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각 연상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ingle Color Association of the Palate based on Synesthesia Characteristics (공감각적 특성에 기초한 미각에 대한 단색 연상 색채 기초연구)

  • Lee, Hyun Y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35-236
    • /
    • 2012
  • 색채의 공감각적 특성에 기초하여 대학생들의 미각에 대한 단색 연상 색채를 조사함으로써 현 시대의 대학생들이 느끼는 미각에 대한 대표적인 공감각적 색채를 찾아내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상을 활용하여 미각에 대한 색채의 공감각에 대해 기초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연상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기본 미각의 대표컬러로써 대학생들이 선택한 단맛은 빨강과 노랑, 핑크와 초컬릿 색, 짠맛은 흰색, 회색, 빨강과 검정 등이 추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tastes used mostly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색과 미각의 관계에 관한 연구)

  • Choi, Hyoung-Soon;Kim, Yoo-Jin;Lee, Kyung-W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4
    • /
    • pp.471-480
    • /
    • 2009
  • According to former studies, people can imagine the specific taste by the specific color, not every color. Besides, studies also say that the relation between colors and tastes is decided by personal experience and frequency about the color of food. So the authors supposed that there is the specific color related the taste. To find the relation, we selected 24 colors and 24 taste adjectives mainly used by people. Then, we examined taste imagined on color with questionnaires of 20 college students who are sensitive to colors and able to use all 24 taste adjectives. Then we analyzed the result by MDS. Finally we could find 5 definite relations between colors and tastes.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colors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tastes are quite limited. Also, only limited colors can be associated with tastes and it is different by sex. This study shows not only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r and the taste but also how closely the taste is related to other colors. This study can be used for effective food package design, advertising and so on.

  • PDF

A Study on Applied Synesthesia Visualization of Brand Design (브랜드 디자인의 공감각적 시각화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74-87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활동 중 감각적 이미지 전략 구축 중 디자인 요소의 선택과 같은 프로세스를 체계화하며, 제품 제작 담당자에게 전달자와 수용자의 감각 이미지 연구를 통하여 감각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여러 감각이 혼합되어 있는 공감각이라는 인간의 감각이 브랜드 관련 기업, 제품, 서비스, 기관 등에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 표현되는지 현황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이해와 고찰 및 사례분석 등은 유사한 논제의 국내 외 문헌조사와 2009년 후반기까지 시판 중인 제품의 인터넷 자료를 병행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시각적인 공감각은 제품의 연상되는 형태, 로고디자인의 형태, 재료의 색상을 통하여 식감을 자극하고 있었다. 둘째, 청각적 공감각은 의성어나 소리를 연상시키는 심볼마크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었다. 셋째, 후각적 공감각은 향기 나는 소리나 향기 나는 원재료, 향기 나는 매장 등을 통하여 후각을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미각적 공감각은 제품의 신속함이나 달콤함 또는 연상되는 맛을 통하여 독특한 미각을 메타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 다섯째, 촉각적 공감각은 패키지 모양이나 형태, 제품명에서 느껴지는 온도, 제품 표면질감을 다른 소재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촉각을 자극하고 있었다. 이러한 공감각을 이용한 브랜드와 디자인은 소비자로 하여금 오감을 자극하여 감성시대에 능동적 감성디자인 소비자로 변화시키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Food Colors on the Associations of Flavor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 김유진;권은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9-75
    • /
    • 2001
  • 식품의 맛은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에서 느낀 여러 가지 인상과 개인의 경험이나 기호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인식된다. 특히 맛을 결정하는 영향 요인 중에서 시각을 통해 인지하는 색은 실제 맛을 지각하기 전에 맛에 대한 이미지를 연상시킴으로써, 식품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식품색을 적용함에 있어 식품 자체의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색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좀더 관능적으로 선호할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특정 식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인지하게 되는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서 색채를 사용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초콜릿색에서 연상되는 맛에 관한 웹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색에서 연상하게 되는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하고, 초콜릿 맛의 종류와 느낌의 정도에 따른 주요 색채의 경향성을 도출함으로써 시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초콜릿 맛의 공감각적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였다.

  • PDF

Beverage Taste Perception Influenced by Its Turbidity: Results from Twenties and Thirties (탁도에 따른 음료의 미각 인지: 20, 3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 Kim, Taesu;Choi, Kyungah;Suk, Hyeon-Jeo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0 no.2
    • /
    • pp.3-10
    • /
    • 201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ross-mod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turbidity and taste of beverages. For an empirical study, we employed two types of achromatic beverages: rice wine and a soft drink. The turbidity of each drink varied between 0.0625~32 g/L, and 0.0078~4 g/L, respectively, and the stimuli were prepared in ten levels according to cognitive turbidity. In the study, participants (N=35) rated each drink stimulus using a 3-point Likert scale with regard to five basic tastes: sweet, salty, bitter, sour, and preferred. In addition, six specific tastes were included that deliberately describe rice wine and the soft drink. Three were yeasty, alcoholic, and astringent for the rice wine, and the other three were creamy, bubbly, and syrupy for the soft drink. Based on participants' assessments, the turbidity of rice wine i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five basic tastes. In contrast, the turbidity of the soft drin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ur only. Concerning preference, the most preferred turbidity of rice wine was 4.6~20 g/L, which is close to the turbidity of existing products on the market. Furthermore, except for astringent and syrupy, all tastes were influenced by the turbidity, which implies the potential of turbidity as a new visual parameter to communicate the taste experience of beverages.

The Effect of Food Color on the Association of Flavor -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 김유진;권은숙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4 no.2
    • /
    • pp.25-32
    • /
    • 2001
  • The flavor of food is not decided by only the sense of taste. Flavor is a complex ,ionization involving taste and aroma. It is also affected by the appearance, color and shape and touch or texture of food. Although our all senses are crucial factors in recognizing the sense of food, the sense of vision, especially colors, is a more crucial aspect. Because when consumers contact food, first of all, they see and recognize the color of the food and associate the flavor of the food as the colors of the food.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for applying colors to food so that consumers can associate the flavor of food efficiently. This study conducts a case study using web survey about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shows crucial factors influencing the association of food and color palettes according to sorts and degrees of chocolate's tas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