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 분포

Search Result 4,86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Generation of Inflow using Physical based Distributed Model for Establishing Water Supply Standard of New Dam (신규댐 용수공급 조정기준 수립을 위한 물리적 기반 분포형 모형 적용 댐 유입량 생산)

  • Son, Chan-Young;Kim, Bong-Jae;Lim, Dong-Jin;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0-40
    • /
    • 2018
  • 현실화된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수패턴 및 강수량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물 관리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2014년부터 시작된 극심한 가뭄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예로 보령댐의 경우 저수율이 2015년 19%, 2017년 8.3%로 역대 최저를 기록한 바 있고 2018년 3월 기준 운문댐과 밀양댐의 경우 저수율이 각각 11%(심각), 26.2%(경계)로 극심한 물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극심한 가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시설간 연계 운영, 급수체계 조정, 도수로 가동 등과 같은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저수용량에 따라 용수공급량을 감축하는 형태의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인 용수공급 조정기준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용수공급 조정기준은 국토교통부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뭄에 대하여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준으로 다목적댐의 저수량을 기준으로 단계별(관심, 주의, 경계, 심각) 공급량을 감축하여 장기간 공급함으로써 국가재난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최소 20년 이상의 과거 관측된 유입량 자료를 모의 발생하여 이수안전도 95%이상을 만족하는 단계별 용수공급 조정 기준선을 작성하게 된다. 하지만 신규 댐의 경우 관측된 유입량 자료가 전무함에 따라 용수공급 조정 기준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유입량 자료를 생산하기 위해 첫 번째로 물리적 기반인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구축하고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이처럼 구축된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다수의 유입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두 번째로 SAMS 2007을 이용하여 유입량 자료를 모의 발생시켰으며 이를 저수지 운영에 활용하여 이수안전도 95%를 만족하는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극심한 가뭄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용수공급 및 수자원 확보 등 이수적인 측면에서 크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Water Budget Analysis with Inter-basin Water Transfer Taken Spatially into Considerations (외부공급을 공간적으로 고려한 물수지 분석)

  • Yoon, Yong Nam;Kim, Tae Gue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1
    • /
    • pp.89-96
    • /
    • 1993
  • The conventional water budget analysis methods for major water works do not take the spatial variati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into account. There has also been a tendency of over-estim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when a significant inter-basin water transfer is involved. Therefore, a revised water budget analysis methodology is proposed which can take care of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water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basin and with the inter-basin transferable water. For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the Saemangeum project area is taken for the analysis, which includes both the Dongjin and the Mangyungs River basin, one of the regions with the most complex water utilization.

  • PDF

국내산 돈육의 오염도 및 병원성 미생물 분포조사

  • Lee, Hwan-Ju;Lee, Seon-Min;Yang, Jeong-Im;Han, Ja-Eun;Lee, Su-Gyeong;Kim, M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47-149
    • /
    • 2004
  • 본 연구는 국내산 돈육의 오염도 및 병원균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가공전의 원료육과 절단 가공 후의 포장육의 병원균 오염도 비교시, 원료육 38.7% 포장육 32.3%로 원료육의 오염도가 더 높았다. 이는 비위생적인 도축시의 오염으로 추정이 가능하며 현재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도축장의 HACCP 관리기준을 더욱 준수하여 위생안전성을 높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병원균에서는 L. monocytogenes의 분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초기 오염이 제어되지 않을시, 저온성장균이라는 특징을 가진 증식은 L. monocytogenes 보관온도 준수만으로는 억제할 수 없다고 사료된다. 또한 축산물 취급 장소별로도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며, 가장 낮은 오염 수치인 8.3%와 가장 높은 81.8%의 차이로 보아, 원료 축산물과 관련하여 취급 장소의 위생상태가 축산물의 안전성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사료된다.

