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피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유용식물 유전자원의 수집 보존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잡초를 대상으로- (Collecti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emphasis on weeds-)

  • 김길웅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9-18
    • /
    • 1990
  • 1. 잡초종 54종을 수집 보관중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발아력을 검정한 결과 치상후 15일째에 31종이 발아력을 보이고 그 가운데 50% 이상의 발아력을 보인것은 14종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잡초종은 휴면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어떤 형태로든지 휴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2.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피속 잡초종은 외형적으로 여러종이 발생하는것 같았으나 2종만이 존재하는데 한 종은 강피이고 다른 종은 돌피와 변종으로 물피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종자의 단백질 패턴 검정으로 종자 형태학적으로 분류한 종들을 재점검해 본 결과 강피는 돌피와 물피와는 달리 B zone에 주요 band가 있어서 쉽게 구분되었으나 돌피와 물피의 단백질 패턴이 유사하여 구분이 쉽지 않았다.

  • PDF

독도 돌피의 분류학적 실체 (Taxonomic Identity of Echinochloa crus-galli (L.) Beauv. var. crus-galli in Dokdo)

  • 최경수;손오경;손성원;김상준;유광필;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57-462
    • /
    • 2013
  • 독도에 자생하는 벼과(Poaceae) 식물인 돌피(Echinochloa crus-galli (L.) Beauv.)와 물피(Echinochloa crus-galli var. echinata (Willd.) Honda)의 분류학적 실체를 조사하였다. Echinochloa crus-galli complex에 속하는 2분류군 26개체에 대한 ITS, trnH-psbA 및 trnL-F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도의 돌피와 물피를 포함한 조사된 두 분류군은 유전자구간에서 동일한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호영 및 까락 등의 연속적인 형질로 두 분류군을 구분하는 기존의 형태형질에 근거한 분류학적 처리는 재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ITS 경우, 독도에서 채집된 물피와 돌피 개체들은 울릉도 및 육지에서 채집된 개체들과는 별개의 분계조를 형성함으로써 독립된 진화 경로를 거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로부터 Callus 유도(誘導)와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의 영향(影響) (Hormonal Effect on the Callus Induction from Perennial Weeds)

  • 김병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2
    • /
    • 1986
  •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Callus 유도(誘導)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키 위하여 식물체(植物體)의 종자(種子) 또는 Shoot-tip으로부터 Callus 유도(誘導)를 검정(檢定), 유도(誘導)된 Callus로부터 식물체분화(植物體分化), 제초제(除草劑)가 Callus 생체중량증가(生體重量增加)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Succinate dehydrogenase의 TTC 반응검정(反應檢定)을 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2,4-D 함량(含量)은 올방개와 너도방동산이의 종자(種子)는 1.0ppm, 너도방동산이의 shoot-tip은 4.0pm, 삼강벼와 물피에서는 2ppm이 Callus 유도(誘導)를 위한 과정농도(過定濃度)였다. 2. MS기본배지(基本培地)에다 2,4-D와 BA와 TIBA를 첨가시(添加時) BA는 2,4-D 단독처리(單獨處理)보다 억제적(抑制的)이나 TIBA 처리(處理)는 0.3 또는 0.5ppm 첨가구(添加區)가 2,4-D 단독처리구(單獨處理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삼강벼, 물피, 너도방동산이 종자(種子) 및 올방개 shoot-tip에서는 2,4-D 1.0ppm+TIBA 0.5ppm, 너도방동산이 shoot-tip에서는 2,4-D 1.0ppm+TIBA 0.3ppm 일 때가 가장 높았다. 3. Callus로부터 식물체분화율(植物體分化率)은 2,4-D에 Kinetin 첨가구(添加區)가 NAA에 Kinetin 첨가구(添加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고 물피는 2,4-D 0.8ppm+Kinetin 8.0 ppm에서 50%, 올방개는 2,4-D 1.6ppm+Kinetin 16.0ppm에서 33.3%가 분화(分化)가 되었으나 너도방동산이는 분화(分化)가 되지 않았다. 4. 제초제(除草劑) Londax 및 Basta는 농도(濃度)가 증가(增加)될수록 삼강벼, 물피, 올방개 및 너도방동산이의 Callus 유도(誘導) 또는 증식(增殖)을 억제(抑制)시켰고 $10^{-3}$M에서는 거의 100%가 억제(抑制)되었으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식물체간(植物體間)에 상이(相異)한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양제초제(兩除草劑])에서 삼강벼가 물피나 너도방동산이보다 내성(耐性)을 보였다. 5. TTC에 대(對)한 Succinate dehydrogenase의 반응(反應)은 공시식물(供試植物)의 전(全) Callus가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정반응(正反應)(+)을 보여서 Callus가 생존(生存)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금호강(대구, 경북)본류에서 유수변초본식생의 군락분류와 그 분포특성 (Syntaxonom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rbaceous Vegetation on Running Waterside in the Main Stream of Geumho River, Daegu and Gyeongsanbuk-do, Korea)

