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Physical Resource Loss and Gain on Well-Being of People in Low-Income and the Mediating Role of Economic Stability

저소득층의 물리적 자원의 상실 및 획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적 안정의 매개 역할

  • Received : 2013.03.06
  • Accepted : 2013.05.06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Physical resources are central to coping with economic hardships for people in low-income, yet life experiences such as resource loss and gai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 sense of well-being received scarce atten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levels of loss and gain of physical resources, economic stability and well-being of 254 adults who participated in welfare-to-work programs; correlations and paths among these variable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conomic stability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jor results were: first, the levels of resource loss and gain were below a moderate level and the level of ga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ss level. Second, in the relationships with both economic stability and well-being, resource lo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hile resource gai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 negative direct effect of resource loss either on the economic stability or on the well-being respectively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n well-being through economic stability was also significant. Finally, the direct effect of resource gain on either economic stability or well-being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resource gain on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Thus in both models for resource loss and gain, the indirect effect of economic stability was significant, which supports partial mediation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were examined, particularly for enabling social work practice to utilize information regarding resource loss and gain, economic stability, and a sense of well-being that were embedded in the community life of people in low-income.

이 연구는 저소득층이 겪는 물리적 자원에서의 상실과 획득이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이들이 경제환경과 상호작용하며 경험하는 경제적 안정감이 그러한 상실 및 획득의 영향을 받아 안녕감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자활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남녀 성인 254명을 대상으로 물리적 자원의 상실과 획득, 경제안정, 안녕감의 수준을 살펴보고, 자원의 상실 및 획득 각각이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계와 이 관계에서 경제안정 수준이 보이는 매개역할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참여자들은 물리적 자원을 약간 잃거나 얻은 수준이고 획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경제안정 및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원상실은 유의한 부적관계를, 획득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셋째, 자원상실은 경제안정과 안녕감 각각에 대해 유의한 부적인 직접효과를 보인 한편 경제안정의 감소를 통해 안녕감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끝으로, 자원획득 역시 경제안정과 안녕감 각각에 대해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이고 또 경제안정을 통한 정적인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자원상실과 획득 두 모형 모두에서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실천에서 저소득층 성인의 생활과 밀접히 관련되는 물리적 자원의 상실 및 획득, 경제안정, 안녕감을 활용할 방안과 조사연구에서 가질 수 있는 함의를 찾고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