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물리적 결합

Search Result 89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Navigation Algorithm of Modular Robots with 3 DOF Docking Arm in Uneven Environments (3자유도 결합 팔을 가진 모듈형 로봇의 비평탄 지형 주행 알고리즘)

  • Na, Doo-Young;Min, Hyun-Hong;Lee, Chang-Seok;Noh, Su-Hee;Moon, Hyung-Pil;Jung, Jin-Woo;Kim, Y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3
    • /
    • pp.311-317
    • /
    • 2010
  • In the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mobility method of modular robots by physical docking in the uneven environments. The modular robot system consists of autonomous docking device, 3 DOF robotic arm, motion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Real-tim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robot are estimated using inner GPS and they are used to control direction and path of each robot for physical docking between modular robots. We design a navigation algorithm of modular robot using physical docking and cooperative navigation in the environment with broken road and low stair.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navigation experiments of three developed modular robots in the uneven environm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with Changes to Si/Al Mol Ratio of Inorganic Polymer Mortar Binder (무기폴리머계 모르타르의 결합재 Si/Al 몰비 변화에 따른 물리적 특성)

  • Choi, Hae-Young;Park, D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08.04a
    • /
    • pp.749-752
    • /
    • 2008
  • This experimental study compared polymer cement mortar with inorganic polymer binder mortar for physical properties by Si/Al mol ratio change of inorganic polymer binder.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We found that when Si/Al mol ratio goes up flexural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but workability becomes worse. And according to the keeping them for 28 days we found that physcal property becomes worse when Si/Al mol ratio is larger than 2.61. When Si/Al mol ratio of inorganic polymer binder is from 2.43 to 2.61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than over 32% after keeping for 7 days and over12 % for 28 days

  • PDF

A Specific Characters of Products In viewpoint of Inter-combination with Human -Concentrated on Inter-Combined Products′Type and Feather- (인간과 인터컴비네이션 관점에서의 제품특성연구 -상호결합제품의 유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 진선태;박영목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3
    • /
    • pp.145-154
    • /
    • 2001
  • These days, the products like Walkman, mobile phone, notebook PC, PDA are moving together with our body, and in the imaginary world like internet, our other self, Avatar is moving in place of our body on the cyber world. These products are related with our human body, and when considering the ones,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d having the meaning of mental combination like these, as the combination of the human and the produc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se products in approaching them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rel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products. As a result of examining we can understand that the products, said to combine with the human body, are coming oui steadily. and recently, the inclination on the combination and the movement appears strongly. As this background, there are a breakdown of dichotomy thought, mixed sexual imitation, cyber culture, techno culture. concept of informative nomands, phenomenon which the division of human and machine becomes vague. and the miniaturization of products. imitation of human, phenomenon that the Inclination on the combination with human is more accelerated by networking. These products combine with human body at each wearing type in the various forms. Its functions become multi-layered, and closer to the human body physically. or its communication becomes high·graded and, they have the recombined form through the existing products which the human has And, they communicate each other. have the strong fashionable property, and the characteristics like the imaginary product to imitate the human body and substitute for the human behave.

  • PDF

Development of hybrid precipitation nowcasting model by using conditional GAN-based model and WRF (GAN 및 물리과정 기반 모델 결합을 통한 Hybrid 강우예측모델 개발)

  • Suyeon Choi;Yeonj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0-100
    • /
    • 2023
  • 단기 강우 예측에는 주로 물리과정 기반 수치예보모델(NWPs, Numerical Prediction Models) 과 레이더 기반 확률론적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머신러닝을 이용한 레이더 기반 강우예측 모델이 단기 강우 예측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여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머신러닝 기반 모델은 예측 선행시간 증가 시 성능이 크게 저하되며, 또한 대기의 물리적 과정을 고려하지 않는 Black-box 모델이라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머신러닝 기반 blending 기법을 통해 물리과정 기반 수치예보모델인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와 최신 머신러닝 기법 (cGAN,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반 모델을 결합한 Hybrid 강우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GAN 기반 모델 개발을 위해 1시간 단위 1km 공간해상도의 레이더 반사도, WRF 모델로부터 산출된 기상 자료(온도, 풍속 등), 유역관련 정보(DEM, 토지피복 등)를 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하였으며, 모델을 통해 물리 정보 및 머신러닝 기반 강우 예측을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cGAN 기반 모델 결과와 WRF 예측 결과를 결합하는 머신러닝 기반 blending 기법을 통해Hybrid 강우예측 결과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ybrid 강우예측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도권 및 안동댐 유역에서 발생한 호우 사례를 기반으로 최대 선행시간 6시간까지 모델 예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과정 기반 모델과 머신러닝 기반 모델을 결합하는 Hybrid 기법을 적용하여 높은 정확도와 신뢰도를 가지는 고해상도 강수 예측 자료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assive Telemetry Sensor System using Recursive Least Squares Estimation (재귀적 최소 자승 추정법을 사용한 원격 센서 시스템)

