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국국립의학도서관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search on Service Development Plans for the National Center for Med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국립의과학지식센터 서비스 발전 방안을 위한 연구 - 미국 국립의학도서관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

  • Hey-Young R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5 no.1
    • /
    • pp.243-272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services of 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the world's largest medical library, and the National Center for Med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Korea's national medical library. Core services that need to be improved are topic-specific services, community services, services by user type, educational services, technology, facility/space services, research support services, and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and cooperation services. Specialized libraries are also increasingly interested in topic-specific services and public services. Efficiency in access through services for each type of user is needed, and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services that do not limit the target audience are also needed. Marketing through AI, virtual reality, and technology, facility, and space services to support the disabled, research support services centered on research ethics, research grants, and programs, and collaborative services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braries, academic societies,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in other related fields and publicity are also needed.

A Review of Structure and Application of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UMLS) (통합의학언어 시스템(UMLS)의 구성 및 적용에 대한 고찰)

  • Kim, Hye-Su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2
    • /
    • pp.26-39
    • /
    • 2001
  • Various controlled vocabularies such as thesaurus and classification used for effective information retrieval contain different terms in expressing the same concept or meaning.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as developed the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UMLS) to solve the problems of information retrieval and integration resulted from the difference of concepts between different sources. The UMLS development was initiated in 1982 as a long-term project, and the 2001 edition of the UMLS consists of three parts : Metathesaurus, Semantic Network, and SPECIALIST Lexicon. This paper reviews background and structure of the UMLS including applications in PubMed, NLM Gateway.

  • PDF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 USA (미국 도서관정보서비스의 현황과 동향)

  • Kim Su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2 no.1
    • /
    • pp.27-43
    • /
    • 1998
  •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in USA,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library automation system, library cooperation, Internet andinformation services, activities of information services organizations. Client/server computing and integrated Web-based technology make it possible for libraries to build a new generation of automated library systems, and digital libraries project is the highest priority. As a cooperative effort among libraries, they formed consortia such as ARL/AAU on the national level. and CIC on the regional level, and GALILEO, LLN, OhioLink, Texshare, VIVA, ILLINET on the state level information netwok. The Internet and the World Wide Web have a huge impact, so American libraries are developing new skills to provide value-added information services using Internet resources. Lastly, recent information activities of the LC, NAL, NLM, ERIC, NTIS are described.

  • PDF

A Study of System Design for public using to Korea Medical Journal Information (한국의 의학학술잡지 공동이용을 위한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송준용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1
    • /
    • pp.45-66
    • /
    • 2000
  • Most of Korean Medical researcher is using MEDLINE which is made by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in U.S. However we have not such total database of medical information. And so, we have designed medical literature article system, serial union cataloging system and interlibrary loan system as library total system. All Korean Medical Association member input bibliographic data and holding data. Medical researcher can access medical literature article system at www and then access holding data and they can use interlibrary loan system in online. The object of this total system is that medical researcher as well as medical librarian can easily retrive medical literature and gain original article.

