달의 Rima 지역은 111개에 이른다. 그 중 Rima Hadley 지역은 아폴로 15호가 착륙한 지점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에 발사된 Chandrayaan-1 위성의 적외선 초분광 영상 탑재체인 Moon Mineralogy Mapper(M3) 데이터를 통해 Rima Hadley 지역의 분광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M3 데이터는 감람석(olivine)이 풍부한 지역에서는 1 um 를 중심으로 흡수선이 나타남을 보이며, (Peter J. Isaacson et al., 2011) 2.8 um 중심의 흡수선을 통해 달의 OH(hydroxyl) 분포에 대해 설명한다. (Carle M. Piters et al., 2009, Georgiana Y. Kramer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Rima Hadley 지역이 1 um 파장 근처에서 강한 흡수선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감람석이 풍부한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감람석이 풍부한 곳은 현무암 지역으로 과거 용암이 분출되어진 곳으로 추측 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발전시킨다면 Rima Hadley 지역의 생성과 다른 Rima 지형의 형성 과정에 대해 더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salt water intrusion and soil salinization in agricultural reclaimed lands by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에 따른 간척지의 해수침투 및 염류화 영향 평가)

  • Jung, Euntae;Park, Namsik;Park,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3-223
    • /
    • 2019
  •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해안 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야기해 해안 지하수의 염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해수면 상승은 토양 염류화를 심화시켜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며, 지하수위를 증가시켜 불포화대의 토양두께가 감소한다. 이처럼 지하수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포화대와 토양 염류화가 발생하는 불포화대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대부분 포화대와 불포화대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간척지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포화대의 해수침투 및 불포화대의 토양염류화 영향을 연계하여 모의하였다. 포화대 모의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개발한 3차원 이송확산 모델인 SUTRA, 불포화대 모의는 미국환경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에서 개발한 1차원 이송확산모델인 VADOFT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IPCC에서 공표한 바와 같이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고, 미래 21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라 해수침투 및 토양염류화 면적 그리고 지하수위 및 불포화대 토양두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한반도 91개 간척지에 대해서 모의를 수행하였고,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지하수 해수침투 면적이 $82.19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83.71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 염류화 면적은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22.25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24.86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호 또는 저수지가 있는 대상 지역에서는 해안선으로부터 거리 및 관리 수위가 해수 침투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서는 해안선 인근 저수지 수위의 적절한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안선의 위치변화와, 기존 관정에서의 양수량, 강수량 변화를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위의 세 가지 사항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water resources analysis in Jeju Island (제주도 수자원분석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2-362
    • /
    • 2019
  • 제주도는 화산섬의 지질특성상 지표수의 개발이용여건이 취약한 관계로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는 정책 및 연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지하수의 보전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하수위의 하강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수침투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제주도 일부지역에서는 축산폐수 등으로 인해 지하수의 수질오염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 지하수의 수량 및 수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제주도의 수자원의 개발 및 이용 여건을 고려할 때, 지하수의 수량 및 수질에 대한 학술적 토대가 확고히 구축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응한 최적 물관리기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제주도의 수자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제주도 전역에 대해 최신의 분석방법을 사용한 종합적인 연구가 아닌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하지질분석, 지구물리탐사 및 대수성시험 위주의 단편적 분석, 개념적 수문모델의 적용에 의한 대략적인 분석, 또는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하수 흐름분석 및 해수침투 분석 위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 일부지역의 지하지질이 제주도의 복잡한 지하지질특성을 대표할 수 없다는 점과 둘째, 개념적 수문모델은 제주도와 같이 강우의 큰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할 수 없으며 지하지질 특성의 공간적 변동성 또한 적절히 반영할 수 없다는 점 및 셋째, 지하수의 이동은 유역경계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독립된 소유역을 대상으로 산정한 지하수 부존량은 소유역내 실제 지하수 부존량과 다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별적으로 수행된 지표수, 지하수 및 수질 분석들은 서로 연결성이 없어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아 그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제주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주도 전역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제주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최신의 분포형 수문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 수문모델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상호작용과 해수침투 및 수질 또한 모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개발된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미래 수자원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해외연구사례로서 미국지질조사국이 하와이 섬들 및 괌 등에 대해 수행했던 연구들을 참고할 수 있다. 제주도 전체에 대한 신뢰할만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는 제주도 수자원의 정책수립에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Korean Peninsula VS30 Map Based on Proxy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일반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프락시 기반 한반도 VS30지도 개발)

  • Choi, Inhyeok;Yoo, Byeongho;Kwak, Dongyoup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1
    • /
    • pp.35-44
    • /
    • 2022
  • The VS30 map is used as a key variable for site amplification in the ShakeMap, which predicts ground motion at any site. However, no VS30 map considering Korean geology and geomorphology has been developed yet. To develop a proxy-based VS30 map, we used 1,101 VS profiles obtained from a geophysical survey and collected proxy layers of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inform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Then, VS30 prediction models were develop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geological age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VS30. As a result, models depending on geomorphology were suggested per each geologic group, including Quaternary, Fill, Ocean, Mesozoic group and Precambrian. Resolution of map is doubled from that of VS30 map by U.S. Geological Survey (USGS).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 in natural log of proxy-based VS30 map is 0.233, whereas standard deviation of slope-based USGS VS30 map is 0.387. Therefore, the proxy-based VS30 map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less uncertainty and to contribute to predicting more accurately the ground motion amplitude.