  • PDF

Description of Daphnia obtusa Kurz(Branchiopoda, Anomopoda, Daphniidae) in Korea, with Noteson Distribution and Ecology (한국산 몽당물벼룩(새각 강, 이지 목, 물벼룩 과)의 기재 및 종의 분포와 생태학적 특성의 고찰)

  • Yoon, Seong-Myeong;Kim, Sa-Heung;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2 no.4
    • /
    • pp.359-374
    • /
    • 1996
  • The speciemens of Daphnia obtusa collected from various freshwater habitats at 13 localities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form May 1980 to May 1996 were examined. In this paper D. obtusa in Korea is described and figured, and discussed with distribution and ecology.

  • PDF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Considering Water Balance and Groundwater Head Variation in Watershed (유역물수지와 지하수위변동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 Chung, Il-Moon;Kim, Nam-Won;Lee, Jeong-Woo;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93-697
    • /
    • 2007
  •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유역물수지 모형 또는 지하수위 변동곡선법등이 활용되어 왔으며, 각각의 장단점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 지역내의 지하수 관리계획을 위해서는 유역물수지 모형이 적합한 반면, 실제(actual) 함양량의 정확성 문제가 있으며, 지하수위 변동곡선법은 실제 지하수의 증감을 통해 실제 함양변화를 잘 표현하는 반면, 그 영향권이 관측공에 의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두 방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역유출모의와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문학적 과정으로 함양을 분석하기 위해 준분포형 수문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유동해석 모형인 MODFLOW의 결합모형을 이용한 유역단위 유출해석을 수행한다. 실제로 하천변에 위치한 관측공에서의 지하수위는 하천유출시계열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상류 경사지에 위치한 관측공의 지하수위는 토양수의 지체와 감수현상을 나타내므로 이같이 시간적으로 상이한 지체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모형내의 비포화대를 통과하는 함양의 거동을 기존의 단일 저수지 모형에서 다단 저수지 모형으로 개선하고 지체함수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보정함으로써 모의 함양 시계열과 관측 지하수위 시계열간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모의 및 관측 지하수위 분포의 비교를 통해 공간적인 지하수 분포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함양량 산정 절차가 완성된다. 이같은 일련의 절차는 기존의 유역물수지 모형과 지하수위 변동법을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기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성빈맥(1예), 저심박출증(3예), 재수술이 필요했던 출혈(2예), 흉골 지연봉합(2예), 급성 신부전(2예), 폐렴(1예), 대동맥내 풍선펌프로 인한 혈전색전증(1예),수술 후 섬망(2예) 등이 있었다. 생존한 10명의 환자들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38{\pm}40$개월간의 추적관찰이 되었는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3명이 사망하였고 생존한 6명의 환자는 모두 양호한 상태(NYHA 기능등급, $I{\sim}II$)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

  • PDF

Depth-dependent Variations in Elemental and Mineral Distribution in the Deep Oceanic Floor Sediments (WP21GPC04) near the Mariana Trench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마리아나 해구에 인접한 서태평양 심해평원의 정점 WP21GPC04에서 수집된 해양 퇴적물의 깊이에 따른 원소 및 광물 분포 변화)

  • Junte Heo;Seohee Yun;Jonguk Kim;Young Tak Ko;Yongjae L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6 no.5
    • /
    • pp.581-588
    • /
    • 2023
  • This study reports depth-dependent elemental distribution and mineral abundance of the oceanic sediment sample (WP21GPC04) near the Mariana Trench collected during the WP21 expedition in 2021. The elemental distribution determined by μ-XRF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varying depth, with an average SiO2 53.91 wt%, FeO 4.48 wt%, Al2O3 16.56 wt%, MgO 2.56 wt%, CaO 4.79 wt%, Na2O 3.52 wt%, K2O 5.48 wt%, similar to the average chemical composition of global subducting sediments (GLOSS). The mineral abundances analyzed using synchrotron XRD, however, vary with depth. While quartz, mica, and plagioclase were identified at all depths, chlorite was found at shallow depths, and zeolite group minerals, phillipsite and heulandite, showed a gradual change in phase fraction with depth. This suggests a change in sedimentation and alteration environments in the region, or the potential for coexistence emerges due to similar sediment stability. Overall,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the future investigations on the evolu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near the Mariana Trench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and the phase distribution and the behavior of subducting oceanic sediments, which will affect the litho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riana susduction system.