  • PDF

The value and sharing of medical research data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Kim, Na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4-104
    • /
    • 2017
  • 연구 데이터란 과학적 연구에서 사용된 일차 자료와 연구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연구의 결과로서 수치, 문자, 이미지, 음성 등의 사실적 기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주제 분야인 의학은 잠재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고 공익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종류와 관리의 필요성을 통해서 그 가치와 공유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 데이터의 대표적인 임상 시험 기록과 연구 논문의 발표와 공유 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도서관의 역할이 어떤 것인가를 짚어보고자 한다. 의학 연구 데이터는 환자 진료기록, 건강 검진 기록, 임상 기록, 사망 기록, 임상 시험 기록, 유전체 정보, 연구 논문 등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며 대용량인 경우가 많다. 의학 연구는 개인 정보보호와 윤리적인 문제 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어려운 점이 많은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질병 치료나 예방 나아가 인류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보존과 공개, 공유를 위한 관리는 큰 의미가 있다. 의학 연구 데이터관리는 새로운 연구의 밑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중 저개발 국가의 연구자들에게도 큰 기회를 부여하여 세계적인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임상 시험 결과에 대한 은폐와 거짓 연구 방지에도 의미가 있어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학술 연구 논문 발표에 사용된 데이터는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임상 시험 등록으로 공인된 사이트는 NIH의 ClinicalTrials.gov, ICTRP의 Primary Registry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관리하는 CRIS 등이 있다. 의학 연구자들은 연구의 시작부터 연구 데이터를 수집, 사용, 보존, 공유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나 시간적 물리적인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는 도서관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로 Virginia Commonwealth 대학 도서관과 Emory 대학 도서관 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연구 과정에서 사서의 지원이 가능한 새로운 기회로 연구자의 데이터관리를 위한 단계별 스토리를 조직하고 DMP 작성 지원 및 교육 등을 통해서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새로운 역할자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MeSH Semi Indexing of the Korean Biomedical Literature, using NLM Medical Text Indexer (NLM Medical Text Indexer를 활용한 우리나라 의학문헌의 MeSH Semi Indexing 방안)

  • Jeong, Sona;Lee, Choon Sh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8a
    • /
    • pp.21-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PubMed에 등재되었으나 Medical Subject Headings(MeSH)가 부여되지 않은 국내 의학학술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미국국립의학도서관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의 Medical Text Indexer(MTI)를 활용하여 MeSH 용어를 추천받은 후, PubMed 레코드의 유사주제문헌 (Relation Citations, PRC)에 부여된 MeSH와의 일치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논문의 저자가 부여한 키워드(저자키워드)와 PRC MeSH의 일치여부도 비교하였다. PRC MeSH와 MTI MeSH 추천어의 일치율은 주표목이 21.1%였고, 체크태그는 18.1%, 부표목은 16.5%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의학논문에 나타난 저자키워드의 중요한 특징은 MeSH 주표목 위주이고, 체크태그와 부표목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키워드와 PRC MeSH 주표목과의 일치율은 23.4%에 이르지만, 체크태그와 부표목의 일치율은 각각 1%, 2.1%였다. 색인전문가가 통제어휘를 사용하여 색인하는 과정에서 PRC와 MTI의 MeSH 주표목과 저자키워드가 일치하는 용어를 주표목으로 부여하고, PRC와 MTI가 추천하는 체크태그와 부표목을 활용하는 등 국내 의학문헌의 MeSH 용어 부여 작업을 반자동화(semi-indexing)하면, 정확하고 신속한 MeSH 부여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 PDF

A Trend Study o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Resources (과학기술정보 장서개발정책에 관한 동향연구)

  • Lee, Seon-Hee;Choi, Hee-Y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5
    • /
    • pp.337-345
    • /
    • 2009
  • World leading national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provide scientists with R&D information for increasing national competitivenes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the guidelines for the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that identify information resources and connect them together to build an information network for supporting R&D. In order to draw main elements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national leve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this paper analyzed the policies of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British Library (BL), Canada Institute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CISTI), and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guidelines for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for establishing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clus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al Terms into the UMLS (한의학 용어의 UMLS 등재 - KIOM 용어정제연구 중 경혈명(經穴名)을 중심으로-)

  • Kim, Jin-hyun;Kim, Sang-kyun;Jang, Hyunchul;Kim, Minah;Oh, Yong-taek;Bae, Sunhee;Kim, Changseok;Jeon, Byounguk;Kim, Jae-Hun;Song, M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5-18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국립의학도서관(NLM)의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UMLS)에 한의학의 용어를 등재하는 것이다. 1차 등재 대상으로 한국한의학연구원(KIOM)에서 진행중인 한의학 용어 정제 연구 결과물 중 임(任) 독맥(督脈)과 12정경(正經)에 속하는 360개의 경혈명(經穴名)의 Concept Unique Identify(CUI)를 선정하였다. UMLS Knowledge Source Server (UMLSKS)의 메타시소러스 검색을 통해 UMLS 내 경혈(經穴)용어에 대한 terminology정보를 수집,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용어간 개념 비교를 통해 UMLS의 경혈(經穴)용어와 KIOM의 경혈(經穴)용어를 매핑하였다. 마지막으로 Rich Release Format(RRF)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8 (UTF-8)로 인코딩하여 NLM으로 송부하였다. NLM에서 용어 등재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별한 후 2010AB버젼에 "TKMT2010"이라는 소스명으로 한글로 된 한의학 용어가 최초로 UMLS에 등재되었다. 향후 UMLS와 같은 국제표준의학용어와 연계를 통해 한의학 용어가 다양한 의학용어체계와 상호호완성을 확보하고 표준화, 세계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Improvements of the Pharmacy Field in the 6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제6판 약학 분야의 분류항목 전개 개선방안)

