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막이벽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Study on Constructing Underground Wall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on Coastal Areas (지하수댐 물막이벽 시공법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 방안)

  • 부성안;이기철;김진성;정교철;고양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2 no.2
    • /
    • pp.215-234
    • /
    • 2002
  • Groundwater Dam is one of the reliable techniques to get huge amount of groundwater abstraction for municipal, agricultural, drinking,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t can be a major technique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when it based on the sufficient watershed, proper topology, and adequate aquifer distribution and pollution control, Groundwater Dam had initiated its construction by RDC(former KARICO) in early eighties in Korea and 4 of it in total were added more until late eighty. However, this technique has shrunken its application due to gradually decreased yield rate after sever years of construction. After we studied several existing sites precisely, we concluded that the main reason of decreasing yield rate was come form engineering roughness on construction in early nineties. Theoretically, the technique itself seemed to be little detectives however, there were a little application in the fields in Korea. With the recent advance in engineering fields, those defects in construction would be no longer obstacle to construct underground wall and the technique could be a one of major ground water production technique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study following items thoroughly before select the appropriate site. The topography and the site of the underground wall, aquifer distribution, the specific technique for wall construction to block groundwater flow effectively and strict quality control during construction are critical. The surface and ground water monitoring data should be collected. Sustainability of the Groundwater Dam with huge groundwater abstraction in long term should be based on the long-term water balance analysis for each site.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effect analysis and maintenance achedule should be also analyzed and planned in prior. It is suggested that the two consecutive underground wall in the coastal area to prevent seawater intrusion beneath a single wall.

Experimental Study on the Wake Characteristics of a Perforated Vertical Wall with Gap in the 2-Dimensional Flow (2차원 흐름 중에 놓인 틈새를 갖는 수직벽 후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o Dae-Hwan;Oh Kyoung-Gun;Lee G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5.10a
    • /
    • pp.135-140
    • /
    • 2005
  • There are cofferdam and watertight wall to prevent of circulation or pollution during building of ocean structures like a dam and bridge in the harbors area and the sea. Inflow fluid and base of structure is important thing as one of the structural design factors for this interception wall like a cofferdam and watertight wall. In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at least 500 instantaneous velocity field data are required for ensemble average to get reliable turbulence statistics. The turbulent shear flow around a surface-mounted vertical wall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two-frame PIV(CACTUS 3.1) system and Mean velocity distributions have also been measured in the whole flow field.

  • PDF

Fine Structural Study of Pollen Wall Development at Late Stage of Microsporogenesis in Panax ginseng (인삼의 화분벽 발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 Jeong, Byung-Kap
    • Applied Microscopy
    • /
    • v.35 no.4
    • /
    • pp.74-83
    • /
    • 2005
  • The ontogeny of pollen wall in Panax ginseng was studied with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rom early tetrad stage until pollen maturity. Initial indication of exine development is undulation of plasma membrane for the preparation of bacular mound. The first recognizable structure of the pollen wall is the cellulosic primexine which is formed outside of the plasma membrane while microspore tetrads are still surrounded by callose wall. As development proceeds, foot-layer and baculum differentiation, callose dissolution and exine formation were progressed. During this process, sporopollenin is deposited into the exine, and then endexine development was followed. The intine, innermost pollen wall layer, is developing form hypertrophic Golgi vesicles. The thickness of exine is very even on all along the pollen wall, but intine thickness of apertural region is thicker than that of nonapertural region. Mature pollen of ginseng is $20{\mu}m$ in size, tricolpate and shows fine reticulate sculpturing.

