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리적 자원

Search Result 1,12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Resource Oriented Live migration Algorithm for Removing Hotspot in Virtualized Clusters (가상화 클러스터를 위한 Hotspot 원인 정보 기반Live migration Algorithm)

  • Kang, Mun-Young;Oh,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9-12
    • /
    • 2011
  • 가상화 기술은 물리적 컴퓨팅 자원의 추상화를 통해 다수의 운영 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이 물리적 서버의 자원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소요비용을 절감하고 자원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가상화 기반 클러스터에서는 클러스터를 이루는 물리적 서버들이 균형적으로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고 특정 서버로 자원 활용률이 집중되는 현상(hotspot)이 발생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ive migr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화 클러스터의 자원 효율을 높이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hotspot의 원인이 되는 자원의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가장 적합한 대상을 선정하여 가상머신을 이동시켜 클러스터의 자원 활용률의 균형을 도모하고 추가적인 hotspot의 발생을 최소화고 불필요한 Live migration을 방지하여 migration시에 발생하는 로드를 줄일 수 있다.

A Sandbox Mechanism against Trojan Horses and Its Implementation (트로이목마 방지 샌드박스 메커니즘과 구현)

  • 김중완;김형찬;이동익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8-5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바의 샌드박스 개념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제한을 가하고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악의적인 행위를 방지하는 샌드박스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또한 시스템 자원을 논리적 자원과 물리적 자원으로 분리하여 트로이목마 프로그램의 자원에 대한 불법적인 접근을 감시하여 기밀성(Confidentiality)과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자원 사용량을 제한하여 DOS 공격에 대한 방지와 같이 가용성(Availability)까지 고려하는 샌드박스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리눅스 커널 2.4.19에 샌드박스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 PDF

The Influence of Physical Resource Loss and Gain on Well-Being of People in Low-Income and the Mediating Role of Economic Stability (저소득층의 물리적 자원의 상실 및 획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적 안정의 매개 역할)

  • Park, Sun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5 no.2
    • /
    • pp.335-356
    • /
    • 2013
  • Physical resources are central to coping with economic hardships for people in low-income, yet life experiences such as resource loss and gai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 sense of well-being received scarce atten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levels of loss and gain of physical resources, economic stability and well-being of 254 adults who participated in welfare-to-work programs; correlations and paths among these variable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conomic stability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jor results were: first, the levels of resource loss and gain were below a moderate level and the level of ga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ss level. Second, in the relationships with both economic stability and well-being, resource lo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hile resource gai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 negative direct effect of resource loss either on the economic stability or on the well-being respectively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n well-being through economic stability was also significant. Finally, the direct effect of resource gain on either economic stability or well-being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resource gain on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Thus in both models for resource loss and gain, the indirect effect of economic stability was significant, which supports partial mediation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were examined, particularly for enabling social work practice to utilize information regarding resource loss and gain, economic stability, and a sense of well-being that were embedded in the community life of people in low-income.

  • PDF

TP2P: Topology-based Peer-to-Peer System for Efficient Resources Lookup (TP2P: 효율적인 자원탐색을 위한 토폴로지 기반의 P2P 시스템)

  • Cha, Bong-Kwan;Han, Dong-Yun;Son, Young-Song;Kim, Kyong-Sok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4 no.2
    • /
    • pp.88-99
    • /
    • 2007
  • P2P systems are distributed data sharing systems, and each node in them plays the role of client as well as server. There are several studies using Distributed Hash Table, such as Chord, CAN, Tapestry, Pastry, but these systems don't consider the physical latency, therefore they have a weakness of difficulty to guarantee stable performance. To improve this problem, we present the TP2P system. This system is a self-organizing hierarchical overlay system and it uses Chord routing mechanism for lookup data. This system is organized by several subnets, each subnet is organized by physically close nodes, and global network organized by all nodes. In each subnet, one node finds a data, it saves in a node in the subnet, therefore it has higher probability to reduce physical lookup latency than Chord system. And each node has global information of some nodes in its subnet, and it is used to lookup data, therefore the number of hops decrease about 25% as well as the physical lookup latecy are reduced.

