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 성향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38초

싱가폴 집단문화가 봉사정신에 미치는 영향: 다국적기업 직원 사례연구 (Singapore's collectivism's effect on Volunteerism - A case study of MNE employees)

  • 강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193-206
    • /
    • 2021
  • 이 연구는 홉스테드의 집단적 문화가 싱가폴 직원의 봉사정신에 미치는 영향 및 개인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다국적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확인하는데 있었다. 이때까지의 홉스테드 문화연구는 국가별로 많은 연구가 진행 및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화적 차원을 개인적 차원으로 설문화한 Yoo's Cultural Value Scale (CVSCALE)를 기반으로 싱가폴 다국적기업 직원들 200명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온라인으로 3주동안 수집 총 180 설문지를 수집하여, SPSS 21.0을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통해 싱가폴의 집단문화는 봉사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싱가폴 개인의 공감능력이 집단적문화와 봉사활동을 완전 매개한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의 집단적 문화성향이 봉사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아시아에서 개인적 문화성향이 강한 싱가폴에서도 집단적 문화성향과 공감능력이 봉사활동의 선행요인이란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개인의 공감능력 훈련 및 교육을 제도화하여, 개인 및 그룹차원의 성과를 향상하도록 제시하였다.

성인 여성의 기성복 맞음새 선호 성향 조사

  • 석혜정;김인숙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5-85
    • /
    • 2003
  • 기성복은 근래에 들어 유행의 흐름이 빨라짐에 따라 디자인이 더욱 다양화, 전문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여 소비자들의 개인적 취향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의복의 맞음새는 개인의 기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성별, 연령, 체형, 선호하는 패션 경향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맞음새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현실적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기성복 정장(재킷, 스커트, 바지)의 맞음새 선호 성향을 조사하여 연령대ㆍ비만도별 각각의 선호 경향의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오픈 마켓 전자상거래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개인 성향 모듈 설계 (Design of Personal Preference Module with Ontology in Open Market E-Commerce)

  • 지병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94-1097
    • /
    • 2010
  • 기존 전자상거래와 달리 오픈 마켓 전자상거래는 판매자와 구매자들이 모여 자발적으로 온라인 상으로 거래하는 패러다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구매자는 다수의 판매자들로부터 제품을 구매함에 있어 올바른 제품을 구매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전자상거래에 대한 구매자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오픈 마켓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오픈 마켓 기반 전자상거래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개인 성향 모듈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사전연구를 통해 구매자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구매자가 기존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판매자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둘째 판매자에 대한 부가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 성향 모듈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개인 성향 모듈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작성되며, 판매자와 구매자의 개인 성향을 반영, 평가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논문의 기대효과로 온톨로지 기반 개인 성향 모듈은 오픈 마켓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와 구매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양진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443-449
    • /
    • 2019
  • 이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자료는 2017년 6월에 55명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실습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의 평균 점수는 3.70점이었고, 비판적 사고성향은 3.57점, 임상실습만족도는 3.93점 이었다. 임상수행능력의 하부요인의 평균은 사회심리적 간호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기본간호능력, 환자교육능력, 간호과정능력, 관찰 및 모니터링 능력, 간호중재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수행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실습만족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부요인 중 지적 열정/호기심과 객관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법의 시도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71-180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확인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개 대학의 3, 4학년 간호대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성격성향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6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인다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The Direction to Assessment of School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2009 Reformed Curriculum)

  • 강명원;김성호;박지훈;이선준;차용우;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01-323
    • /
    • 201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에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세 주제, 창의성, 다문화, 그리고 수학적 성향을 중심으로 미래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창의성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융통성에 대한 평가문항의 활용뿐만 아니라 유창성, 정교성, 독창성에 관한 문항개발도 이루어져야함을 제기하였다. 다문화영역에서는 단순히 한국어 교과만이 아니라 수학교과에서도 다양한 학습방법과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서 다문화권 학생이 언어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수학적 능력을 평가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중 언어 프로그램에 따른 평가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학생의 매우 낮은 수준의 수학적 성향은 고등교육에서 인재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등의 성향을 향상될 수 있게 먼저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하며 다양한 유형의 설문지를 개발하고 면담기법을 이용한 과정평가에 더욱 노력해야한다.

문화적 차이에 따른 침묵의 나선 효과 검증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with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Uncertainty-Avoidance)

  • 홍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86-297
    • /
    • 2020
  • 본 연구는 침묵의 나선 이론의 핵심 구성요소인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공개 발언 의지가 문화적 가치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한 글이다. 그동안의 문화 간 침묵의 나선 이론 검증은 대부분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차이가 침묵의 나선 현상의 차이를 초래했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침묵의 나선 이론에 대한 문화적 가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주의-집단주의'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의 회피' 성향도 중요 변수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도와 한국, 미국, 스페인 등 4개국에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뒤 얻은 78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주의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낮추고, 집단주의 및 불확실성 회피성향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개인주의와 불확실성 회피성향은 공개발언 의지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공개발언 의지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공개발언 의지에 대한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