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물질중독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CFD 기반 인화성 액체 누출 시 최적의 환기구 배치 도출 방안 (Method to Derive the Optimal Vent Position when Flammable Liquid Leaks Based on CFD)

  • 김은희;안승효;이준서;마병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8
    • /
    • 2024
  • 인화성 액체가 누출되면 풀에서 증발된 증기로 인해 근로자들에게 중독이나 질식 등의 피해를 불러올 수 있으며 화재나 폭발 등의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실내 작업장을 설계할 때 환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누출된 화학물질의 특성에 따라 거동이 상이하므로 물질에 따른 적합한 환기구의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적의 환기구 배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3D CFD 시뮬레이션을 도입하였고 환기구 배치에 따른 환기효율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내 작업장에서 인화성 액체가 누출되어 풀을 형성하는 상황을 가정하였고 풀에서 증발된 증기의 농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환기구 배치를 도출하였다. 증기밀도가 큰 톨루엔을 대상물질로 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상부급기-하부배기일 때 환기효율이 가장 높아 동일한 유지비용으로 약 3.7배의 환기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업장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적용하여 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심장표지물질 간이검사의 급성심장사 법의학적 사후진단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Usefulness of Rapid Triple Test for Cardiac Marker in Forensic Paragnosis of Sudden Cardiac Death)

  • 임채원;김진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8-113
    • /
    • 2017
  • 급성심장사는 돌연 예기치 못한 심장질환에 의해 갑자기 사망하는 것으로, 법의부검 실시 전 초기 변사현장에서 외피 검시 과정 중 육안적으로 법의학적 사인 추정을 위한 명확한 소견 관찰이 어려운 점으로 인해 법의부검에서 심근 조직의 현미경적 변화 관찰을 통한 진단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검사시간, 비용, 편의성 등 변사사건 현장 외표 검시를 통한 사인추정 실무현장에 적용하는데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 병원 진단검사의학에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진단 검사에 이용하는 심장표지물질 간이 검사 키트를 이용하여 사후 혈액에서 심장표지물질 myoglobin, CK-MB, cTn I를 측정하는 간이 검사가 내인성급사인 급성심장사를 사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피 검시 및 간이검사 결과 비외상성 급성심장사로 추정되는 실험군 30예를 법의 부검 결과와 비교한 결과 23예(76.7%)에서 양성, 대조군 10예 중 뇌혈관질환 추정 4예 모두 음성, 알코올 및 약물 중독 1예, 산소결핍 질식사 1예에서 양성을 보였다. 심장표지물질 간이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6.7%, 80.0%의 유의한 결과를 보여 변사사건 현장에서 변시체의 과거병력, 현장상황 및 사후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후 급성심장사의 의심, 추정 진단에 보조적 방법의 하나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심장표지물질(myoglobin, CK-MB, cTn I)의 개별물질 특성에 의한 혈액 내 최초 발현 및 소멸시간, 시간 경과에 따른 농도 차이 등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로 사망원인 규명 등 사건 해결에 필요한 사후경과시간 추정을 위한 사후 시간대 별 심장표지물질 농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지역의 전화상담을 통해 얻어진 독성물질 노출정보와 응급실 기반 중독 정보 분석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oxic Substance/poison Exposure Data that Collected from Pre-hospital Telephone Response and Emergency Department)

  • 김수진;좌민홍;박종수;이성우;홍윤식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s of toxic exposed patients and substance between call based poison information data and hospital based poison information data. Methods: Seoul 1339 call-response data were used as call based poison data and toxic related injury surveillance data of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were used as hospital based poison data. Age, sex, the kind of exposed substance, reasons for exposure, and exposure routes were compared between two data sets. We analyzed the presence or not of documentation on the name and amount of exposed substance, symptoms after exposure in call based poison data. Results: Seoul1339 poison data included a total of 2260 information related to toxic exposure and KCDC poison data included 5650 poison cas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xual distribution. Pediatric exposure and accidental exposure were more common in call based poison data. The most common exposed substances were household products in call based poison data and medicines in hospital based poison data, respectively. Documents regarding amount and time of toxic exposure and symptoms after toxic exposure were not recorded exactly in call based poison data.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reasons for toxic exposure, and the kinds of exposed substances. Poison information data from both pre-hospital and hospital must be considered.

  • PDF

뇨중 파라쿼트(paraquat)측정용 진단 시험지의 개발 (Development of Diagnostic Strip for Determining Paraquat in Urine)

  • 박상범;장원철;김종완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9-344
    • /
    • 2003
  • Paraquat는 가장 효과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제초제이지만 인간에게 매우 유독한 물질이다. 중독환자에 있어 뇨중 농도는 가장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일반 검사실에서 이를 위한 정량검사는 거의 시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dium dithionite를 이용하여 뇨중의 paraquat의 농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의 진단 시험지를 개발하였다. 이 이차유도성 방식을 사용하여 paraquat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0.5{\%}$ borate 완충용액(pH 8.0), 유도체 0.25 M $Na_2S_2O_4,\0.1~0.8{\%}$ PolyVinyl Pyrrolidone(PVP) 안정제, $1{\%}$ decanol의 구성비로 만들어진 진단시험지의 반응 색상이 안정하며 표준 비색표에 의한 육안적인 감별은 물론 화학 자동분석기에서의 응용성이 좋았다.