우리나라의 물리탐사 기술과 과제

  • Hyeon, Byeong-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9 no.8 s.87
    • /
    • pp.23-27
    • /
    • 1976
  •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물리탐사를 시도한것은 1958~1960년에 실시한 항공자력탐사로서 그후 현재까지 불과 20년이 지나지 않았다. 그간 물리탐사의 기술발전으로 자원탐사분야에 많은 공헌이 있었다. 현재까지 주로 적용된 분야는 철자원탐사를 위한 자력탐사, 지하수조사를 위한 전기비저항탐사동, 연등의 통화금속광물탐사를 위한 각종 전기탐사, 제3기층 지질구조와 땜공사, 공업단지조성등의 기반암조사, 그리고 광산의 갱내 출수조사등을 위한 탄성파탐사, 우라늄자원을 위한 방사능탐사, 그리고 해저지질 및 자원조사를 위한 해상물리탐사등이다. 이와 동시에 석탄층조사를 위한 전기탐사 및 Model연구자력탐사의 전산처리 적용, 그리고 광물 및 암석의 물리적 성질등 학술분야에 대한 기초연구도 계속하여 왔다. 우리나라에 있어 물리탐사의 적용조건은 비교적 험악한 지형, 복잡한 지질구조, 광상의 불규칙 또는 소규모의 발달과 산재등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탐사해석의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다 고도의 과학기술문제의 해결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현대적 탐사방법과 연구개발로 대상자원의 탐사지역확대와 지하심부 탐사등이 당면과제이다. 기술과제로서는 석탄 및 기타자원에 대한 물리검층탐사, 경상계 지질구조구명을 위한 탄성파탐사 및 동력탐사의 적용, 항공자력, 전자 및 방사능탐사 및 해양의 각종물리탐사의 기술개발이 있으며 그외 탐사자료의 전산처리기술 및 지구과학의 기초연구등이 있다.

  • PDF

Comparison of Vitualization Method (가상화 방법의 비교)

  • An, Chang-Yong;Yoo, Ch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446-450
    • /
    • 2008
  • 가상화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물리적인 자원을 논리적인 자원으로 변환하여 물리적인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유연하게 IT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술이다. 시스템 가상화를 통하여 증대되고 있는 시스템 운용의 복잡성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빈번한 업그레이드등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현재 대두되고 있는 가상화 기술별 벤더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of Seed Exogenous Dormancy in Korean Native Plants (자생식물 종자의 외생휴면 분류)

  • Ju Sung Cho;Kyungtae Park;Sang Yeob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10-10
    • /
    • 2020
  • 전 지구적으로 생물다양성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따른 생물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식물 유전자원의 종 다양성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방안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2017년에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에 대한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식물유래 BT산업 소재의 국내 자급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며, 더불어 국토의 생태복원에 적합한 식물 소재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생식물의 종자 수급기반 대책은 국가적 차원에서 중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높은 식물 종 다양성을 보이며, 이는 종자의 휴면유형 또한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물유전자원으로써의 보존 및 국가 경제적 이익을 위한 종자 활용, 산업화를 위해서는 종자의 생리적 특성에 기반 한 데이터베이스의 축적과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적정 휴면타파 조건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식물종에서 종자 휴면의 하위 카테고리가 계속적으로 세부 분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세부 휴면유형에 의해 많은 유용 식물자원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종자의 휴면유형은 크게 외생휴면(Exogenous dormancy)과 내생휴면(Endogenous dormancy)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는 내생휴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외생휴면은 물리적 휴면(Physical dormancy), 기계적 휴면(Mechanical dormancy) 및 화학적 휴면(Chemical dormancy)으로 세부 분류되며, 기계적 휴면과 화학적 휴면은 내생휴면인 생리적 휴면(Physiological dormancy)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물리적 휴면 종자에서는 water-gap 복합체의 존재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발아억제 호르몬에 기인하는 화학적 휴면 및 종(과)피 또는 배유에 의한 기계적 휴면은 배의 성장잠재력과 발달에 의해 타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로 많은 식물 종에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외생휴면 유형에 대해 내생휴면과는 명확히 다른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하므로, 다년간의 체계적 연구를 통해 미흡한 종자생리 연구 분야를 보완하고 자생식물의 종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