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화예술 공간

Search Result 31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Create Cultureal art space in the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공간 만들기 - 창원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

  • Min, Seong-Ki;Kim, Su-Gyeong;Han, Ch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5-106
    • /
    • 2017
  • 현대의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기존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낙후된 도심 환경을 개선하여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쇠퇴한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에서 환경조형물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그것이 놓이는 장소 혹은 공간이 가지는 의미, 공공성 또는 공익성이라는 영역에서 예술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리사이클, 업사이클, 뉴사이클'이라는 3개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환경조형물이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마을흔적보전이라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담아냄으로서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는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s a culture spade for public education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방안 연구)

  • 조혜영;김성희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2
    • /
    • pp.351-370
    • /
    • 2004
  • This paper starts by exploring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under knowledge based society. It then analyzes the questionnaire about the function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s a culture space. The results show that school library media center should take a role as repertory appreciation center of various arts, recreation center, and interactive community.

  • PDF

Development Process of the 88 Seoul Olympic Park as Sculpture Park and Its Discourses (88올림픽공원 조각공원의 조성 과정 및 전후 담론의 해석)

  • Shin, Myungjin;Sung, Jong-Sang;Pae, Jeong-Han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1
    • /
    • pp.46-56
    • /
    • 2020
  • The 88 Olympic Park is a monumental urban park in Seoul, developed to commemorate South Korea's hosting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Initially conceived to emphasize the event slogan, 'Cultural Olympics,' which was driven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park, already designed and constructed by 1986, was reconfigured into a sculpture park following two international outdoor sculpture Olympiads and an invitational sculpture exhibition.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process of redesigning the park into sculpture park and the socio-political discussions surrounding such a process, in order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e 88 Seoul Olympic Park with regards to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Several discussions within Korean society arose during the redesign process. First, there were critiques on the artwork selection during the early phase of the project. Second, issues regarding the conserv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site, Mongchon-tosung, located within the park, gave rise to a larger discourse on heritage preservation in Seoul. Third, discussions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park identity, or lack thereof, prevalent. Through this study, the 88 Seoul Olympic Park presents itself as an example where large park construction in Seoul caused discussions regarding globalization, nationalism, publicness and art to be brought forth.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88 Seoul Olympic Park is a cultural landscape that requires further examination and exploration as it provides rich historical context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ultural and artistic practices in Korean urban landscap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ew media for performing art -Focused on interactive performing art (공연예술에서 뉴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공연영상예술을 중심으로-)

  • Moon, ha na;Lee, jae joong;Park, jin 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8-90
    • /
    • 2010
  • 인터넷과 디지털 매체는 정보교류의 편의성과 복제가 가능한 매체로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매체의 발전으로 이미지와 영상으로 소통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형성되고 문화예술영역의 표현수단의 변화로 확산되었다. 영상매체에 친숙한 현대인들에게 맞춰 공연예술에서도 공간의 제한성에서 벗어나 영상이 접목된 작품들이 기획되고 있으며, 공연 영상이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창출해 내고 있다. 본 논문은 공연예술의 고유한 영역과 더불어 다양한 장르가 통합된 독창적인 형태의 공연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Rethinking images of Korean dance Colors and Cultural Philosophical Representations in Space (한국춤의 색과 공간에서의 문화철학적 표상에 관한 이미지 재고)

  • Kim, Ji-Won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41
    • /
    • pp.157-186
    • /
    • 2020
  • It illuminate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dance in the sense of color. The unique color and light of Korean dance reflects the essence of Korean art and the consciousness of Koreans. Therefore, analyzing Korean art, colors and meanings can provide the principle of aesthetic interpretation to re-examine Korean colors.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original contents as a humanistic basis, asking the origin of Korean art. The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in which color and life become cultures remain the roots for another re-creating vision of Korean art. Therefore, it is time to establish a system of Korean identity as an art with the expansion of various interpretations of various aesthetic attitudes that recognize Korean dance.

An Examination of Japanese Modes Expressed in American Spatial Design (미국 건축 및 조경디자인에 나타난 일본양식에 관한 고찰)

