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상품

검색결과 788건 처리시간 0.037초

충남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 디자인 제안 (Proposal for the Cultural Tourism Good Design based on South Chungchong Province)

  • 최윤정;명회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54-61
    • /
    • 2007
  • 충남 지역은 백제 문화가 산재한 곳이다. 그 중 공주와 부여는 백제 문화권의 중심지로서 무령왕릉, 부소산성, 공산성 등 많은 유적지가 존재하고 있어 관광지역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관광지에서 판매되고 있는 문화상품들을 보면 그 지역의 특색을 갖춘 상품들보다는 어느 지역에서나 볼 수 있는 유사한 상품들이 많아 상품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관광객들은 박물관등의 소장유물을 통해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문화를 기반으로 한 방안으로서 백제문화권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응용해 타 지역과 차별성을 지닌 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안해 본다. 그동안 백제 역사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으나 최근 영화나 역사드라마 등을 통해 백제 역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미적 의식과 조형성을 바탕으로 옛 문화와 현대적 기능이 겸비된 문화 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여 충남지역문화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한중 문화상품무역 국제경쟁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China Cultural Products Trade)

  • 정응영;배기형;이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349-359
    • /
    • 2022
  • 최근 글로벌 경제의 다원화에 따라 문화상품무역은 국가 간 종합적 실력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국은 중국의 인접국으로 문화발전 환경이 중국과 비슷하다. 문화상품무역은 한국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그 발전경험은 중국에 참고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법, 비교분석법과 실증분석법을 통해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화상품 수출입 규모로부터 시작하여 전반적인 중국과 한국의 수출수준을 분석하여 양국 문화상품 수출입의 차이점을 찾고자 한다. 그런 후 중국 문화상품무역구조의 단점과 한국 문화상품무역구조의 장점을 비교·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확률적 변경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으로, 한중 문화상품무역 잠재력에 관한 결론을 도출한다. 그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국과 한국의 문화상품무역의 국제경쟁력은 높은 편이지만 중국 문화상품의 경쟁력 발전 속도는 느린 편이다. 둘째, 한국과 비교할 때 중국 문화상품 수출은 무역비효율요인의 영향이 큰 편이다. 셋째, 정부효율의 제고는 중국이 무역비효율항을 줄이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한다.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 국립박물관 뮤지엄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rthe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 정용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7-14
    • /
    • 2001
  •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상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 문화상품은 전통과 의식이 담긴 우리민족의 얼굴이라 할 수 있으며 상품의 이미지는 곧 국가의 이미지가 되는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 문화상품 개발의 문제점은 관련업체의 재정적 영세성과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부족, 디자인과 제작기술의 낙후, 판매시설과 유통망 확보의 어려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국적불명의 상품, 전통이나 규격에 맞지 않는 상품의 난립을 초래하고 있다. 문화상품 개발에 있어서는 우선 전통문화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와 자료수집을 바탕으로 문화적 요소를 상품화시켜 경쟁력있는 디자인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재료와 기술개발을 통해 과거의 답습에 그치지 않고 대량생산도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며, 가격상승의 요인이 되는 중간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직접 거래 할 수 있도록 유통구조의 개선도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박물관과 정부는 지속적인 문화에 대한 교육과 국민의 참여유도로 문화경쟁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제한 복제생산방식을 활용한 강원지역 문화상품의 관광자원화 방안 연구 -강원도 인제군을 중심으로-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of Travel Souvenir of Gangwon-do using Limited Production - Focusing on Inje-gun in Gangwon-do -)

  • 최기;신수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05-214
    • /
    • 2005
  • 본 연구는 문화상품의 관광자원 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개발계획을 제한 복제생산방식(Limited Production)에 의한 산업 클러스터(Cluster) 조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재 강원도 인제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문화상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역적 특수성 및 타 시 군과 비교우위의 개발여건을 증명하여 최적의 지역문화상품 생산방식을 찾고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제군은 원자재(목재)의 보급능력이 우수하고 공예품 생산공방이 밀집해 있어서 제한 복제생산방식을 적용하기에 충분한 생산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문화상품 생산단지 조성을 위한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개발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에 산 학 관 협동생산 계획에 의한 대표업체 육성 및 자체 공동브랜드 개발과 생산 분업화 정착, 유통 물류시스템 개발 및 현대화, 문화상품의 인증제 도입, 타 관광산업과의 연계화 추진, 문화상품의 유인력 제고를 위한 판매방식 연구, 개발성과의 상시평가제 도입 등을 실행하여 문화상품의 인제 지역 관광자원 화를 위한 최적의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PDF