SEM 및 AFM을 이용한 한지의 특성 분석

  • 최태호;조남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1-141
    • /
    • 2000
  • 한지의 제조에 있어서 부원료인 점질물은 초지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주된 역 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점질물은 섬유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종이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양지와는 달리 박엽지의 제조가 편리하고, 종이의 경도를 증가시키며, 습지의 처리를 용이하 게 하며, 점성으로 인하여 섬유의 침전올 방지하고, 종이의 광택을 향상시키는 둥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지 제조시 이러한 식물성 점제의 미묘한 작용은 현재 대다수의 한지 제조 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합성점제인 PAM이나 PEO 등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에 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작용이라 여겨진다. 이와 같은 사실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천 연점질물인 황촉규근의 점질물과 합성점제인 PAM 및 우리 나라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고 있는 나무수국 내수피의 점질물을 이용하여 한지를 제조하고 이들 한지의 특성을 SEM 및 A AFM(Atomic Force Microscop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각각의 점질물로 제조한 한지를 SEM으로 관찰한 결과 닥나무 인피섬유의 최외층에 투명막이 존재하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투명막은 닥나무나 뽕나무 인피섬유에 만 존재하고 삼지닥나무나 산닥나무 둥과 같은 기타 인피섬유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한지 의 원료 섬유의 식별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이러한 투명막은 섬유간 결합을 증 대시켜 한지의 강도 발현에 기여한다고 사료된다. 천연점질물인 황촉규근과 나무수국 점 질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한지를 SEM 및 SEM-EDX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황촉규근 점질물로 제조한 한지에는 상당량의 전분입자가 폰재하고 있었으며 나무수국 점질물로 제 조한 한지에는 침상의 수산칼슐 결정이 상당량 존재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한지 제조시 사용된 점질물의 식별에 중요한 요소라 사료된다.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 인피펄프와 침엽수 미표백 크라프트 펄프를 AFM을 이용하여 분석 한 결과, 닥나무 인피펄프의 마이크로피브릴 폭은 5-10nm로 Sw-UKP의 마이크로피브릴 폭 lO-20nm보다 매우 가늘고, 치밀한 세포벽 구조를 하고 있었다. 닥나무 인피펄프의 이러 한 세포벽 구조 및 마이크로피브렬의 형태가 Sw-UKP보다 높은 섬유강도를 나타내는 원인 이라 사료된다. 각각의 점질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한지의 섬유표면을 AFM을 이용하여 관 찰한 결과, 원료펄프의 표면관찰에서와는 달리 초지시 사용된 점질물이 섬유표면을 피복하 고 있어 명확한 형태의 마이크로피브렬을 관찰할 수 가 없었다. 따라서 점질물의 이러한 역 할이 한지의 강도 및 보존성 향상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

Thermal Flutter Analysis of Spacecraft Solar Array Structure (위성체 태양전지판 구조물의 열적 플러터 해석)

  • Yoon, Il-Soung;Kang, Ho-Shik;Jeong, Nam-Heui;Song, Oh-Seo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7
    • /
    • pp.26-32
    • /
    • 2005
  • In this paper, the vibration response of the spacecraft solar array is investigated. The solar array model consists of composite thin walled beam and solar blanket, spreader bar. The composite thin walled beam incorporates a number of nonclassical effects of transverse shear, primary and secondary warping, rotary inertia and anisotropy of constituent materials. The solar blanket is a membrane subjected to uniform tension in the z direction. The spreader bar is a rigid member. A coupled thermal structure analysis that includes the effects of structural deformations on heating and temperature gradient is investigated. A stability criterion given in parameters for establishes the conditions for thermal flutter.