  • 김경엽;이준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3-337
    • /
    • 2003
  • 열악한 환경에서 동작해야 하거나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곳에 장착되는 센서 시스템의 경우, 유선에 의한 정보전달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센서 내 전원설비가 제한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밧데리 없이 유도결합에 의하여 원격 센서로부터 정보 취득이 가능한 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전원공급에 의한 유도 결합식의 원격센서 시스템과는 달리, 원격 센서의 정전용량을 변ㆍ복조 과정 없이 재귀적 최소 자승 추정법에 의해 센서의 정전용량을 고정도로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스템의 유도결합 모델을 사용하여 정확도가 높은 원격 센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었다.

  • PDF

Hair Strengthening Effect of Silane Coupling and Carbodiimide Chemistry (카르보디이미드 반응과 실란 커플링을 이용한 모발강화 효과)

  • Son, Seong Kil;Choi, Wonkyung;Lim, Byung Tack;Song, Sang-hun;Kang, Nae Kyu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4 no.2
    • /
    • pp.133-139
    • /
    • 2018
  • Chemically damaged hair is vulnerable to external stimuli in daily life due to the weaken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air strand itself.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whether chemical conjugation between hair keratin proteins restores tensile strength and thus results inpreventing further deterioration under repeated combing. A model damaged hair tress was produced by a typical perm-process. Then, it was internally crosslinked by the bifunctional crosslinker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 via both silane coupling and carbodiimide chemistry.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tensile strength, Young's modulus, and plateau stres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nal crosslinking, and the existence of crosslinking was verifi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The degrees of hair breakage and split ends were evaluated by repeated combing-drying tests. Physical properties of chemically damaged hair were restored by internal crosslinking. Successful crosslinking of APTES via both silane coupling and carbodiimide chemistry was verified by FT-IR spectra. Prevention of breakage and split ends after repeated combing with heat was observed. Human hair can be weakened by chemical damage including perm-processing, so restoring such properties is a major issue in the hair care industry. This work shows that internal crosslinking of damaged hair via chemical conjugation would be a potent method to restore the healthy hai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for Cohesive Sediment with Mixing Intensity (교반강도에 따른 점착성 유사의 흡탈착 정량화 분석)

  • Kim, Dong Hyun;Yoo, Hyung Ju;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0-50
    • /
    • 2020
  • 하천, 강어귀 및 해안 지역의 점착성 유사는 흐름 내에 입자의 충돌에 의한 흡탈착으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플록을 형성한다. 이 플록은 오염물과도 군집을 형성하여 하상이 퇴적되는 경우가 많으며 홍수 등과 같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재부 되어 하천 환경 및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군집의 형성은 화학적인 결합과 물리적인 응집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미세 점착성 유사의 군집형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화학적인 결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반대로 물리적인 결합 혹은 외부 충격에 대한 플록형성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반기를 활용한 실험을 통하여 점착성 유사에 대한 물리적인 흡탈착 과정을 분석하였다. 유입된 점착성 유사를 교반기로 외부충격을 주어 흡착과 탈착하는 정도를 탁도와 농도를 통해 정량화하였다. 실험은 원통 수조에서 수행되었으며, 교반기의 RPM을 조절하면서 외부충격의 강도를 조절하였다. 초기 실험을 통해 탁도-농도의 관계를 제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교반강도와 점착성 유사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교반강도가 증가할수록 플록 형성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일정 교반강도 이상에서는 다른 흡착 과정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점착성 유사의 흡탈착의 임계값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와 유속 혹은 난류강도 등의 하천특성과 연관성을 분석한다면 하천 내 오염물 관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Degree of Interfacial Interlinking on Adhesive Strength and Fracture Morphology of Rubber Layers (고무층간 가교정도가 접착강도 및 파괴형태에 미치는 영향)

  • Kim, Hyeon-Jae;Kaang, Shin-Young;Nah, Chang-Woo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34 no.1
    • /
    • pp.31-44
    • /
    • 1999
  • Interfacial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ully-crosslinked and partially-crosslinked rubber layers were Investigated at the temperature range of $30{\sim}120^{\circ}C$ for four different rubbers(NR, SBR, EPDM, BIMS). The surfaces of interfacial failure were also investiga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The physical interlinking played a major role in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ully-crosslinked rubber layers. When a partially-crosslinked rubber layer was bonded to the fully-crosslinked one, the chemical as well as the physical interlinking affected the adhesive strength. NR showed a "interfacial knotty tearing" pattern, while EPDM showed a typical "cross-hatched" one when the adhesive strength approached to the cohesive tear strength of each material.