한국적 문화이미지 고양.확대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 - 전통문양의 활용을 중심으로 - (Design of cultural products for the promotion of Korean cultural image - Focuseed on application by traditional Korean patterns -)

  • 박현택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3-213
    • /
    • 1998
  • 다가오는 21세기는 정보와 문화가 지배하는 시대이다. 인간의 삶의 질은 문화의 수준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시대에는 한 나라의 독창적인 문화와 문학적 수준이 그 나라의 모든 것을 대변하게 될 것이며 문화의 총체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 이미지는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이같은 문화주의 시대의 도래는 근대문화의 합리성과 전통문화의 개념을 어떻게 실질적으로 조화시켜 후기산업사회를 맞이해야 할것인가라는 중요한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른바 문화의 산업화와 산업의 문화화는 국경없는 국가 경쟁시대에 무엇보다 중요한 생존 전략이 될것이며 한 나라의 독특한 문화가 배어있는 문화상품은 그 나라의 이미지 선양은 물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할 수 있다. 일반상품이 편의성, 실용성을 우선 조건으로 개발된다면 문화상품은 문화와 기술 창조력의 척도가 되는 것으로 한 나라나 한 지역을 국제 사회에 인식시키는 실체가 된다. 이러한 국제시장 질서와 문화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독특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하여 현대적 기호와 감각에 적합한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하여 국제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방안이 절실하다. 하나의 상품이 탄생하여 시장에 유통되고 최종 수요자에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개발과 유통·판매라는 여러 복합과정에 대한 이해와 각 분야의 시스템화가 필수적이며 또한 어떠한 영역도 소홀할 수는 없겠지만, 본 고에서는 이에 대한 정책·제도적 대안이나 유통과 마케팅적 관심은 논외로 한다. 본 고는 한국적 문화이미지로서 전통문양이 차지하는 비중과 이것이 문화상품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는-전통문양이 상품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상품디자인·개발 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한 제도적 장치와 구체적 활성화 방안이 후속적으로 전개되길 기대한다.

  • PDF

지역 이미지의 확산을 위한 문화상품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Cultural Products of Region Image Spread)

  • 구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871-873
    • /
    • 2011
  • 본 연구는 저자가 2005년 평택시 문화상품 개발과정에 연구위원으로 참여하여 지역의 대표성을 가지는 디자인 고찰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연구목적은 고유문화재와 전통성을 바탕으로 한 상품 개발을 통한 인식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리고 평택시의 문화성립 및 자긍심 고양 및 지역 위상을 확립하는 것이다. 또한, 국 내외 관광객 유치 및 지역 문화 알리기의 기반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표적 문화 상품의 개발을 통하여 도시 이미지 확산을 고려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평택농악(전통악기, 뱃지, 키홀더등), 문구사무용품(서류함, 책갈피, 시계, 키홀더), 생활용품 (컵받침, 탁상용 저금통, 북, 명함), 장식용품(주방용품등 문화관련 상품들을 개발) 등으로 세분화하여 조사 하였다. 연구 개발 과정을 통하여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사례로 디자인 적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역의 도시브랜드 확립을 위한 결론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아홉가지 결론을 구체화 할 수 있었다.