램제트 엔진에서의 화염 전파와 비정상 연소 현상에 관한 수치해석

  • ;Vigor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0-10
    • /
    • 2000
  • 램제트 엔진은 비추력이 높고 추력 레벨은 낮으므로, 2단 추진기관에 적합한 추진 시스템이다. 1단-추진기관의 작동이 끝나고, 2단 램제트 엔진이 점화 후 안정된 연소에 도달되기까지 비행체의 속도는 항력에 의하여, 초당 약 마하수 0.1 정도씩 감소된다. 1단 연소 후 2단 램제트로 전환되는 지연시간이 길수록 1단에서 요구되는 종말 가속도는 증가되므로, 1단이 차지하게되는 부피는 증가되고 비행체의 크기 또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1단에서 2단 램제트로 천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능한 짧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램제트 엔진의 특성상 선결되어야할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들이 있다. 첫째, 1단 작동 시 공기 흡입구와 연소실은 차단벽으로 분리되어 있다가, 1단 연소후 차단막이 제거되어 외부공기가 램제트 연소실로 흡입된다.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구의 형상에 의하여 램 압축되지만 초음속으로 연소실을 통과하게된다. 연료 주입 구에서 공급되는 연료는 연소실에서 유동의 흐름방향(streamline)에 따라서 연소실로 확산되는데, 연소되기 전에는 유속이 빠르게 노즐로 빠져 나가므로 램제트 연료가 재순환 구역(recirculation zone)으로 침투하는데 쉽지가 않다. 둘째, 연소실 입구에서 발생되는 와류 (ring vortex)는 1단 연료의 고온 연소 가스를 연소실로 확산시키는데, 비 균일한 온도 분포를 유발하여 램제트 연료의 점화에너지가 공급되는 시간이 적당하지 않을 경우 균일한 화염 전파에 악영향을 준다. 셋째, 연소실에서의 빠른 유동 조건은 연료가 연소실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을 감소시키며, 연소실 입구에서 강한 전단 응력이 발생되어 화염이 안정화되는데 악 영향을 미치게된다. 본 논문은 공기 흡입구, 연소실 및 노즐을 통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으며 열유동/점화/연소등의 미케니즘을 이해하고, 주요 인자들 중 와류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다고 판단되며 배기 가스 자체에 대기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던 습기가 얼어붙는(Icing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Ic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 끝단에서 공기를 추출하여 배기부분에 송출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출구가스의 기체 유동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100-l10m.sec) 이를 완화하기 위한 디퓨저의 설계가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또 연소기 후방에 물을 주입하는 경우 열교환기 및 기타 부분품에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및 열교환 효율 저하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는 경우 비활성 가스 제너레이터는 민수용으로는 대형 빌딩, 산림, 유조선 등의 화재에 매우 적절히 사용되어 질 수 있을 뿐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군사작전 중 및 공군 기지의 화재 그리고 지하벙커에 설치되어 있는 고급 첨단 군사 장비 등의 화재 뿐 아니라 대간첩작전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가 작으며, 본 연소관에 충전된 RDX/AP계 추진제의 경우 추진제의 습기투과에 의한 추진제 물성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7%), 혈액투석, 식도부분절제술 및 위루술·위회장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각 1례(2.9%)씩이었다. 13) 심각한 합병증은 9례(26.5%)에서 보였는데 그중 식도협착증이 6례(17.6%), 급성신부전증 1례(2.9%), 종격동기흉과 폐염이 병발한 경우와 폐염이 각 1례(2.9%)였다. 14) 식도경 시행회수는 1회가 17례(54.8%), 2회가 9례(29.0%), 3회 이상이 5례(16.1%)였다.EX>$IC_{50}$/ 값이 210 $\mu\textrm{g}$/$m\ell$로서 효과적

  • PDF

Cell Protective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Citrus Peel Pectin (귤피 펙틴 유래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세포 보호 효과)

  • Kwon, Soon Woo;Ko, Hyun Ju;Bae, Jun Tae;Kim, Jin Hwa;Lee, Geun Soo;Pyo, Hyeong B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2 no.1
    • /
    • pp.75-85
    • /
    • 2016
  • Pectin, a naturally occurring polysaccharide, has in recent year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ts benefits are increasingly appreciated by scientists and consumers due to its safety and usefulness. The chemistry and gel-forming characteristics of pectin have enabled to be used in pharmaceutical industry, health promotion and treatment. Yet, it has been rarely used in cosmetics because of its incompatibility with many cosmetic ingredients, including alcohols, and unstable viscosity of pectin gels under various pH and salt conditions. However, low-molecular-weight pectin oligomers have excellent biological activities, and depolymerization of pectin to produce cosmetic ingredients would be very useful. In this study, we attempted the development of cosmetic ingredients using pectin with an excellent effect on human skin. We developed a bio-conversion process that uses enzymatic hydrolysis to produce pectin hydrolysates containing mainly low-molecular-weight pectin oligomers.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s used to determined the ratio of hydrolysi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ectin hydrolysates obtained varied between 200 and 2,700 Da. The two newly developed low-molecular-weight pectin hydrolysates, LMPH A and B, ha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ies than pectin or D-galacturonic. Exposure to UVB radiation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in epidermal cells. Annexin V binding and propidium iodide uptake were measured by flow cytometry to evaluate UVB-induced cell death in HaCaT cells. Both LMPH A and B reduced UVB-induced cell death and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by 22% and 30% at 0.5% concentration respectively, while pectin had no significant ac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wly developed low-molecular-weight pectin hydrolysates can be used as safe and biologically active cosmetic ingred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