  • 이호준;정흥락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39-247
    • /
    • 2001
  • 1994년 6월부터 8월까지 금호강 본류의 유수변 초본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질환경과 관련된 식생의 분포특성을 밝혔다. 금호강 본류의 하변식생은 여뀌-미꾸리낚시군락(Persicaria sieboldi-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물봉선군락(Impatiens textori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물피군락(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community)의 6군락으로 분류되어있다.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BOD와 COD는 상류에서 각각 0.9ppm과 1.6ppm을 보였으며,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여 최하류에서는 각각 15.9ppm과 24.8ppm으로 나타났다. 하변식생의 분포유형은 최상류에 물봉선군락, 상류에서 중상류까지 여뀌-미꾸리낚시군락, 상류에서 중류까지 고마리군락, 중류에서 중하류까지 줄군락, 중하류에서 하류까지는 갈대군락 및 물피군락이 주로 우점하였다. 특히, 여뀌-미꾸리낚시군락과 고마리군락은 수환경의 생물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주요잡초 종자의 발아시 산소 요구도 (Oxygen Requirement for Germination of Weed Seeds)

  • 김소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49
    • /
    • 1978
  • 산소농도에 따른 질소, 산소혼합 gas중에서 7종의 잡초의 발아시험을 실시발아시의 산소요구도를 조사하였다. 1, 같은 잡초라도 종자의 전역에 따라 발아시의 산소요구도가 다른 경우가 있다. 2. 초종간의 발아시 산소요구도는 ヒメイヌボエ 여뀌>사마귀풀>물피>돌피>올챙고랭이>물달개비로서 올챙고랭이와 물달개비는 공기중 보다도 산소농도가 낮은 조건에서 발아가 양호 하였다. .3. 산소농도가 어느 농도보다도 저하하게 되면 유아의 신장 엽색의 발현이라던가 발근이 조해되었다.

  • PDF

Cyhalofop-butyl, 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ethyl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및 상호작용(相互作用) 기작(機作)에 관(關)하여 - 제(第) 2 보(報)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처리(處理)가 acetolactate synthase 활성(活性) 및 유리(遊離) 아미노산함량(含量)과 지방산함량(脂肪酸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Effect and its Mechanism of Herbicide Mixture of Cyhalofop-butyl, pyribenzoxim and Pyrazosulfuron-ethyl - II. Effect of Herbicide Mixture on the Activity of ALS, Content of Free Amino Acids and Fatty Acids)

  • 오명근;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4
    • /
    • 1998
  • 제초제(除草劑) cyhalofop, pyrazosulfuron 및 pyribenzoxim 혼합처리(混合處理)의 상로작용(相互作用) 기작(機作)을 구명(究明)하고자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의 처리(處理)에 의한 ALS 활성(活性) 저해효과(沮害效果) 및 유리(遊離) 아미노산 함량변화(含量變化)와 집방산(脂肪酸)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In vitro에서 ALS 활성(活性) 저해효과(沮害效果)는 pyribenzoxim의 $I_{50}$은 물피와 너도방동사니에서 각각(各各) 4${\times}$100 nM과 5${\times}$100 nM였으며, pyrazosulfuron의 $I_{50}$은 각각 4.5${\times}$10 nM과 4${\times}$10nM로 두 제초제(除草劑)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 ALS 활성(活性) 저해효과(沮害效果)는 저농도처리(低濃度處理)에서 상가적작용(相加的作用), 고농도처리(高濃度處理)에서는 독립작용(獨立作用)을 보였다. 2. 3종류(種類) 제초제(除草劑)(cyhalofop+pyribenzoxim+pyrazosulfuron 100+10+10 g ai/ha)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 너도방동사니와 물피의 valine, leucine 및 isoleucine의 함량(含量)은 58~75%, 37%, 51%씩 각각(各各) 감소(減少)하여 저해정도가 물피보다 너도방동사니에서 더 컸으며, 그 경향은 cyhalofop을 혼합(混合)하지 않은 2종류(種類)의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처리(處理)에서 다소 높았으나 초종(草種) 및 제초제(除草劑) 종류(種類)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다. 3. 3종(種)의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에 의해 총(總) 지방산(脂肪酸) 함량(含量) 및 지방산(脂肪酸) 종류별(種類別) 함량(含量)이 모두 감소(減少)되었으나 지방산(脂肪酸) 함량(含量)에 대한 3종(種) 제초제간(除草劑間)의 길항작용(拮抗作用)은 없었다.