  • PDF

Fuzzy Navigation and Obstacle Avoidance Control for Docking of Modular Robots (모듈형 로봇의 자가 결합을 위한 퍼지 주행 제어 및 장애물 회피 제어)

  • Na, Doo-Young;Noh, Su-Hee;Moon, Hyung-Pil;Jung, Jin-Woo;Kim, Y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4
    • /
    • pp.470-477
    • /
    • 2009
  • Modular reconfigurable robots with physical docking capability easily adapt to a new environment and many studies are necessary for the modular robo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ion-based fuzzy autonomous docking controller for the modular docking robots. A modular docking robot platform which performs real-time image processing is designed and color-based object recognition method is implemented on the embedded system. The docking robot can navigate to a subgoal near a target robot while avoiding obstacles. Both a fuzzy obstacle avoidance controller and a fuzzy navigation controller for subgoal tracking are designed. We propose an autonomous docking controller using the fuzzy obstacle avoidance and navigation controllers, absolute distance inform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s of robots from PSD sensors and a compass sensor. We verify the proposed docking control method by docking experiments of the developed modular robots in the various environments with different distances and directions between robots.

원형편파의 축비 대역폭 개선을 위한 직렬 급전 십자개구 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 김형락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347-348
    • /
    • 2001
  •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가 가지는 가장 큰 단점인 협대역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 동안 수많은 연 구와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특히 원형편파 안테나는 임피던스 대역폭 외에 축비 대역폭까지도 고려 되어야 하므로 더욱 심화된 협대역의 특성을 가지게 되어 설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하는 방법 중 급전 구조면에서는 크게 단일 급전 방식과 하이 브리드 형태의 급전방식이 있다. 단일 급전 방식의 원형편파 안테나는 구조가 간단하고y 제작이 간편 하며, 안테나의 물리적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배열시 장점이 있으나 구조의 특성상 협대역의 축비 대역 폭을 가지며I 하이브리드 급전 원형편파 안테나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우며, 안테나의 물리적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으나 광대역의 축비 대역폭을 가진다. 따라서 원형편파 안테나의 설계시 축 비 대역폭과 안테나의 물리적 크기 간의 trade-off를 고려하여야한다. 최근에는 이를 고려한 단일 급전 을 이용하면서도 개선된 축비특성올 얻을 수 있도록 십자개구 개구를 통해 두 개의 직교 모드를 방사 패치에 급전하는 구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단일 급전 방식보다 개선된 축비 대역폭을 얻을 수 있었으나 중심주파수에서 2.5%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급전 십자개구 결합 방식이 가지는 협대역의 축비 대역폭을 개선하기 위해 단 일 급전으로 하이브리드 급전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직렬 급전 십자개구 결합 마이크로스트립 안 테나를 제안하였으며, 기존에 발표된 단일 급전 십자개구 결합 안테나와의 축비 대역폭, 이득, 방사패 턴, 그리고 임피던스 대역폭 둥과 비교하여 개선된 특성을 제시하고 제안된 안테나의 타당성을 보였 다. 실제로 2.4GHz의 주파수에서 제안한 직렬 급전 십자개구 결합 단일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측 정결과 기존에 연구된 안테나보다 약 2배정도 증가된 4.6%의 축비 대역폭, 10%의 임피던스 대역폭 (VSWR<1.5), 그리고 8.2dBi의 최대이득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권셜 로테이션 기법올 사용한 $2\times2$ 배열 안테나는 17.5%의 축비 대역폭, 20.8%의 임피던스 대역폭(VSWR<1.5), 그리 고 12.5dBi의 최대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해당하는 제안된 단일 안태나와 $2\times2$ 배열 안테나의 구조, 측정된 축비 대역폭 및 이득특성, 그리고 입력 반사손실을 그림 I, 2, 3에 각각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