사망사고 관련된 유해화학 물질 남용자들의 혈액 중 톨루엔과 부탄의 분석 (Analysis of Blood Toluene and Butane in Death Cases of Inhalant Abusers)

  • 김남이;양영근;정희선;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12권6호
    • /
    • pp.577-582
    • /
    • 1999
  • 혈액 중에서 톨루엔을 HS-SPME 법을 이용하여 GC/MSD로 분석하였으며, 부탄가스류의 분석은 HS 법을 이용하여 CC/FID로 분석하였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난 3년 동안 청소년들이 본드류나 부탄가스류 등을 흡입한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가 총 75건이 발생하였다. 본드류를 흡입하다가 사망한 사람은 27명이었으며, 그 중에서 9명은 톨루엔 중독상태에서 자제력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고층에서 떨어지는 추락사를 하였으며, 이때의 혈중 농도 분포는 $1.3{\sim}21.6{\mu}g/mL$으로 상당히 높은 농도였다. 또한 부탄가스를 흡입하다가 질식 사망 또는 흡입 사망한 사람은 54명이었으며, 이 중에는 본드류와 부탄가스를 동시에 흡입하다가 사망한 6명도 포함되었다.

  • PDF

수소충전소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of Hydrogen Station)

  • 고재욱;이대희;정인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1
    • /
    • 2009
  • 본 논문은 국내에 건설된 충전소를 분석 검토하여 수소충전소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수소충전 소의 안전성에 대한 확인과 충전소 설치 시 필요한 기준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안전성 평가 방법으로 FMEA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를 사용하였고, 충전소를 크게 4개의 공정(제조, 압축, 저장, 충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각의 발견된 위험요소에 S (severity), O (occurrence), D (detection)의 점수를 부여하여 이 세 요소의 곱의 값인 RPN (Risk Priority Number)의 수치를 이용하여 위험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생성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사고피해영향평가 결과 주요한 사고 유형으로 jet fire와 폭발이 나타났고, PSA (pressure swing adsorption) 공정 feed line에서의 누출의 경우 원료물질에 따라 CO가스의 농도가 상이할 수도 있으나, CO가스중독 위험성을 함께 예측되었다.

  • PDF

동통관리의 방법 중에서 외이자극치료에 관한 고찰 (Auriculotherapy in Pain Management)

  • 오영택;송주영;김충식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0권2호
    • /
    • pp.173-181
    • /
    • 1998
  • 물리치료(physic treatment)의 주목적은 통통정복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금까지 수많은 치료적 방법들이 개발되어왔고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완전한 동통치료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중이다. 이중 일부 연구는 기존의 치료방법과 최근위 방법들을 조화시켜 새로운 방법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서구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대 중국의 침점을 이용한 치료방법의 연구나 1950년대 Nogier가 연구발전시킨 외이치료(auricular therapy)는 그 이론적 배경을 중국의 고전의학에 두고 있는 좋은 예라 하겠다. 1970년대 초, 미국과 중국의 문호개방을 통해 음으로 서구에 소개되었던 침마취의 탁월한 진통효과는 과학적사고를 중요시하는 대부분의 서구 연구자들의 반대에 부딪혀 일시적인 인기에 그쳤으나 1960년대에 Melzack과 Wall에 의해 발표되었던 관문조절설이나 1970년대 Herpes에 의해 발견되었던 엔케팔린(enkephalin)과 같은 내재성 아편물질들은 침술(acupuncture)을 "이해할 수 있는 학문"으로 점차 자리잡게 하였고 새로운 진통방법을 연구하고자 하는 욕구와 비침해적이고 비중독적인 치료방법이 환영을 받는 시대적 조류에 힘입어 외이치료와 같은 침점을 이용한 치료가 서구를 중심으로 다시 각광받고 있으며 연구활동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문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이침점을 이용한 올바른 방법의 치료는 동통부위의 진단과 기존의 전기치료나 동통치료방법으로는 쉽게 적응하기 힘든 부위에까지 치료를 가능케 함으로써 물리치료의 대상영역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PDF

119와 1339에 접수되는 중독 상담 정보의 변화 비교: 응급의료정보센터(1339) 통합 이후의 소방구급상황센터(119)에서의 병원 전 독성 물질 노출자료 현황 분석 (Changes of Poison Data Characteristics Collected from Telephone Response in 1339 and 119: Discrepancy in Characteristics of Post-toxin Exposure Data Obtained through Telephone Counselling Provided by 1339 and 119)

  • 박광훈;박종수;이성우;김수진;한갑수;이의중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6-121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oxicologic profiles and outcome of poisoned patients by compar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telephone counselling, each provided by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1339) and emergency dispatch center (119). Methods: We analyzed the telephone-based poison exposure data before and after Seoul 1339 merged to 119. We compared the Seoul 1339 call response data in 2008 with Seoul and Busan 119 call response data between 2014 and 2016.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trend and quality of data obtained, as well as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each center before and after this reallocation, by comparing the data each obtained through telephone counselling. Results: The data was collected for a total of 2260 toxin exposure related calls made to Seoul 1339 in 2009, and 1657 calls to 119 in Seoul and Busan between 2014 and 2016.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age, sex, and reason for exposure to toxic substa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fter the integration of 1339 with 119, 119 focused on role of field dispatch and hospital transfer, lacking the consulting on drug poisoning. Moreover, data on exposure to toxic substances at the pre-hospital stage indicate that drug information and counseling are missing or unknown. In addition, first aid or follow-up instructions are not provided. Thus, systematic approach and management are required.