  • PDF

수종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mium Tolerance of Some Native Herb Plants)

  • 장주연;장윤영;배범한;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309-313
    • /
    • 2001
  • 카드뮴 내성 식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5종류의 야초류의 카드뮴 내성검정을 실시하였다. 카드뮴 용액에 14일간 노출된 야초류의 발아율, 유식물의 뿌리와 지상부의 생장율,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어저귀와 털비름의 발아율은 모든 농도에서 90%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자귀풀과 물피, 식용피는 15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뿌리와 지상부의 길이 생장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두 감소하였으며, 생체량의 경우 물피, 식용피, 털비름은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어저귀와 자귀풀은 60 mgCdSO₄ /L에 노출되었을 때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어저귀, 자귀풀, 털비름의 EC/sub 50/(Effective Concentration 50%)은 뿌리성장에서는 54 mgCdSO₄ /L, 77.5 mgCdSO₄ /L ,44.5 mgCdSO₄ /L이고, 지상부 성장에서는 114 mgCdSO₄ /L, 73.5 mgCdSO₄ /L, 38.6 mgCdSO₄ /L였으며, 생체량에서는 107.5 mgCdSO₄ /L, 67.5 mgCdSO₄ /L, 60 mgCdSO₄ /L였다. 야초류 간의 카드뮴에 대한 sensitivity는 뿌리 > 생체량 > 지상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저귀가 카드뮴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 PDF

벼와 피의 침관수에 따른 생장 반응 (Growth Responses of Rice and Barnyardgrass Varieties to Flooding at Early Growing Period)

  • 김해진;오성환;박종현;조성우;우선희;이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39-244
    • /
    • 2014
  • 본 연구는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벼와 피 종의 관수 처리 전 후의 생장 반응과 단백질 발현 양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벼와 피종들의 자연 상태에서의 파종후 10일 벼와 피종들의 초장은 10 cm 정도로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후 25일부터는 벼에 비하여 피 종들의 초장이 더욱 현저하게 신장하였고, 피 종에서는 식용피의 초장이 현저히 신장되었다. 2. 벼와 피를 생육 초기에 관수하였을 때 벼의 초장은 관수후 3일에서 7일까지도 신장하였으나 피 종들의 초장 신장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관수기간 중 벼는 관수후 3일에 1.8배, 관수후 5일에 2.5배, 관수후 7일에 2.7배 정도의 신장률을 보인데 비하여 물피와 돌피는 1.1~1.3배, 식용피는 1.4~1.7배를 나타냄으로서 관수에 대한 저항도는 피에 비하여 벼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관수 종료후 벼와 피의 초장의 생장 속도를 보면 벼는 완만하게 생장하는데 비하여 피종들은 관수 종료후에는 벼보다 급격히 초장이 크게 신장하였고, 피 종에 따라서는 식용피>돌피>물피의 순으로 크게 신장하였다. 4. 관수에 따른 벼와 피의 단백질 spots를 비교한 결과 벼의 잎 단백질 spots은 모두 감소하거나 없어졌지만 피종들의 단백질 spots이 더 선명하게 감소하거나 없어졌다.

국내 피 수집종에 대한 cyhalofop-butyl과 pyribenzoxim의 약제반응 및 흡수이행 (Response of domestically collected Echinochloa species to cyhalofop-butyl and pyribenzoxim herbicides, their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 이인용;박재읍;박태선;김길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28
    • /
    • 1999
  • 외부 형태가 다른 피속류 46종을 대상으로 피 방제용 경엽처리 제초제인 cyhalofop-butyl과 pyribenzoxim의 약제반응을 보고, 그 결과 약제반응이 상이한 피속류를 선발하여 $^{14}C$ 화합물을 이용, 흡수이행 및 체내대사 등을 시험하였다. Cyhalofop-butyl에 감수성인 황간 돌피, 내성인 제주 강피 그리고 pyribenzoxim에 감수성인 남양주 물피, 내성인 아산 물피를 선발하였다. $^{14}C$-Cyhalofop-butyl과 $^{14}C$-pyribenzoxim의 피 체내에서의 흡수이행 특성은 내성 피보다는 감수성 피에서 더 빨리 이행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뿌리보다는 지상부의 다른 부위로 이행되는 경향이었다. 감수성 정도가 다른 피속류에 $^{14}C$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 cyhalofop-butyl에서는 2종, pyribenzoxim에서는 1종의 미확인 대사산물이 검출되었으며, 대사산물의 분포비율을 보면 불활성 물질로 추정되는 대사산물의 양은 감수성 피보다 내성 피에서 높았다. $^{14}C$ 화합물을 처리한 피속류에서 결합 잔류물 형태로 잔류한 양은 감수성 피보다 내성 피에서 더 많이 잔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