  • PDF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 :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conomic Ripple Effect of Korean Wave(Hallyu) : Impacts of the Satisfa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 황인석;김봉;안성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40-150
    • /
    • 2008
  • 본 연구는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관점에서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음악 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한국 문화상품이란 한국 대중음악과 직접 관련이 없는 한국 관광, 한국어, 한국 태권도를 의미한다. 결과에는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는 한류 호감도, 한국 호감도,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호감도는 한국 호감도의 매개를 거쳐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 호감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 영향은 한계적으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집 - 제16회 베스트 패키지 디자인 어워즈 (16th Best Package Design Awards Korea)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15호
    • /
    • pp.70-74
    • /
    • 2011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는 지난 달 25일 제16회 베스트패키지디자인 수상작들을 선정, 시상식을 열었다. 학회가 주최해 온 베스트패키지디자인어워드코리아는 1995년 기업의 경쟁력을 디자인에서 찾아야 한다는 기치 아래 태동했으며, 올해 16회를 맞은 행사로, 기업과 현직 디자이너들에게 경쟁력 있는 디자인 개발의 동기를 부여함은 물론 우리 상품이 세계화로 발돋움되어 국제 경쟁력을 갖추는데 기여하고 올바른 상품 문화를 진작 시키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패키지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와 학술활동을 통해서 후학양성과 상품문화 진작을 위해 창립된 한국상품 문화디자인학회는 베스트패키지디자인어워드코리아 제정으로 사회적 책무를 더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시상부문은 대상을 비롯하여 베스트패키지상에 그래픽부문, 유통부문, 용기부문, 구조부문 등이다. 특히 이번부터 브랜드부문을 확대 신설하여 시상하고 있다. 시상 기준은 최근 2년 동안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창의력이 우수한 상품, 환경친화성 상품, 자원절약과 재활용 상품, 미풍양속을 해치지 않는 건전한 실험상품 등으로 학회원의 추천과 심의에 의해 선정된다. 학회 회원 또는 공동 주최 측으로부터의 추천된 상품을 "어워드선정위원회"가 1차 심의를 통해 심의하여 총회에 상정하고, 상정된 후보 상품을 2차에 걸친 투표로 선정하는 방법이다. 제16회 베스트패키지디자인 시상식에서는 대상에 영농조합법인 이도의 '이도발효차'가 수상했으며 유통부문 베스트패키지상으로 보해양조(주)의 '매취순10', 그래픽부문 베스트패키지상에 청정제주녹차산학연협력단의 '예스그린'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외에 구조부문 베스트패키지상 부문에 (주)지비앤소울의 '나노소울플래티늄'이, 브랜드 마케팅부문 최우수상에 (주)스코리아의 '스코리아'가 차지했으며 브랜드아이덴티티부문 최우수상은 원주시 농업기술센터 '그야말로-원주(元酒)'가 수상했다.

  • PDF

천연염색 한지직물을 활용한 문화상품 제작(II) (Making of Cultural Products Using Hanji-Fabric Naturally Dyed(II))

  • 정진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05-1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천연염색 재료로 염색한 한지직물을 활용하여 모자 두 개와 노트북 가방을 문화상품으로 개발·제작하였다. 그를 위하여 첫째, 우수한 내구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나라의 전통 한지로 만들어진 한지직물을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선택하고, 둘째, 그것을 천연염색 재료인 쪽으로 푸른 색, 떫은 감물로 갈색, 홍화에 의하여 붉은 색, 황벽으로 노란 색 그리고 자근으로 자주색으로 염색하였다. 셋째, 문화상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모자와 노트북 가방을 디자인하였다. 넷째, 디자인한 모자와 노트북 가방의 패턴을 제작하고, 그것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천연염색한 한지직물을 재단·봉제하여 완성한 두 개의 모자와 노트북 가방을 제시하였다.

줌치기법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제작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Cultural Products Using Jumchi Technique)

  • 정진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83-89
    • /
    • 2022
  • 우리나라의 고유한 전통 한지의 우수성을 전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예술 분야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전통 한지를 소재로 하여 현대적 감각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제작 제시함으로써 '전통의 현대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지를 소재로 하여 줌치기법에 의한 줌치한지를 만든다. 만든 줌치한지를 제작하고자 하는 문화상품-노트북 케이스, 핸드폰 케이스, 모자 및 가방-에 따라 일정한 폭으로 자른다. 자른 줌치한지를 용도에 따라 평직, 능직 및 헥사곤으로 엮는다. 엮은 줌치한지를 인조 가죽, 면직물, 데님 등과 매치시켜 문화상품을 제작하여 제시하였다.