A Property of Seismic Response with Log-normal Distribution at SDOF Structure (단자유도계 구조물의 로그정규분포 지진응답 특성)

  • Chung, Youn-In;Kim, Koon-Chan;Chey, Min-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303-308
    • /
    • 2019
  •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deriving earthquake response based on log-normal distribution in order to obtain realistic and reliabl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seismic response of structures. The development of three earthquake suites were presented, with a brief description of 2%, 10%, and 50% in 50 years probability of exceedance according the USGS Los Angeles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maps. In order to analyze the basic dynamic behavior, a Single-Degree-of-Freedom (SDOF) structure was selected and the seismic response spectrum representing the response of each natural period was plotted. Overall, the mean response values presented through the log-normal distribution is lower than th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former method can be provided as the effective cost on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more than the latter one.

Correction of discharge data_Case of measurement location separated from the gauging station (유량자료의 보정_관측소와 이격된 측정위치 경우)

  • Hwang-Bo, Jong Gu;Baek, Kyung Ho;Yun, Hyun 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9-319
    • /
    • 2021
  • 유량측정은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위치가 변동된다. 도섭법은 관측자가 직접 하천을 횡단하며 측정하는 방법이며 수심이 얕은 경우 가능하다. 보트법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간적 제약을 덜 받으며 교량법의 경우 이용 가능한 교량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량법은 현장여건에 따라 관측소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측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한다면 그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서는 관측소와 측정위치가 멀리 떨어진 경우 측정된 유량을 보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량 보정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이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 특히 외삽부분에서 큰 오류를 유발할 수도 있어 신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관측소와 측정위치가 현저하게 먼 경우 유량 보정방법을 살펴보고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상지점인 낙동강 유역의 안동시(운산리) 지점은 홍수측정위치와 수위관측소 위치가 약 1.7km 이격되어 있으며, 2020년 측정성과(부자)를 이용하여 이를 보정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보정결과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이 최고 5.0%, 평균 3.7%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동시(운산리)지점은 2020년 측정 최고수위가 3.35m이며, 이는 평수위에서 약 2.00m 가량 상승한 것으로 최고 홍수위로 보기는 어렵다. 즉 이보다 더 큰 홍수 사상이 발생하여 수위가 더 상승한다면 실측유량과 보정유량의 차이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위관측소와 측정위치가 이격된 경우 측정된 성과가 루프(Loop) 형태를 보일 수 있어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act Assessment of Sea_Level Rise based on Coastal Vulnerability Index (연안 취약성 지수를 활용한 해수면 상승 영향평가 방안 연구)

  • Lee, Haemi;Kang, Tae soon;Cho, Kwa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7 no.5
    • /
    • pp.304-314
    • /
    • 2015
  • We hav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coastal vulnerability index(CVI) to be guided into an appropriate CVI development for Korean coast and applied a methodology into the east coast of Korea to quantify coastal vulnerability by future sea_level rise. The CVIs reviewed includes USGS CVI, sea_level rise CVI, compound CVI, and multi scale CVI. The USGS CVI, expressed into the external forcing of sea_level rise, wave and tide, and adaptive capacity of morphology, erosion and slope, is adopted here for CVI quantification. The range of CVI is 1.826~22.361 with a mean of 7.085 for present condition and increases into 2.887~30.619 with a mean of 12.361 for the year of 2100(1 m sea_level rise). The index "VERY HIGH" is currently 8.57% of the coast and occupies 35.56% in 2100. The pattern of CVI change by sea_level rise is different to different local areas, and Gangneung, Yangyang and Goseong show the highest increase. The land use pattern in the "VERY HIGH" index is dominated by both human system of housing complex, road, cropland, etc, and natural system of sand, wetland, forestry, etc., which suggests existing land utilization should be reframed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Though CVI approach is highly efficient to deal with a large set of climate scenarios entailed in climate impact assessment due to uncertainties, we also propose three_level assessment for the application of CVI methodology in the site specific adaptation such as first screening assessment by CVI, second scoping assessment by impact model, and final risk quantification with the result of impact model.

A Proposal for Simplified Velocity Estimation for Practical Applicability (실무 적용성이 용이한 간편 유속 산정식 제안)

  • Tai-Ho Choo;Jong-Cheol Seo; Hyeon-Gu Choi;Kun-Hak Ch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5 no.2
    • /
    • pp.75-82
    • /
    • 2023
  • Data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streams ar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water resources, and many experts are conducting research to make more accurate measurements. Especially, in Korea, monsoon rains and heavy rains are concentrated in summer due to the nature of the climate, so floods occur frequ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flow rate most accurately during a flood to predict and prevent flooding. Thus, the U.S. Geological Survey (USGS) introduces 1, 2, 3 point method using a flow meter as one way to measure the average flow rat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average flow rate with the existing 1, 2, 3 point method alone.This paper proposes a new 1, 2, 3 point method formula, which is more accurate, utilizing one probabilistic entropy concept. This is considered to be a highly empirical study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Data and Flume data were used in the number of holesman to demonstrate the utility of the proposed formul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Flume Data, the existing USGS 1 point method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 was 7.6% on average, 8.6% on the 2 point method, and 8.1% on the 3 point method. In the case of Coleman Data, the 1 point method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5%, the 2 point method 5.6% and the 3 point method 5.3%.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formula using the concept of entropy reduced the error rate by about 6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Flume Data averaging 4.7% for the 1 point method, 5.7% for the 2 point method, and 5.2% for the 3 point method. In addition, Coleman Data showed an average error of 2.5% in the 1 point method, 3.1% in the 2 point method, and 2.8% in the 3 point method, reducing the error rate by about 5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This study can calculate the average flow rate more accurately than the existing 1, 2, 3 point method, which can be useful in many ways, including future river disaster management, design and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