  • 김신원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3 no.1
    • /
    • pp.189-214
    • /
    • 1995
  •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 및 조경공간 형성에 미친 일본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문화 및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미국건축 및 조경에 나타난 그 면모에 관한 것이다. 1853년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일본의 예술과 건축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1893년 Chicago에서 열렸던 Wor1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선보인 일본의 건축물은 당시 미국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후 일본의 공간디인은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미국의 공간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준 일본문화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구별되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미국 현대건축의 선구자인 Frank Lloyd Wright, Greece and Greene, Philip Johnson, Richard J. Neutra의 작품 및 조경디자이너인 Ethelbert E. Furlong, James C. Rose의 작품속에 나타난 일본식 공간디자인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장래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미국문화의 특성이 고찰되어 미국과 일본의 두 문화가 비교 파악되기 위한 개념적 근거가 마련되고, 일본식 공간디자인이 미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어졌으며 미국식 공간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는지 살펴보며, 어떤 이유에서 일본의 공간디자인 양식이 미국의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문화적으로 일본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과 중국의 공간디자인 양식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를 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Possibility Study about Digital Media Art as a social Capital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사회자본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 Lee, Min-Soo;Chang, Geun-O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62-467
    • /
    • 2006
  • 이 연구는, 대중매체를 미술에 도입한 미디어아트가 대중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고 콘텐츠의 범위가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총체적 의미의 사회자본이 된다는 가능성의 연구이다. 이러한 가정 하에 현시점의 미디어아트와 대중의 유대관계, 그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양상에 대해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영향을 미치기 위한 전제를 세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사회 참여적인 미디어 장치로서 저널리즘의 속성을 가진 미디어아트, 두 번째는 다양한 문화활동의 프로토타입이 되는 미디어아트, 세 번째로는 일상공간에서의 미디어아트이다. 대중매체의 이용이 사회자본의 구성 요소인 신뢰와 사회적 연계 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기존에 발표된 연구들과 2003년 수행된 대규모 매체 이용행태 자료에서 이미 검증되었다.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의 하위구성 요소인 신뢰와 정치참여,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역할 및 예술생산품으로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에서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미디어아트의 시도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웹 아티스트, 미디어 아티스트로 알려진 '장영혜중공업' 은 온라인미디어를 통해 현대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이슈와 화두들을 강력하게 표현하고 있고, 대중매체의 조명을 받고 있는 아티스트 '낸시랭' 은 'SSAMZIE' 브랜드를 통해 예술의 문화적, 경제적 활동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에게 총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일상 생활공간 속에서의 미디어아트는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하고 있으며, 일상에서의 경험으로 인하여 대중에게 시각적, 과학적, 심미적 즐거움을 주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한 예술은 인터넷을 비롯한 대중매체를 통해 디지털미디어아트의 공적 신뢰를 확대시키고 콘텐트의 범위와 가치를 증대 시키며, 사용자경험의 폭을 확대시켜 점차 새로운 가치체계를 형성해 나갈 것이다. 이는 디지털미디어아트가 사회자본으로서 아직은 미약하지만 사용자의 조작과 참여의 경험으로 인해 디지털 세대에게 적합한 문화아이콘을 만들어 나가며, 사회의 새로운 이용자 패턴, 참여 의식의 확대, 예술의 대중화로 인하여 미래 우리의 삶을 구성하는 사회자본이 될 것으로 그 가능성을 전망해본다.

  • PDF

Arts Organization's Business Diversification Strategies: Case of Sanwoollim Theater Company (예술단체의 사업다각화 연구 - 산울림 소극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

  • Song, JuYoung;Chang, WoongJo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
    • no.53
    • /
    • pp.153-177
    • /
    • 2020
  • Arts organizations commonly face a range of operational challenges, from a lack of skilled workers to limited financial resources and thus are dependent on subsidies from the government. Yet, to fully realize their mission arts organizations must both develop strategies to effectively utilize government support and seek a way forward that does not depend on public subsidies. Business diversification, a strategy from corporate management, entails the expansion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entry into new industries, enabling companies to disperse risks and increase profits. We propose that business diversifica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rts organization to address the myriad operational difficulties they face. To understand how an arts organization might deploy business diversification we conducted a case study of an organization that is actively pursuing the strategy: Sanwoollim Theater. We interviewed staff members of Sanwoollim including the executive director, as well as selected audiences, to understand how the business diversification model was being applied at Sanwoollim. Our findings indicate that, in a complex arts and cultural space, business diversification is a fresh and flexible new strategy that can enable private cultural arts organizations to thrive sustainably. It is also evident that government support in the initial stages of the process encourages diversification and that successful private arts organizations will leverage government subsidies into a sustainable business plan.

The Influence of the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Satisfaction Leve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F1963 as a Subject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만족도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F1963을 중심으로-)

  • Lee, Chan-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0
    • /
    • pp.341-352
    • /
    • 2019
  • Recently, as cultural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the interest in the space where culture and arts can be provided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F1963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nd asset factors of brand image, brand awareness, brand asset awareness, and loyal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of brand asset in complex cultural space and to examine whether customer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sset in complex cultural space and community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users. Also,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development. The satisfaction that users get from the complex cultural spa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brand asset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tself on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lex cultural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ion, and it i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to brand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diversity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