지리학 측면에서의 자연재해연구 (Natural Hazard Research in Geography)

  • 김욱중
    • 물과 미래
    • /
    • 제22권4호
    • /
    • pp.415-415
    • /
    • 1989
  • 자연재해연구는 인간.자연환경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금세기초 환경결정론, 환경가능주의, 그리고 인지에 의한 행동과학주의로 연구 Paradigm이 변화.발전되어 오며서 지리학에서도 이러한 이론적 방법론의 바탕위에 인간-자연환경 관계를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1920년대 초 Barrow가 인간생태학 개념을 발표, 1950, 1960년대 이에 영향받은 White, Kate와 Burton 같은 미국의 자연재해지리학자들은 미국에서 홍수재해문제를 인간적응, 특히 "인식"의 역할에 중점을 두어 재해지역에서 자원이용과 이의 관리문제를 연구하였다. 1970년대 들어오면서 재해의 양상, 적응방법등이 연구되고, 또한 적응의 여러 비교연구가 있었으며, 사회성과 관련 사회학적 연구 접근과 다양한 레벨의 케이스 Study 또한 이루어졌다. 오늘날의 자연재해연구는 일반재해연구로 발전하여 핵반응, 각종산업.교통재해,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문제, 각종 소음공해, 폭발물 사고 등 참으로 여러 종류의 사회문제가 재해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근래에는 약물중독, 성폭행, 그리고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정신질환까지 일종의 재해문제로 다루어 지리학내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와같이 연구의 많은 변환.발전과 함께 처음 Academic한 연구로 시작된 재해문제 연구가 이에 관심을 같는 여러분야 즉, 경제.사회, 심리학자, 토지이용개발자, 보험, 은행, 부동산업자 재해와 관련있는 민간단체, 정부기관, 정책실행기관등이 참여하는 공동연구가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자연재해 감소 10개년 계획"이라는 Program을 미국이 주동이 되어 국제적인 기구로 만들어 관심있는 여러국가의 과학자, 재해연구가, Engineer, 정부관계자들이 참여 서로 정보와 지식의 교환, 세계의 개발.재개발에 대한 계획, 재해감소의 교육훈련등 다채로운 Project을 가지고 세계 자연재해 감소를 위하여 공동연구의 노력을 하려는 움직임이다. 세계의 권위있는 재해통계에 의하면 한국이 매년 자연재해로 인하여 100만명당 1,000명이 희생되는 나라로 방글라대시, 이란, 중남미와 페루, 과태말라, 동남아시아의 뉴기니와 나란히 중진개발도상국으로 몇안되는 나라의 하나로 들어있는 것을 볼 때 유감이 아닐수 없다. 우리나라는 하루빨리 이러한 자연재해로부터 아까운 생명과 재산을 잃어버리고 있는 고통과 문제를 해결하려는 민간.정부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우선 기본적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제도적 장치와 분위기가 아쉽다고 않을 수 없다.와 분위기가 아쉽다고 않을 수 없다.

  • PDF

랫트에 있어서 captafol의 독성에 대한 cysteine의 방어 작용 1.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Cysteine antagonism of captafol induced toxicities in rats 1. Effects on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values)

  • 김성훈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37-445
    • /
    • 1995
  • 과일 및 채소류의 곰팡이 억제제로 개발된 captafol은 인간 및 동물에서의 독성작용은 많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들의 독작용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에 대한 연구는 별로 알려진 바 없다. captafol에 의한 혈액학 및 혈청 생화화적 변화에 따른 cysteine의 방어 작용을 확인할 목적으로 랫트에 5mg/kg 용량의 captafol을 1회 복강 투여하고 동시에 5, 58, 290 및 580mg/kg cysteine을 각각 투여하고 체중의 변화, 부검소견, 절대장기중량,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 하였다. captafol 단독 투여군에서는 체중 및 간 장기중량 감소, 복강내 장기들의 섬유소에 의한 유착 및 복수 등이 현저하였으며 적혈구 수, hemoglobin 농도, 혈청 AST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또한 혈청 인지질 함량 감소가 확인되었다. 한편, cysteine 58mg/kg 이상의 용량군에서는 복강내 장기들의 유착 및 복수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장기중량, 혈액학 및 혈청 생화학적 소견에서도 정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는 captafol의 중독증상에 대해 cysteine 및 sulfhydryl군을 가진 물질은 그 증세를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