Gas hydrate-bearing venting strucutres in the Sea of Okhotsk (오호츠크해의 가스하이드레이트 함유 가스분출구조)

  • Jin, Young-Keun;Chung, Kyoung-Ho;Party, Chaos Scientific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01-503
    • /
    • 2007
  • 오호츠크해 사할린 북동 해저사면지역은 세계적인 가스수화물 산출지역으로 알려져있다. 이미 2005년 탐사에서 50 cm 두께의 순수 가스수화물 시료를 해저면에서 채취한 지역이다. 2006년 탐사에서는 다양한 주파수대역의 고해상도 지구불리장비를 사용하여 탐사를 실시하였다. Side-scan Sonal와 3.5 kHz SBP 탐사, 수중음향 탐사를 통해 대규모 하도구조가 가스수화물지역의 북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가스수화물의 BSR은 수심에 얕아짐에 따라 계속해서 심도가 감소하여 수심 약 300 m에서 해저면에 다다름. 이는 연구지역에서의 가스수화물 안정대의 상부경계가 약 300 m임을 시사한다 가스수화물 분출구조들은 약 1000m 수심을 경계로 천부에 분포하고, 해저면에는 원형의 가스분출구조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1000 m 수심보다 깊은 지역에서는 mud-dirpir의 상승구조로 판단되는 상승구조들이 해저면에 굴곡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해수중으로 분출하는 가스기둥들은 수심 111.2 m에서 1226.4 m 지점까지 다양한 수심에서 분포하며, 상승높이는 최대 750 m에 이르며, 약 150 m 수심까지 도달한다. 이는 해저에서 분출되는 메탄가스가 해수에 흡수되지 않고 해수면까지 이동하여 대기중으로 발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stimation of Water Balance based on Satellite Data in the Korean Peninsula (人工衛星 資料에 근거한 한반도 물수지 분포의 推定)

  • 신사철
    • Water for future
    • /
    • v.29 no.5
    • /
    • pp.203-214
    • /
    • 1996
  • Quantifying water balance components i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basic hydrology and hydrochemistry. An importance of water balance has been suggested in order to grasp actual condition of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climatic changes. The present paper proposes an evaluation method of the water balance components based on vegetation monitoring from remote sensing data. In this study, evapotranspiration model adopts a directmethod by using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lculated from NOAA/AVHRR data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water balance by using the evapotranspiration in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al distribution data sets of evapotranspiration in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al distribution data sets of evapotranspiration, runoff ratio, water surplus and deficit are produced using NDVI and simplified water balance model. This method enables to discuss the hydrological problems for North Korea where enoug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ata are unavailable.

  • PDF

Absorbed Dose Analysis in Water for Proton Beam using PTRAN Code System (PTRAN 코드를 이용한 양성자선에 대한 물 흡수선량의 해석)

  • Kim Jin Young;Jeong Dong Hyeok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5 no.3
    • /
    • pp.140-148
    • /
    • 2004
  • The absorbed dose for proton beam in water was calculated using the PTRAN code system. The proton interactions with water and the description on absorbed dose calculations are discussed, and the file structure and an execution example of the PTRAN codes are described. For 60, 100, 150, 200, and 250 MeV proton beam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absorbed dose is determined from the sum of Coulomb interactions and nuclear reactions, and that the Bragg peak feature depends On the energy straggling and multiple scattering. The PTRAN code was useful for studying the fundamental mechanism of the absorbed dose to water for clinical proton beams.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ay density distribution of water spray system in road tunnel (터널 물분무소화설비의 살수밀도분포에 대한 실험연구)

  • So, Soo-Hyun;Park, Kyung-Hwa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3 no.1
    • /
    • pp.1-8
    • /
    • 2011
  • Spray density of the water spray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long road tunnels and hazardous vehicle tunnels is applied without proper performance assessment process. In this study, the requirements of Spray Density Guidelines at the standard pressure is investigated through spray test set up the nozzle of a water spray system in a simulated road tunnel.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nozzles used in the test area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Guidelines. The absence of performance test codes and inspection process on the nozzle at real scale in tunnels may have caused this practi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erformance test regulations of the nozzle on the water spray system is established in order to properly assess the system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