  • Chung, Ok Kyung;Lee, Jangik;Choi, J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281-29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of pharmacy field in the KDC 6th edi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reviewed academic area and system of pharmacy. Second, we analyzed headings of pharmacy field from first edition to 6th edition. Third, we analyzed change process of classification items in pharmacy field. Forth, we investigated general problems concerning pharmacy field in the KDC 6th edi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DDC, NLMC, and Research Field Code by Korean Research Foundation. As a result, pharmacy field of KDC has never changed since its 4th edition. And then, this study was added new subjects related to sections and subsections of pharmacy and suggested modern terminology. Also newly assigned pharmaceutics industry, cancer treatment and biological pharmaceutics fields under 518.7-.8 which do not use in pharmacy field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Survey of the public's knowledge and opinions;the therapeutic effects of current orally administered drugs for periodontal diseases (시판중인 경구 치주질환치료제의 효과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조사)

  • Sohn, Kang-Bae;Yang, Byung-Kun;Lee, Chul-Woo;Kim, Tae-Il;Ku, Young;Han, Soo-B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179-194
    • /
    • 2006
  • 목적 :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치주질환 치료제에 대한 인식도를 설문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현재 국내에서 시판중인 치주질환, 치료제를 의약품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한 치료제의 효과를 해당 약품의 성분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 일반인의 치주질환 치료제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열 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산업의학과에 정기 건강검진을 위하여 내원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치주질환 치료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킴스 온라인 홈페이지를 이용하였다. 의약품 종합 검색 페이지에서 '추가조건 입력하기'의 '복지부 분류'란에 '231. 치과-구강용약'의 조건을 주어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로부터 경구 치주질환 치료제를 구별하여 정리하였다. 치주질환 치료제와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국 국립도서관의 검색 서비스인 Pubmed 홈페이지를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각 지료제의 성분명과 치은염, 치주염, 치주질환의 조합어를 사용하였다. 결과 : 설문에 참여한 사람은 100명이었다. 이 중 85%는 치주질환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었으며 72%는 자신의 치주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14%는 치주질환 치료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었다. 61%는 치주질환 치료제에 관한 정보를 광고로부터 획득하였다. 향후 치주질환 치료제의 선택과 관련하여 35%는 치과의사에게, 24%는 의사에게 그리고 20%는 약사에게 문의하겠다고 대답하였다. 치주질환 치료제는 70개였다. 이 중 38개는 아스코르빈산 제제, 25개는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 제제, 5개는 저용량 독시싸이클린 제제였고 아보카도-콩 불검화물과 동양의학적 제제가 각각 한 개였다. 결론 : 치주질환 치료제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정보를 획득하는 주요 경로는 광고였다. 일반인들이 치주질환 치료제를 선택하는 데 치과의사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시판중인 치주질환 치료제는 70개였다. 치료제는 다섯 개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아스코르빈산 제제,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 및 저용량 독시싸이클린이 대부분이었고 아보카도-콩 불검화물과 동양의학적 제제는 각각 한 개였다.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과 저용량 독시싸이클린은 임상 연구에 의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아스코르빈산 제제는 임상 연구가 없었으며 따라서 이상적인 제제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문헌에 기초하여 볼 때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과 저용량 독시싸이클린만이 전통적인 치주질환 치료법(SRP)과 병행하여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